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 금융상품을 만들기 위해 로켓 과학자들을 대거 영입했던 월스트리트의 풍경이 IT 업계에서도 벌어지고 있다.
이 책 ‘구글 이후의 세계’는 이들 글로벌 대기업이 뇌 과학에 주목하는 이유를 밝힌 혁신적인 트렌드 보고서이자, IT 업계의 슈퍼 천재인 제프리 스티벨이 제시하는 인터넷의 미래에 대한 청사진이다.
다수의 IT 기업을 직접 설립하고 경영한 대표적인 천재 CEO인 제프리 스티벨은 이 책에서 ‘인터넷은 뇌로 진화할 것이며, 그것은 우리의 삶을 이제까지와는 다른 차원으로 바꿀 것이라’라고 주장한다. 그때가 되면 모든 거래와 관료 체제, 우리의 일상생활은 서로 대화하는 기계들에 의해 다루어질 것이라는 게 그의 전망이다. 인터넷 세계의 천재들은 이것을 웹 3.0 시대라고 정의한다.
제프리 스티벨이 보기에 인간의 신체적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기술이라는 점에서, 그리고 기술의 등장 이후 사람들의 세계관과 생활 패턴이 급격하게 변화했다는 점에서 항공 기술과, IT 기술은 같다.스티벨은 구글의 창업주인 래리 페이지가 스탠퍼드 대학원에서 인공지능의 최고 권위자인 테리 위노그래드 아래에서 뇌 과학을 공부했고, 그 경험을 바탕으로 구글의 검색엔진을 설계한 것은 결코 우연이 아니라고 말한다.
또 아마존, 구글, 페이스북, 마이크로소프트 등 유수의 인터넷 업체들이 ‘인간의 뇌를 닮은 인터넷 구현’을 은밀히 비즈니스 전략으로 채택하고 있다는 것도 주목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이 절대 강자들이 스탠퍼드, 브라운, MIT, 하버드 대학교의 뇌 과학자를 핵심 인재로 채용하는 이면에는 급격한 환경 변화에 대한 불안감이 짙게 깔려 있으며, 그들이 내다보는 변혁의 시기는 길어야 5~10년 후라는 것이다.
이미 하드웨어인 컴퓨터에 인간의 뇌가 작동하는 방식을 적용하는 사례가 등장했다. 지난달 18일 IBM은 인간 두뇌의 인지 능력, 행동력을 모방한 컴퓨터 칩을 개발했다고 발표했다. IBM의 6개 연구소와 5개 산학협력 대학교가 미국 방위고등연구계획국(DARPA) 지원을 받아 3년 전부터 착수한 결과다.
뇌-인터넷에 가장 주목하는 구글은 50억 원 규모의 펀드를 조성해 온라인 광고와 뇌 반응에 대한 연구에 투자했다. 일본은 ‘뇌의 세기’를 선포하고 2016년까지 2조 엔의 연구비를 뇌 과학에 집중 투자하고 있다(미국, 유럽연합 등은 이미 1990년대에 21세기를 뇌의 시대로 선포한 바 있다). 글로벌 대기업의 CEO들은 ‘뇌로 진화하는 인터넷’에서 기회와 위협의 요소를 미리 읽어내며 다양한 비즈니스 모델을 실험하고 있는 중이다. 글로벌 대기업과 선진국의 행보는 이러한 통찰력의 산물이다.
IT 천재들이 그리는 미래는 더욱 개인화된 모습이다. 생각하는 인터넷은 별자리부터 실시간 날씨 예보까지 모든 것을 알려주는 개인 비서가 되어줄 것이다. 최적의 여행지를 추천할 뿐만 아니라 여행을 할 동안 읽을 만한 책과 음악, 영화를 다운로드하고 준비해준다면 어떻겠는가. 그것도 비행시간과 목적(개인적인 휴가인지, 사업차인지)까지 고려해서 말이다. 인터넷에 접속한 사람들은 모두 가상 주치의를 두고, 이 가상 주치의는 실제 의사처럼 우리의 병력과 건강 상태를 꼼꼼히 아는 상태에서 건강을 챙겨줄 것이다.
구글은 ‘세계의 모든 정보가 단지 우리들 생각 가운데 하나일 뿐인 미래’를 구상하고 있다. 이미 인류의 지식인 방대한 책을 스캔하고, 지구 표면을 샅샅이 스캔하고 있는 구글은 그 정보를 다룰 ‘생각하는 인터넷’의 출현을 준비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