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국계 은행들이 기업대출은 외면한채 가계대출을 통한 수익올리기에만 급급하고 있다. 상대적으로 리스크가 큰 기업대출 보다는 개인고객을 대상으로 안전한 금리장사에만 치중하고 있는 것이다.
15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지난해 9월 말 현재 은행권 대출은 기업대출 582조6000억원(55%), 가계대출 445조1000억원(42%)로 기업대출 비중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외국계 은행은 이 같은 분위기와는 전혀 다른 양상을 보이고 있다.
한국스탠다드차타드(SC)은행은 가계대출이 26조9000억원으로 기업대출 8조9000억원보다 세 배 정도 규모가 크다. 한국씨티은행도 가계대출이 14조3000억원으로 기업대출 9조6000억원보다 많았다.
SC은행과 씨티은행의 가계대출 시장 점유율은 각각 6.1%, 3.2% 에 달했으나 기업대출은 1.5%, 1.7%에 그쳤다.
그러나 이들 은행이 외국계로 전환되기 전에도 가계대출에만 치중했던 것은 아니다.
미국 사모펀드가 2000년 초 한국SC은행의 전신인 제일은행을 인수할 당시 이 은행의 기업대출은 5조3000억원으로 가계대출 1조7000억원의 세 배나 됐다.
씨티은행과 통합되기 전의 한미은행 역시 기업대출은 10조7000억원 규모로 가계대출 8조8000억원 보다 컸다.
외환은행도 2002년 론스타에 인수되기 전 기업대출 시장점유율이 5.7%에 달했다. 지금은 4.1% 수준으로 낮아졌다.
현재 외국계 은행의 대출금리는 시중은행에 비해 높은 편이다.
지난해 민주당 박병석 의원이 제출한 국정감사 자료를 보면 씨티은행의 예대마진(대출금리-예금금리)은 4.07%, 외환은행은 3.52%로다. 이는 전체 평균인 2.97%보다 훨씬 높은 수준이다.
대출 규모가 국내 대형 은행에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작은 외국계 은행들이 지난해 대규모 순익을 낸 것은 이같은 금리장사의 영향이 컸다.
외환은행은 지난해 1조7000억원의 순익을 올렸으며, 씨티은행과 SC은행은 3분기까지 각각 4253억원, 3625억원을 거둬들였다.
이 같은 순익에도 외국계은행들은 은행 대출을 받는 중소기업에 보증을 서주는 신용보증기금에 지난해 한 푼도 출연하지 않았을 뿐더러 외국계 은행의 사회공헌액은 시중은행 중 최하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