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도 오는 12월 19일 대통령 선거를 앞두고 대선 전후의 주식시장 흐름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대선이 우리 증시에 미치는 영향은 어떨까. 대신증권에 따르면 직선제가 도입된 제13대 노태우 대통령부터 제17대 이명박 대통령까지 당선일 이후 1년간 누적 수익률 평균은 17%다. 대선이 악재보다는 호재로 작용한 셈이다. 누적 수익률은 노무현(2003년) 전 대통령 때가 46.4%로 가장 높았고 김영삼(1993년, 40.3%), 노태우(1988년, 39.6%), 김대중(1998년, -3.3%), 이명박(2008년, -37.6%) 대통령 순이었다.
김대중 전 대통령과 이명박 대통령 때의 수익률이 낮은 것은 외환 위기와 글로벌 금융 위기 탓이 크다. 대선보다는 세계 경제 향배에 더 큰 영향을 받았다고 할 수 있다.
때문에 전문가들은 대선이 증시에 미치는 영향이 과거에 비해 약해졌다고 보고 있다. 증시 개방 효과가 본격적으로 나타나기 전까지는 대선 영향력이 뚜렷했지만, 2002년 이후부터는 패턴을 찾기 어려워졌다는 것이다. 국내 변수보다는 해외 변수에 더 영향을 받기 때문이다.
하지만 여전히 대통령 선거와 주식시장은 뗄 수 없는 관계다. 대선 후보의 공약에 따라 다음 정권의 주요 정책이 결정되고 이는 주식 시장에 직접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그래서 대선 때만 되면 정치 테마주가 난립한다.
국내에서 대선테마주가 자리 잡은 시점을 전문가들은 지난 2002년 16대 대선 때라고 보고 있다.
이어 2007년 17대 대선부터는 테마주가 본격적으로 영역을 확장하고 증시 역시 영향을 받기 시작한다. 사돈의 팔촌까지 관련 기업 주가가 크게 출렁거렸다. 후보자들의 정책공약의 수혜주로 분류된 종목들도 춤을 췄다. 이명박 후보의 ‘한반도 대운하’와 정동영 후보의 ‘대륙철도’ 관련주가 대표적이었다.
이번 대선에서도 후보 친인척, 직장, 동문 관련주까지 테마주들이 난무하고 일자리, 철도 등 정책에 대한 발언이 나올 때마다 관련주들이 들썩이고 있다.
하지만 대선 테마주에 무턱대고 투자하는 것은 무모한 도박이나 다름없다. 보통 대선 테마주는 관련 후보의 공약이나 당선 여부에 따라 주가가 결정되지만 막상 대선에서 후보가 당선되더라도 풍선에서 바람이 빠지듯 주가는 대선 이전 수준으로 되돌아간다.
개인 투자자들의 피해가 이어지자 금융감독원은 특별조사팀까지 꾸려 투자자들의 피해를 줄이기 위해 단속을 벌이고 있다.
하은수 금융감독원 테마주 특별조사팀장은 “대선이 치러지는 12월19일 이후 대선 테마주들은 소멸될 것이 불 보듯 뻔하다”며 “이제는 불꽃놀이가 끝났기 때문에 대선 테마주를 매수한 투자자들도 손절매하고 나가야 더 큰 피해를 줄일 수 있다”고 조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