저축銀, “시간 지나면 정상화” 참여 저조
저축은행 부실 프로젝트 파이낸싱(PF)매각 기준을 놓고 금융당국과 업계간의 온도차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금융감독원은 2주간 89개 저축은행 469개 부동산PF 사업장을 전수조사한 결과 부실이 큰 것으로 분석했다.
이에 따라 금융당국은 저축은행들이 처리해야될 부실 부동산PF 규모를 3조원대로 추정했다.
금융당국은 PF 사업장별로 사업 진행상황, 향후 전망 등을 고려해 정상, 보통, 부실우려, 부실의 4단계로 평가했다.
이는 기존의 평가 기준인 정상, 보통, 악화우려 중 악화 우려를 부실우려와 부실로 구분한 것. 기존 보통과 악화우려 판단을 받은 사업장의 부실 진행형을 정확하게 파악하기 위한 방안이었다. 하지만 그 결과 부실로 진행된 것이 많다는 결과가 나왔다.
이에 따라 금감원은 웬만한 부실 부동산PF 사업장 매각을 추진한다는 방침을 세웠다. 하지만 저축은행들은 일정기간이 지나면 수익성이 있다고 판단하는 경우가 많아 참여가 저조한 것으로 알려졌다.
저축은행 업계 관계자는 “이미 부동산PF와 관련해서 많은 충당금을 대부분 쌓아놨기 때문에 시간이 지나면 수익성도 개선될 것”이라며 “또한 캠코에 매각한다는 것 자체가 부실저축은행으로 인정하는 꼴이 돼서 부동산PF 매각을 꺼리는 곳이 많은 것 같다”고 말했다.
금융당국과 업계에 따르면 이번에 부동산PF 매각에 참여한 저축은행은 40여곳밖에 되지 않는 것으로 전해졌다. 또한 매각규모도 1조9000억원대에서 협의된 것으로 알려졌다.
금융당국의 예상보다 적은 참여와 매각규모인 것이다.
지난해 7월 3차 매각에서는 61개 저축은행이 참여해 3조7000억원 규모의 부동산PF 사업장을 매각한 데 비춰보면 절반정도 수준이기 때문이다. 또한 이번에 가능한 많은 부실을 털어내 저축은행발 부실을 사전에 차단한다는 의지가 있었던 만큼 우려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금감원 관계자는 “금융당국이 생각한 부실과 업계가 생각하는 부실에 대한 시각이 다른 것 같다”며 “업계는 시간이 지나면 정상화될 것으로 판단하고 있는데 경기 상황이 쉽게 개선될 것으로 보지 않고 있어 부동산PF 사업 추진도 쉽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금융당국은 이번 매각이 거의 마지막일 것이라고 설명했다. 추가 부실 발생할 경우 정리가 쉽지 않을 것으로 예상했다.
금감원 관계자는 “추가적으로 자금을 투입할 경우 국회의 승인을 얻어야 하는데 공적자금 투입을 꺼리는 분위기여서 신속한 부실정리에 어려운 부분이 있다”고 말했다.
공적자금위원회는 24일 오후 회의를 열고 최종적으로 구조조정기금을 통한 부동산PF 채권 매입규모와 방식을 밝힐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