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년 ‘제23회 평창 동계올림픽’을 성공적으로 치르기 위해서는 지나친 투자로 수익 창출에 실패한 나고야 사례를 답습하지 말아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동계올림픽 특성상 대회 이후 비용 부담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현대경제연구원은 23일 ‘평창동계올림픽의 성공 조건’ 보고서를 통해 “올림픽 대회의 성공적 개최는 대회를 통한 국가 이미지 제고, 국민 결속과 자긍심 고취, 경기력 향상, 경제적 이익 창출 등 다양한 기준으로 평가될 수 있다”며 “본 보고서는 이 같은 유·무형의 다양한 성공 기준 중 특히 경제적 이익 측면에 초점을 맞춰 평창 올림픽 성공을 위한 조건을 모색했다”고 연구 취지를 밝혔다.
연구원은 대회 전후의 수입과 지출을 △대회 이전 투자비용 △대회 운영 수지 △대회 이후 시설 유지비 및 관광 수입 등 3가지로 구분하고 1998년 나가노(일본)와 2002년 솔트레이크시티(미국)의 사례를 비교 분석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우선 시설 및 인프라 투자에 가장 많은 지출을 대회는 나가노 올림픽으로 그 규모는 평균 투자 규모의 5배에 달했다. 나가노 올림픽 시설 투자 규모는 57.8억 달러인 반면 이후 벤쿠버 29.0억달러, 솔트레이크 19.7억달러, 토리노 13.7억달러의 순이었다.
또 대회 이후 관광객 유입규모도 솔트레이크는 증가하는 반면 나가노는 큰 폭으로 감소했다. 올림픽 개최지역의 전체 관광객수를 100으로 보면 솔트레이크는 대회 5년전(113.0p) 대비 5년 후에는 118.2p를 기록한 반면 나가노는 같은 기간 104.2p에서 97.9p로 하락했다. 지역으로 유입되는 스키관광객수 지수 역시 솔트레이크는 대회 5년전(98.7p) 대비 개최 5년 후에는 130.0p로 상승한 반면 나가노는 같은 기간 145.1p에서 67.5p로 크게 하락했다.
연구원은 두 개최지의 이 같은 결과는 대회 추진 정책 차이에서 비롯됐다고 분석했다. 우선 솔트레이크는 기존 시설을 최대한 활용해 경기를 위한 추가 지출을 최소화(총 11개 경기장 중 신축 시설 3곳)했으며 경기 이후에도 스포츠 산업과 연계해 사후 시설 활용도를 높이며 수익을 창출했다. 또 여름레포츠 시설과 연계해 체험 공간을 확대, 시설의 관광 자원 전환에 성공했다.
반면 나가노는 올림픽 이후 지속적인 수익 창출에 실패하면서 막대한 시설 투자가 재정 부담으로 전락한 사례로 꼽힌다. 무리한 경기 시설 투자로 5년간 약 14년치 사회간접자본을 선행 지출했다. 또 사후 시설 대부분 지역 주민 수요에 한정돼 수익 창출 효과가 미진했으며 관광 자원 개발에도 실패했다는 분석이다.
이에 연구원은 2018년 평창 동계 올림픽 대회를 성공한 경제 올림픽으로 만들기 위해서는 △대회준비 비용 증액 억제 △고정시설 투자 최소화 △사후 시설 활용도의 제고 △관광객 유입 극대화 등에 주력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연구원은 “대회 준비 비용의 무분별한 상승을 막기 위해 중앙 및 지방 정부의 엄격한 회계 통제가 필요하며 개최 이후 활용도가 불확실한 고정시설에 대해서는 과감하게 건설비용을 최소화해야 한다”며 “이를 위해 지금부터 전담 기관을 창설하고 현실적인 로드맵 구축 및 운영에 들어가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