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발 애그플레이션 주범은 ‘미국 정부’

입력 2012-08-22 10:58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이상기후 불구 풍년 과신…곡물 수확 전망 오류로 시장 왜곡 부채질

미국 정부가 최근 국제 상품시장을 뒤흔든 곡물값 급등의 주범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미국 정부가 가뭄 등 기상이변의 영향을 무시하고 곡물 수확량 전망을 과도하게 낙관하면서 시장 왜곡을 부추겼다고 니혼게이자이신문이 22일(현지시간) 보도했다.

미국 농무부가 매월 발표하는 옥수수 대두 등 곡물 수급 보고서는 국제시장에서 시세를 정하는 기준이 된다.

농무부는 지난 5, 6월 올해 에이커당 옥수수 수확량 전망치를 사상 최고인 166부셸이라고 발표했다.

그러나 7월에는 146부셸로, 8월에는 123부셸로 17년래 최저 수준으로 연달아 하향 수정하면서 6월 전망을 뒤집었다.

일본 자원·식량문제연구소의 시바타 아키오 대표는 “당초 전망이 너무 높았다”고 지적했다.

농무부의 작황 낙관으로 국제 곡물값이 6월까지는 하락하다 7월들어 극심한 가뭄때문에 크게 반발 상승했다는 것이다.

특히 헤지펀드 등 투기 세력들은 미 농무부가 간과한 50년래 최악의 가뭄 영향을 심각하게 받아들였다.

이들은 가뭄에 따른 수급난을 전망하고 곡물 매수에 적극 뛰어들어 곡물값을 끌어올리는데 일조했다.

‘통계의 나라’ 미국이 어쩌다 이런 오류를 저질렀을까.

신문은 농무부가 작황 전망치를 산출할 때 실사가 아닌 통계에 의존하는 실태가 화근이라고 지적했다.

농무부는 매년 5월부터 그 해에 재배하는 곡물 수확량 전망치를 발표한다.

실제로 재배지에 나가 상황을 조사하는 것은 8월분부터다.

5~7월분 수치는 실제 작황이 반영되지 않았을 가능성이 크다는 이야기다.

시바타 대표는 “2011 회계연도 말에도 한 자리(8.2%) 늘어나는데 그쳤을 재고율을 두 자리로 늘렸을 가능성이 있다”고 의문을 제기했다.

재고율은 총 수요에 대한 재고량 비율을 말한다.

미국 경제에 곡물의 수급 불안에 따른 물가 상승은 부담이다.

미 정부는 수급난을 나타내는 낮은 재고율을 되도록 빨리 해소하고자 했을 것이라는 설명이다.

미국 정부의 또 한 가지 실수는 기술 발달로 곡물 수확량이 계속 증가할 것이라는 막연한 믿음이라고 신문은 꼬집었다.

1996년부터 시작된 유전자 조작 품종의 작황 비율은 대두와 옥수수 모두 90%에 달했다.

유전자 조작 품종은 병충해에 대한 내성이 강하고 수확량도 일반 품종보다 10% 이상 많다는 것이 특징이다.

미국 정부는 기록적인 가뭄에 따른 피해를 직시하기보다 통계 관행에 의존했다 된서리를 맞은 셈이다.

축산 농가와 식품업계의 비난 화살이 미국 정부를 향하면서 연료 정책에도 제동이 걸리고 있다.

옥수수 가격이 급등하면서 비용 부담이 커졌고 자연히 정부가 추진하는 바이오 연료정책을 재검토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축산 농가와 식품업계는 “사료용도 부족한데 연료용으로 많이 빠지고 있다”면서 “이것이 가격 상승을 유발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업계는 정부가 바이오 에탄올 사용 의무 규제를 완화하면 곡물 값도 진정될 것이라고 보고 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철도파업 철회' 오늘 첫차부터 정상운행…이용객 불편 해소
  • 디지털헬스케어 토지는 비옥하지만…수확은 먼 길 [빗장 걸린 디지털헬스케어]
  • 2030년 양자기술 시장 155조원…“韓 소부장 육성 서둘러야”
  • K-제약바이오 美혈액학회’서 신약 연구성과 발표…R&D 경쟁력 뽐내
  • 새벽 인스타그램·페이스북 오류 소동…현재는 정상 운영 중
  • 이장우, 연인 조혜원과 내년 결혼 예정…6년 연애 결실 '나혼산' 떠날까
  • "이곳이 주요 정치인 구금될뻔한 B1 벙커?"
  • 계엄 사태가 부른 '디지털 망명'…정치인도 텔레그램 못 놓는 이유 [이슈크래커]
  • 오늘의 상승종목

  • 12.12 09:32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43,429,000
    • +4.2%
    • 이더리움
    • 5,440,000
    • +5.26%
    • 비트코인 캐시
    • 780,500
    • +6.77%
    • 리플
    • 3,390
    • +1.56%
    • 솔라나
    • 322,600
    • +5.84%
    • 에이다
    • 1,543
    • +7.08%
    • 이오스
    • 1,557
    • +5.06%
    • 트론
    • 403
    • +4.95%
    • 스텔라루멘
    • 618
    • +2.15%
    • 비트코인에스브이
    • 95,000
    • +5.5%
    • 체인링크
    • 34,250
    • +9.32%
    • 샌드박스
    • 1,118
    • +12.59%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