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 위원장은 16일 서울 동자동에 위치한 한정식 식당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정권말 서비스업 적합업종 선정 작업이 흐지부지 되지 않겠냐는 우려에 대해 이같이 밝혔다.
그는 “서비스업의 적합업종 선정이 간단치 않아 제조업 이상의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며 “이달 23일 서비스업내 여러 대표자와 전문가들의 의견을 듣고, 적합업종의 적정선을 어디부터 끊느냐에 대해 사회와 기업의 의견을 수렴하고자 한다”고 말했다.
유 위원장은 “서비스업내 분야가 다양하고 민감도 차이도 높아 모든 서비스업을 총망라 할 수는 없겠지만, 이런 과정에서 국민이 공감하는 분야는 반드시 나올 것”이라며 “그런 분야부터 먼저 선정해 발표하고, 난항이 예상되는 분야는 그 다음부터 선정하려 한다”고 밝혔다.
지난 10일 제 16차 위원회에서 발표한 동반성장지수와 관련되서는 평가대상 대기업을 달래는 시간을 가졌다.
유 위원장은 “동반지수를 신중하게 발표하면서 국민들께 정말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기업이 있고 동반성장 노력을 하고 있지만 선두와 후발주자가 있다 말하고 싶었다”며 “일부 언론에서 개선에 속한 대기업을 두고 꼴찌와 낙제점, 인민재판 등으로 표현했는데, 최근 발표한 동반지수의 취지는 그것이 아니다”라고 밝혔다.
동반지수 평가 기준에 손을 봐야한다는 지적에 대해서는 “금융비중이 높아 돈 잘버는 기업이 우수에 속하고 업황이 어려운 기업이 불리한 조건속에 평가됐다는 주장이 있는데, 이번 평가에는 이미 업황이 반영됐고 금융비중도 최대 25% 수준의 비중을 차지했는데, 40%나 반영된 것으로 잘못 알려졌다”고 설명했다.
이어 동반지수 선정 기준에 대해서는 개선의 여지를 뒀다. 유 위원장은 “평가 기준에 대해서는 정답을 갖고 하는 것이 아닌 만큼 업황과 금융비중 등을 포함한 기준의 적정성에 대해서는 꾸준하게 검토해 나갈 예정”이라며 “동반지수의 진화 노력은 계속될 것”이라고 밝혔다.
동반지수 발표 효과에 대해서는 “동반위는 대기업과 중소기업 사이에서 다리 역할을 하는 기관이라고 볼 수 있는데 그동안에는 역할에 충실하지 못했다”며 “그러나 이번 지수발표를 통해 중소기업은 말할 것도 없고, 대기업의 문의전화가 빗발치고 CEO가 만나자고 하는 등 대·중소기업과 활발하게 소통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동반위 설립 취지를 완벽히 달성했다고 하기에는 아직 섣부르지만 방향은 제대로 잡아 나아가고 있다는 것을 감지했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