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중앙은행인 일본은행(BOJ)이 자국 국채 금리를 끌어내리고 있다는 주장이 나왔다.
일본은행의 지속적인 금융완화 정책으로 유동성이 과도하게 풀리면서 금리 하락을 유발하고 있다고 월스트리트저널(WSJ)이 12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일본 국채는 유로존(유로 사용 17국) 재정위기의 도피처로 각광받으면서 강세를 이어가고 있다(금리는 하락).
국내총생산(GDP)의 200%가 넘는 채무를 상환할 능력에 대한 의구심이 강함에도 불구하고 지난 4월 추가로 금융완화를 단행한 이래 금리는 꾸준히 하락했다.
11일 오후 한때 장기금리의 지표인 10년만기 국채 금리는 0.790%, 5년물 금리는 0.190%로 2003년 이래 최저치를 각각 기록했다.
RBS증권의 후쿠나가 아키토 수석 채권 투자전략가는 “유럽 상황이 작년 여름 이후 국채 시장에 크게 영향을 주고 있는 것처럼 보이지만 사실은 금융정책이 금리를 결정하는 요인이라는 결론을 내렸다”고 말했다.
WSJ에 따르면 일본은행은 지난 3월말 시점에서 이미 발행된 국채 1000조엔 중 9.7%를 보유했다. 국채 등 자산 매입에 사용한 70조엔 규모의 자산매입프로그램에다 경제 성장을 위한 유동성 공급 차원에서 연간 21조6000억엔의 국채를 사들였다.
애널리스트들은 엔화 강세는 자금이 일본으로 흘러들고 있음을 시사하는 것이지만 이 자금의 대부분이 단기 할인채권에 집중됐을 가능성이 높다고 보고 있다. 최근 공개된 일본은행 자료에서는 투자자들이 올 1분기(1~3월) 단기 할인채권 보유 규모를 1조7000억엔 늘리는 대신 3조6000억엔 어치의 국채를 매각했다.
미즈호증권의 미우라 데쓰야 수석 애널리스트는 “일본은행은 거대 시장의 존재를 이용해 시장의 예상을 교묘하게 조종하고 있다”면서 최소의 비용으로 최대의 효과를 얻기 위해 추가 완화를 단행할 것이라는 믿음을 투자자들에 주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이같은 추가 완화 기대로 국채 금리는 기록적인 수준으로 하락했다”며 “완화에 대한 기대를 과도하게 만드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고 꼬집었다.
다만 다이이치생명경제연구소의 구마노 히데키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경기가 개선돼 일본은행의 국채 매입을 통한 지원이 약해져도 자체 수요에 힘입어 금리는 낮은 수준에 머물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