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금융권의 스마트폰 전자지갑 서비스로는 금융결제원의 뱅크월렛, 신한은행의 주머니, 하나은행의 하나N월렛 등이 있다.
하지만 카카오톡 결제가 활성화 되기 위해서는 넘어야 할 산이 적지 않다. 친구를 빙자한 피싱·스미싱 위험에 취약할 수 있는 만큼 이에 대한 대비도 필요하다. 또 금융서비스 과정에서 보안사고 발생시 은행·금융결제원, 카톡결제 신뢰에 치명적이다.
최근 신종 수법을 이용한 금융사기가 활개를 치는 가운데 공인인증서 탈취나 위·변조, 비밀번호 해킹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당초 뱅카는 지난달 초 출시 예정이었으나 하반기로 미뤄진 것도 이같은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 출시를 늦췄다. 금융당국도 보안 강화를 요구하는 등 아직 개선해야 할 점이 적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금융결제원은 뱅카와 관련해 금융당국과 협의 과정에서 보안뿐 아니라 시스템, 서비스 등을 보다 철저히 점검하기로 결론을 내렸다.
금융결제원 관계자는 “금융결제서비스인 만큼 출시 전에 금융당국과 여러가지 논의했다”며“이 과정에서 금융당국이 보안 강화의 필요성을 제시했다”고 말했다.
하지만 뱅카의 하반기 출시도 만만치 않은 상황이다. 뱅크 월렛 카카오가 상용화되기 위해서는 금융당국의 보안성 심의를 통과해야 한다. 그러나 금융결제원과 은행들의 소관 기관이 각각 금융위와 금감원으로 나눠지면서 문제가 복잡해졌다. 담당 기관이 다르다 보니 보안성 심의를 수행할 곳을 한 곳으로 정하기가 애매해진 것이다.
금융당국의 보안 점검을 통과하는 것이 관건인데, 아직까지 보안 심의 신청도 하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금융위원회와 금융감독원 중 심의를 맡을 곳이 정해지지 않았기 때문이다. 심의에 들어가더라도 높은 수준의 보안이 갖춰지지 않으면 허가를 하지 않겠다는 것이 금융당국의 입장이다.
따라서 금융당국은 보안 심의 과정에서 카카오 송금 서비스가 보안·안전상에 문제가 없는지를 살펴 볼 계획이다. 뱅크 월렛 카카오 출시 얘기가 돌았던 초기에는 금융결제원 관계자와 만나 보안상 필요한 사항에 대한 얘기를 나누기도 했다. 이 과정에서 금융당국은 금융결제원에 소비자 보호 차원에서 높은 수준의 보안 마련을 당부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카카오는 앱카드의 취약점으로 꼽히는 부정사용 방지 차원에서 처음 서비스 이용시 투 채널(two channel)방식으로 본인인증을 받아야 한다. 인터넷뱅킹에 가입한 14세 이상의 사용자에 한해 1기기에 1계좌만 허용된다. 하루 송금 한도도 10만원으로 제한할 예정이다.
금융결제원 관계자는 “출시 전 보안쪽에 문제가 없는지 다시 한 번 살펴보고 있다”면서도 “대외적으로 경쟁력을 갖추려면 신속히 기반을 갖추는 것도 중요하다고 본다”고 말했다.
금융권은 뱅카 본격 시동을 앞두고 카카오, 은행, 금융결제원 각각의 서비스 영역과 서비스가 연계되는 접점에서 피싱·해킹 등 차단대책 마련에 만전을 기해야 한다고 보고 있다.
특히 3자간의 책임소재도 분명히 해 문제 발생시 즉각적인 대응이 가능하도록 해야 한다는 지적도 나온다
한편 뱅카 이용자는 카카오 전자지갑에 최대 50만원을 충전해 하루 10만원까지 스마트폰 연락처에 등록된 사람끼리 돈을 주고 받을 수 있다. 송금은 개인 카톡방에서만 가능하고 단체 카톡방에서는 할 수 없으며 송금 및 입금 이력도 조회할 수 있다. 송금서비스 이용 수수료는 100원선으로 초기에는 무료로 이용이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