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을 구입하기에 앞서 부동산 정보업체나 중개업소 등 인터넷을 통해 제공되는 각종 정보를 총 동원해 가격을 비교해보기 마련이다.
그런데 그 가격정보가 제공업체마다 제각각이라면 매수자 입장에선 혼란스러울 수 밖에 없다. 거래가 많지 않아 정확한 시세를 가늠하기 어려운 상황에서 무엇이 진짜 급매물인지 알아내기도 쉽지 않다.
14일 기준 인터넷포털에 올라온 개포주공1단지 49㎡는 7억9500만원 선에 시세가 형성돼 있지만, 현장에선 8억원 아래로는 매물을 찾아볼 수 없다. 서울부동산정보광장 실거래가를 살펴보니 이 아파트 평형대는 지난달 7일 8억2000만원에 계약이 체결됐다. 다른 주택형도 많게는 2000만원 정도 가격 차이가 발생했다.
이른바 미끼매물 탓이다. 시장 침체로 거래가 이뤄지지 않아 일선 부동산 중개업소들이 거래를 부추기기 위해 허위 매물을 내놓는 등 유인책을 사용하는 것이다.
인근 부동산 중개업소 관계자는 “일부 공인중개사들이 포털 등에 미끼매물 정보를 올려 고객을 유인하는 수단으로 활용하고 있다”며 “이런 경우 손님을 유인한 뒤 동과 향을 바꿔 비싼 물량을 소개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고 말했다.
가격이 제대로 책정되지 않다보니 부동산114나 닥터아파트 같은 민간 부동산정보업체 통계도 실거래를 반영하지 못하는 경우가 허다하다.
이들 정보업체는 전국의 아파트 가운데 표본을 뽑은 뒤 업무계약을 맺은 현지 중개업소들의 가격 보고를 바탕으로 주간 및 월간 변동률을 분석한다. 중개업소들의 주관적 보고에 절대적으로 의존하는 경우가 많은 것이다.
실제 수원 영통구에 있는 매탄위브하늘채 107㎡의 경우 현장 시세 3억6000만원에도 매수세가 없지만, 한 민간 정보업체의 인터넷 사이트에는 하한가가 4억원으로 잡혀 있다.
채훈식 부동산1번지 리서치실장은 “회원 중개업소에서 조사된 내용을 종합적으로 판단해서 시세를 내기 때문에 호가 위주의 가격을 낼 수 밖에 없다”며 “요즘같이 거래가 안되는 경우 실거래가와 차이가 있을 수 밖에 없다”고 말했다.
정부가 공인하는 주택시세 정보도 엇갈리는 경우가 있다. 지난 4일 발표된 국민은행의 2월 주택시세 동향에 따르면, 서울 강동구 아파트값은 전달보다 0.1% 올라 17개월만에 상승세로 돌아섰다. 그런데 같은 날 한국감정원에서 발표한 아파트 시세에서는 이 지역 아파트값이 지난달에도 0.14% 떨어져 여전히 하락세를 유지하고 있다.
정부 승인 주택가격조사기관인 한국감정원과 금융기관이 대출을 할 때 근거로 활용하는 국민은행의 시세 정보가 정반대로 나타난 것이다.
현 시장을 바라보는 관점이 다르고 조사방법도 다르기 때문이다. 국민은행 시세는 정보업체와 마찬가지로 호가가 반영된 반면 감정원 시세는 실거래를 우선 반영하기 때문인데, 조사방법의 차이점을 떠나 이는 잘못된 투자나 정책판단의 원인이 될 수 있다.
허명 부천대학교 부동산학과 교수는 “요즘처럼 거래가 많지 않은 상황에서 부동산 가격에 대한 정보 자체가 실제 시장을 반영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며 “현재 상황에선 실거래가와 호가를 적절히 비교해 판단하는 것이 최선일 뿐”이라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