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대 후반∼40대 초반의 남성 불임 환자가 크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12일 국민건강보험의 진료 통계에 따르면 불임으로 건강보험 진료를 받은 전체 환자는 2008년 16만2000명에서 2012년 19만1000명으로 연평균 4.2% 증가했다. 이 가운데 35∼44세 남성의 불임 치료 환자가 가장 높은 증가율(16.2%)을 보였다.
성별 비교에서도 여성 불임환자는 연평균 2.5% 증가한 데 반해 남성은 11.8% 늘어 남성의 증가율이 여성의 4.7배나 높았다.
이는 사회적 인식이 변화함에 따라 남성들의 불임 검사비율이 높아지고 업무 스트레스와 환경 호르몬 등과 연관이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산부인과 정재은 교수는 "과거에는 불임을 모두 여성의 책임으로 전가하려는 사회적 풍조가 있었으나 불임의 원인 제공은 남성인자도 분명히 있다"며 "근래에 남성 인자에 대한 검사가 활발히 이루어지면서 불임 치료를 받는 남성이 매우 증가한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정 교수는 "업무 스트레스와 고령화, 환경 호르몬 등으로 인한 남성인자의 증가를 고려해 볼 수 있다. 실제로 남성인자 검사 전 약 10일 정도 금욕 생활을 하고 금연, 금주 후 검사를 하면 과거 정자의 운동이 좋지 않았던 경우도 회복돼 좋은 결과가 나올 때도 있다"고 설명했다.
연령별로는 2012년 기준 인구 10만명당 나이별 진료환자 수 30~34세 여성이 3658명으로 가장 많았고 35~39세 여성(1920명), 25~29세 여성(1352명) 등의 순이었다.
최근 5년 동안(2008~2012년) 연평균 증가율은 30대 중후반에서 40대 초중반이 가장 높았다.
남성은 35~44세의 증가율이 16.2%로 가장 높았고 45~49세가 12.8%로 뒤따랐다. 여성은 35~39세와 40~44세의 증가율이 10%대로 가장 높았다. 반면 20대 여성은 5~7% 감소했다.
정 교수는 "결혼 적령기가 20대가 아닌 30대 초반으로 고령화되고, 20대에 결혼을 해도 사회적 기반을 잡기 위해 임신을 미루는 상황이라 불임 치료의 필요성이 대두되지 않은 것"이라고 분석했다.
정 교수는 "불임의 원인이 확실한 경우는 치료가 분명하게 진행되지만 원인 불명의 불임도 20% 정도 된다"며 불임의 기간이 길어지면 배란인 확인, 인공 수정, 시험관 아기 시술 등의 적극적 치료를 모색해야 한다고 조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