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찰이 비자금 수사에 착수하자 현대차는 갑작스런 1조원 글로비스 지분 사회환원 발표에 이어 25일 중소기업 협력업체 상생방안을 내놓기도 했다.
게다가 26일엔 몇몇 증권사들마저 현대차의 적대적 M&A가능성까지 거론하고 나섰다.
그러나 업계전문가들은 현대차의 외국인 지분율이 42%를 웃돌지만 그에 못지않게 현대차의 우호지분도 많으며 현대차 그룹의 순환출자로 인해 실제 적대적 M&A가능성은 희박하다는 데 입을 모으고 있다.
앞서 지난해 검찰이 도청테이프 관련, 삼성 이건희 회장을 수사를 한다고 밝혔을 때도 삼성전자의 적대적 M&A설이 불거져 나왔었다.
중소기업 협력업체 상생방안도 마찬가지다.
L모대기업의 하청을 맡은 한 코스닥업체 사장은 "부품 단가를 깎자고 할까봐 이익이 좋더라도 축소시켜서 공시를 해야 한다"고 전했다. 대기업들의 단가 하락압력이 어느 정도인지를 가늠하게 하는 대목이다.
결국 현대차는 불리한 검찰 수사를 적대적 M&A를 빌어, 허겁지겁 내놓은 1조원 기부금을 빌어, 상생방안을 발표하며 어떻게든 '여론'으로 막아보려는 계산인 것이다.
재계에서는 서열 2위인 현대그룹 총수의 구속이 가져올 파장을 염려하고 있다. 환율하락과 유가상승 등 경제위기론을 거론하며 현대차그룹의 특성상 정몽구 회장이 구속될 경우 그룹이 급속도로 와해될 것이라고 밝히기도 했다.
현대·기아차 노조원과 퇴직임직원, 양궁메달리스트들까지 정몽구부자의 선처를 호소하고 나선 상황이다.
잘못된 것이 있으면 바로잡아야 한다. 경제적 '충격'을 막자고 '정의'를 버릴 수는 없는 것이다.
"현대차 사태는 한국 경제의 고질적인 재벌 중심 병폐를 단적으로 드러낸다. 칼 아이칸 사태를 통해 한국인들은 정체불명의 외국인보다는 재벌이 덜 나쁘다고 결론을 내렸다. 97년 외환위기를 겪으며 서울을 글로벌금융허브로 키운다는 한국정부의 구상은 사회에 퍼져있는 분위기와는 근본적으로 다르다. 재벌에 의존하는 효율성을 선호한다면 한국에서 더 이상의 성장은 없다."
블룸버그통신이 칼럼을 통해 밝힌 이 같은 충고를 귀담아 들어야 할 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