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년 동안 히든챔피언에 선정된 기업들 중에서는‘챔피언’이라는 이름이 부끄럽지 않을 만큼 성장한 기업들도 여럿 있다. 5년 연속 히든챔피언에 선정된 코스닥 상장사는 총 9개사로 이들 기업의 평균 영업이익률은 17.9%, 자기자본순이익률(ROE)도 15.8%에 달한다. 이는 삼성전자 등 대기업에 버금가는 수준이다.
일정 부분 성과를 이룬 것도 사실이지만 논란도 여전하다. 히든챔피언이라는 이름이 무색할 정도의 빈약한 혜택과 부실한 기업 선정 등이 도마에 오르고 있다.
먼저 까다로운 절차를 통해 히든챔피언에 선정되지만 실제 혜택은 투자설명회·IR 개최 지원, 신규 기업분석보고서 발간·배포, 채용지원, 연부과금 면제, 벤처기업소속부로의 편입 등에 불과하다.
한 코스닥업체 관계자는 “히든챔피언이라는 간판 말고는 특별히 대외적 혜택이 없다”며 “거래수수료를 좀 낮춰주는 등 피부로 느낄 수 있는 제도의 도입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히든챔피언 기업들의 상장 폐지와 실적 악화 역시 투자자들에게 불신을 주고 있다. 실제로 지난 2009년 히든챔피언으로 첫 선정된 ‘세실’은 선정 이후 1년 만인 지난 2011년 2월 10일 상장 폐지되며 시장에 충격을 줬다.
세실과 함께 2009년 선정된 에스디 역시 글로벌 헬스케어 기업인 인버니스에 인수되면서 6개월 만에 자진 상장 폐지했다.
히든챔피언 선정 직후 곧바로 실적이 악화되는 기업들이 계속 발생하고 있는 점도 문제다. 시작 첫해인 2009년 히든챔피언으로 선정된 31개사 가운데 11개사는 실적이 뒷걸음질 쳤고, 2010년 히든챔피언에 뽑힌 29개사 중 13개사의 2010년 영업이익이 2009년 대비 악화됐다. 2012년 히든챔피언으로 신규 선정된 7개 기업 가운데 4개 기업의 실적이 1년 만에 쪼그라들기도 했다.
정부와 은행 등에서 비슷한 정책을 펼치고 있는 점도 거래소의 히든챔피언이 경쟁력을 잃게 만드는 원인으로 꼽히고 있다.
정부의 대표적인 육성정책으로는 주무 부처인 중소기업청의 ‘글로벌 강소기업 육성사업’과 옛 지식경제부(현 산업통상자원부)의 ‘월드클래스 300’을 들 수 있다. 정부조직법 개편에 따라 중견기업 정책이 산업부에서 중기청으로 이관되면서 두 정책은 중기청 관할로 최근 통합됐다.
그러나 각각 2010년, 2011년 첫 대상 기업을 뽑아 시행에 들어갔으며, 지금까지 선정된 기업은 각각 287개와 67개다.
여기에 국책은행인 한국수출입은행의 ‘히든챔피언 사업’, 정책금융공사의 ‘프론티어 챔프’ 등도 같은 취지의 사업들이다. 일반은행들이 가세해 만든 유사한 정책만 10개가량이 되고, 대상 기업도 2000개가 넘는다.
한 전문가는 “우리나라 정책이 벤처, 녹색 등 유행에 따라 우르르 몰리는 특성이 있는데 히든챔피언 역시 비슷한 경우라고 볼 수 있다”며 “지난해까지도 정부 부처 13곳에서 200개 중소기업 사업이 각각 진행돼 중복과 비효율이라는 지적이 있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