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행들의 운영리스크 관리시스템이 부실하게 운영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금융당국은 은행권의 잇단 금융사고가 부실한 운영리스크 관리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고 판단, 실태점검 등을 통해 엄중하게 조치해 나가기로 했다.
21일 금융권에 따르면 신한·우리·하나·외환·국민·기업은행 등 6개 은행은 2008년부터 2013년까지 자체 모형을 개발해 운영리스크를 관리하겠다며 감독당국의 승인을 받았지만 부실하게 운영해 온 것으로 나타났다.
운영리스크는 기업 부도에 따른 채권회수 불능 등을 의미하는 신용리스크, 은행이 투자목적으로 보유한 주식·채권·파생상품 등의 손실 위험을 반영하는 시장리스크와 함께 3대 위험 중 하나다. 부실 대출, 횡령 등과 같은 직원의 잘못이나 시스템 오류 등 금융사고로 인해 직접적인 손실을 입을 수 있는 위험이다.
이들 은행이 승인받은 관리시스템은 평소 은행 내부에서 발생할 수 있는 크고 작은 위험 요인들을 수치화함으로써 더 큰 금융사고를 막는 관리 방식이다. 대외신인도가 올라가고 국제결제은행(BIS) 비율에도 긍정적으로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글로벌 은행들은 대부분 활용하고 있다.
그러나 은행들은 감독당국으로부터 승인을 받을 당시보다 운영리스크 관리를 위한 전담 인원을 크게 줄였다. 국민은행은 2008년 전담 인원을 10명 이상 두겠다고 했으나 실제 인원은 절반가량밖에 되지 않았다. 하나은행도 애초 계획보다 전담 인원이 크게 줄었고 우리은행도 상황은 마찬가지다.
특히 이들 은행은 운영리스크 담당자로 업무 경험이 거의 없는 신규 전입 직원이나 대리급 직원을 두는가 하면 담당자도 수시로 교체하는 등 사실상 방치했다.
금감원은 은행들이 전담 인력을 늘리고 전담 조직의 권한을 확대하는 등 운영리스크 관리시스템을 철저하게 운영하도록 강력하게 지도하기로 했다.
또 감사실, 준법지원실과의 원활한 데이터 공유를 통해 내부통제를 단속하고 해외 영업점에 대해서도 본점에서 모니터링 하도록 지도해 나가기로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