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국계銀, 기업대출 ‘외면’

입력 2012-02-15 08:54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외국계 은행들이 기업대출은 외면한채 가계대출을 통한 수익올리기에만 급급하고 있다. 상대적으로 리스크가 큰 기업대출 보다는 개인고객을 대상으로 안전한 금리장사에만 치중하고 있는 것이다.

15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지난해 9월 말 현재 은행권 대출은 기업대출 582조6000억원(55%), 가계대출 445조1000억원(42%)로 기업대출 비중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외국계 은행은 이 같은 분위기와는 전혀 다른 양상을 보이고 있다.

한국스탠다드차타드(SC)은행은 가계대출이 26조9000억원으로 기업대출 8조9000억원보다 세 배 정도 규모가 크다. 한국씨티은행도 가계대출이 14조3000억원으로 기업대출 9조6000억원보다 많았다.

SC은행과 씨티은행의 가계대출 시장 점유율은 각각 6.1%, 3.2% 에 달했으나 기업대출은 1.5%, 1.7%에 그쳤다.

그러나 이들 은행이 외국계로 전환되기 전에도 가계대출에만 치중했던 것은 아니다.

미국 사모펀드가 2000년 초 한국SC은행의 전신인 제일은행을 인수할 당시 이 은행의 기업대출은 5조3000억원으로 가계대출 1조7000억원의 세 배나 됐다.

씨티은행과 통합되기 전의 한미은행 역시 기업대출은 10조7000억원 규모로 가계대출 8조8000억원 보다 컸다.

외환은행도 2002년 론스타에 인수되기 전 기업대출 시장점유율이 5.7%에 달했다. 지금은 4.1% 수준으로 낮아졌다.

현재 외국계 은행의 대출금리는 시중은행에 비해 높은 편이다.

지난해 민주당 박병석 의원이 제출한 국정감사 자료를 보면 씨티은행의 예대마진(대출금리-예금금리)은 4.07%, 외환은행은 3.52%로다. 이는 전체 평균인 2.97%보다 훨씬 높은 수준이다.

대출 규모가 국내 대형 은행에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작은 외국계 은행들이 지난해 대규모 순익을 낸 것은 이같은 금리장사의 영향이 컸다.

외환은행은 지난해 1조7000억원의 순익을 올렸으며, 씨티은행과 SC은행은 3분기까지 각각 4253억원, 3625억원을 거둬들였다.

이 같은 순익에도 외국계은행들은 은행 대출을 받는 중소기업에 보증을 서주는 신용보증기금에 지난해 한 푼도 출연하지 않았을 뿐더러 외국계 은행의 사회공헌액은 시중은행 중 최하위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알림] 이투데이, '2024 CSR 영상공모전'... 27일까지 접수
  • "대출, 진짜 돼요?" 당국 정책 혼선에 차주도 은행도 '쭈뼛'
  • 추석 명절 스트레스 1위는…"언제 오니?" 시댁 전화 [그래픽 스토리]
  • "추석에 생선전도 먹지 말라는데"…응급실 대란에 명절이 두렵다 [이슈크래커]
  • “별다방서 처음 맛보는 마티니 한잔”...스타벅스, 10번째 스페셜 스토어[가보니]
  • [글로벌마켓 모닝 브리핑] 미국 CPI 놓고 엇갈린 해석에 ‘널뛰기 장세’
  • 북한, 동해상으로 단거리 탄도미사일 여러발 발사
  • "무시해" 따돌림까지 폭로한 뉴진스 라이브 영상, 3시간 만 삭제
  • 오늘의 상승종목

  • 09.12 09:32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77,781,000
    • -0.2%
    • 이더리움
    • 3,179,000
    • -1.3%
    • 비트코인 캐시
    • 456,000
    • +2.56%
    • 리플
    • 721
    • -1.5%
    • 솔라나
    • 179,700
    • -1.91%
    • 에이다
    • 480
    • +3.9%
    • 이오스
    • 666
    • +0.45%
    • 트론
    • 208
    • +0.48%
    • 스텔라루멘
    • 126
    • -0.79%
    • 비트코인에스브이
    • 67,300
    • -1.39%
    • 체인링크
    • 14,070
    • -1.33%
    • 샌드박스
    • 345
    • +0.29%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