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주열 한국은행 총재는 “선진국의 통화정책 정상화 과정에서 신흥시장국의 금융불안과 경기둔화 가능성이 적지 않는 등 세계경제의 성장경로를 둘러싼 불확실성이 여전히 높은 상황”이라고 밝혔다.
이 총재는 2일부터 이틀 동안 소공동 본관에서 주요국 중앙은행과 국제기구 정책 담당자를 초청해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성장잠재력 확충’을 주제로 국제 콘퍼런스를 열고 “성장모멘텀의 유지를 위한 각국의 노력과 국제 공조가 절실하다”며 이같이 말했다.
이날 참석한 이창용 국제통화기금(IMF) 아시아·태평양 국장은 “아시아 경제는 과거와 같은 빠른 성장세를 보이긴 어렵겠지만 세계 경제에서 가장 활발한 회복세를 보일 것으로 전망된다”며 “특히 중국경제가 빠른 속도로 둔화되거나 일본경제의 회복세가 예상에 미치지 못할 경우에는 아시아 경제의 경기가 크게 하락할 가능성이 있다”고 우려했다.
이 국장은 또 “무역과 금융 부문의 아시아내 통합 진전은 경제에 여러 측면에서 긍정적인 효과를 가져올 것이나 위기의 전이, 경기 동조성 심화 등 부정적인 효과도 초래할 것으로 예상된다”며 “특히 아시아 지역은 동조화로 아시아 국가의 위험분산이 어려워지는 만큼 글로벌 및 역내 차원에서의 안전망 구축 필요성이 더욱 증대됐다”고 강조했다.
신현송 국제결제은행(BIS)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세계경제는 글로벌 유동성의 전파경로가 변화해 은행부문의 역할이 중시되던 첫 번째 국면(2003~2008년)을 지나 기업부문의 역할이 확대되는 두 번째 국면(2010~현)으로 진입했다”며 “개별 국가의 기업예금을 모두 미 달러화로 환산한 후 더한 글로벌 기업부문 통화지표가 두번째 국면의 글로벌 유동성을 측정하는 데 유용하다”고 제안했다.
데이빗 블룸 하버드대 교수는 인구구조 변화가 경제성장에 미치는 영향을 강조했다. 블룸 교수는 “한국은 1965~2005년 기간 중에는 인구요인이 연평균 경제성장률을 2.01%포인트 높이는 데 기여했으나, 2005~2050년 기간 중에는 경제성장률을 연평균 0.87%포인트 낮추는 부정적 요인으로 작용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분석했다.
따라서 “정책당국은 정년연장, 여성의 경제활동참가율 제고, 외국인력 도입 등 노동시장 관련 제도 개혁뿐만 아니라 의료·보건 및 연금 제도 개편 등을 통해 인구고령화의 부정적 효과를 완화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