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월 전기 공급 능력이 지난 5월 하계전력수급대책 발표 당시에 비해 54만7000kW 줄어들 것으로 전망돼 휴가철 이후 8월 전기대란이 현실화되는 것이 아니냐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정부는 27일 오전 박재완 기획재정부 장관 주재로 정부중앙청사에서 위기관리대책회의를 열고 전력수급 등 전반적인 에너지원별 수급 동향을 챙겼다.
이날 회의에서 정부는 8월을 전력 수급의 긴장도가 가장 고조될 시기로 전망했다.
지난 5월 하계전력수급대책 발표 당시 8월 공급 능력을 7854만kW로 예상했으나, 고리 원전 1호기(58만7000kW) 재가동이 불확실해 남제주 내연(4만kW)를 추가해도 예상 대비 54만7000kW나 모자른다.
특히 하계전력수급대책이 제대로 진행되지 않을 경우 8월 3,4주 최대수요 발생일의 예비력은 140만kW 수준까지 하락할 수도 있다. 140만kW는 한국전력거래소가 만든 전력수급 위험 4단계 중 순환정전에 들어가는 심각단계 바로 전인‘경계(긴급절전)’에 해당한다.
실질적인 폭염이 끝나는 8월 이후에도 전력상황은 크게 나아지기 힘들 것으로 보인다.
정부는 9~11월 전망을 하면서 여름철과 유사한 수급 긴장이 지속될 것이라고 밝혔다. 동절기에 대비해 많은 발전소들이 예방정비에 투입되면서 예비전력은 300~500만kW 수준으로 5~8월과 크게 다르지 않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미 정부는 상반기 전력 수급 불안으로 9대 발전기 정비를 상반기에서 하반기로 조정했다.
이에 따라 전력당국은 기습적 폭염과 발전기 고장이 겹치는 등 만일의 사태에 대비해 하계전력수급대책을 더 강화키로 했다. 직접부하제어 및 긴급 절전 대상 확대를 추진하고 민간 자가발전기 등 추가 예비전력 확보를 상시적으로 유지한다는 방침이다.
한편 전력수급 상황이 악화되면서 홍석우 지식경제부장관은 고리1호기 재가동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홍 장관은 26일 기자들과 만나 “전력 수요를 조정하는 비용이 하루에 30억가량이 들고 있고 블랙 아웃이 발생할 수 있는 상황까지 고려하면 이를 돈으로 환산할 수 없다”며 “다음 달 13일부터 고리 1호기의 화력이 100% 나오게 하려면 8월 2∼3일에 가동해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