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년간 아무도 모른 대출사기]외상매출채권 담보대출 피해 또 있나

입력 2014-02-07 10:36 수정 2014-02-07 13:48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금감원, 全금융권 운영실태 긴급 점검…대기업 맹신 대출 관행 개선 주문

금융당국이 수천억원의 대출사기 피해를 야기한 금융권 외상매출채권 담보대출(외담대) 운영 실태에 대한 긴급 점검에 착수한다. 사기대출이 수년간 지속돼 온 만큼 또 다른 피해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기 때문이다. 금융당국의 검사 확대로 피해 금융사가 추가로 발생할 것으로 전망된다.

7일 금융권에 따르면 금융감독원은 시중은행과 저축은행 등 전 금융권의 외담대 실태를 점검하고 대기업을 맹신하는 금융권의 대출 관행 개선을 강력히 주문할 방침이다.

전일 KT 자회사인 KT ENS 직원과 협력업체 대표 등이 수년간 허위 외담대 발행을 통해 시중은행과 저축은행으로부터 수천억원의 사기대출을 받아온 것으로 확인됐다.

외담대란 대기업(구매기업)이 협력 중소기업(판매기업)에 물품대금을 외상매출채권으로 지급하고 중소기업은 이를 담보로 은행에 돈을 빌리는 제도로 일정 기간이 지나면 구매기업이 대출금을 은행에 대신 상환한다.

현재 금감원이 추산한 대출사기 금액은 약 2800억원이다. 하나은행이 1624억원으로 가장 많고 이어 농협은행 189억원, KB국민은행 188억원 등으로 시중은행의 피해 금액은 2001억원이다. 저축은행은 BS저축은행이 234억원으로 피해 규모가 가장 컸으며 OBS저축은행, 현대저축은행, 인천저축은행, 우리금융저축은행, 아산저축은행, 민국저축은행, 공평저축은행, 페퍼저축은행 등 총 10곳의 저축은행이 800억원의 피해를 입은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검사 초기 단계인 만큼 추가 피해 가능성이 커 앞으로 피해 금융사 및 피해 규모는 더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이에 금융당국은 이번에 피해를 본 시중·지방은행을 포함한 은행권과 증권사 등 전 금융권의 외담대 실태를 점검키로 했다. 저축은행, 증권사 등 2금융권에 대해서는 우선 자체 점검을 실시토록 하고 문제가 있는 금융사는 직접 검사를 실시한다.

아울러 금융당국은 피해 여부 점검과 함께 금융권에 대기업 관련 대출의 점검 및 관행 개선을 요구할 방침이다. 대기업이란 브랜드를 과도하게 믿고 대출 심사를 소홀히 하는 등의 관행을 바로잡기 위해서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망곰이 유니폼, 제발 팔아주세요"…야구장 달려가는 젠지, 지갑도 '활짝' [솔드아웃]
  • "돈 없어도 커피는 못 참지" [데이터클립]
  • K-푸드, 수출 주역으로 '우뚝'…10대 전략산업 넘본다 [K-푸드+ 10대 수출 전략산업②]
  • "서울 집값·전세 계속 오른다"…지방은 기대 난망 [하반기 부동산시장 전망①]
  • 테더 공급량 감소에 '유동성 축소' 위기…FTX, 채권 상환 초읽기 外 [글로벌 코인마켓]
  • 허웅, 유혜원과 열애설 일축…"연인 아닌 친구 관계"
  • 단독 “1나노 공정 준비 착착”…삼성전자, ‘시놉시스’와 1나노 IP 협업 진행 중
  • 셔틀버스 ‘만원’, 접수창구 순조로워…‘무기한 휴진’ 세브란스병원 [가보니]
  • 오늘의 상승종목

  • 06.27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86,105,000
    • -0.19%
    • 이더리움
    • 4,789,000
    • +0.88%
    • 비트코인 캐시
    • 529,500
    • +0.19%
    • 리플
    • 660
    • -0.6%
    • 솔라나
    • 194,300
    • +1.3%
    • 에이다
    • 535
    • -2.19%
    • 이오스
    • 816
    • +0.62%
    • 트론
    • 173
    • -1.7%
    • 스텔라루멘
    • 127
    • -0.78%
    • 비트코인에스브이
    • 62,200
    • -1.66%
    • 체인링크
    • 19,510
    • -1.41%
    • 샌드박스
    • 472
    • +0.21%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