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국의 경우 도시농업은 1990년대부터 발전기에 접어들어 현재 매우 활발하게 이뤄지고 있다. 운영 형태도 일본의 시민농원(약 3000개), 영국의 얼라이트먼트(30만개), 독일의 클라인가르텐(100만개), 캐나다의 커뮤니티 가든 등 다양하다.
특히 미국의 퍼스트 베지터블 가든은 백악관 남쪽 정원의 잔디밭 한 부분을 완전히 들어내고 조성된 점이 눈에 띈다. 백악관 전체 대지 면적의 1.5%에 달하는 1100평방피트 규모에 약 55가지의 채소가 친환경농법으로 재배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도 지난 5월 도시농업의 육성 및 지원에 관한 법률이 제정됐으며 현재 텃밭 가꾸기, 옥상농원, 스쿨팜, 실내외정원, 도시 주말농장, 도시 농업공원 조성 등 목적에 맞는 다양한 지역별 프로그램이 운영되고 있다.
초·중학생의 효과적인 농업 체험학습을 위한 교육도 이뤄지고 있다. 학교 교과 과정과 연계된 스쿨팜에서 학생들은 생명에 대한 존중, 그리고 인간과 식물, 환경의 조화로운 삶에 대한 이해가 높아져 긍정적인 자아발달에 도움을 받는다.
그러나 세계 선진국들이 각자 고유의 도시농업 모델이 정착된 반면, 우리나라는 일부 건설회사에서만 아파트 커뮤니티센터에 식물농장 도입을 시도하고 있는 점은 아쉬운 대목이다. 우리나라에 적합한 도시농업 모델의 개발이 필요한 것도 이같은 이유에서다. 자동차 도로 변에서 50m 내에는 채소재배를 금지하고 있는 독일처럼 우리나라도 도시농업으로 생산된 농산물의 안전성에 대한 평가와 안전재배 기준 설정 등 앞으로 해결해야 할 과제가 많다.
농업은 인간과 자연이 함께 호흡하는 과정에서 먹거리를 생산하고 경제적 가치를 높이는 생업이다. 그 과정 속에서 인간은 심리적, 사회적, 환경적으로 유익한 부분을 얻고 마지막으로 먹거리와 경제적 이득까지 얻는다. 다시 말해서 인간이 살아가는데 적합한 환경, 안정되고 건강한 사회, 균형잡힌 경제발전의 바탕에는 농업이 있는 셈이다.
지금 도시민의 삶은 자연으로부터 점차 멀어져 도시라는 인공적인 환경에서 살아가고 있다. 앞으로 도시민의 삶의 질을 높이고, 지속가능한 미래 건설을 위해서는 도시가 자연을 품어야만 한다. 도시 농업을 통해 대기정화, 정서함양, 여가, 교육과 복지 등 다양한 가치가 도시에서 실현되길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