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당국·검찰, 임 회장 동시 압박 = 금융당국은 임 회장을 밀어내기 위해 전방위적으로 압박하고 있다. 시간을 끌수록 당국의 책임론이 커질 수 있다는 점을 의식한 것으로 보인다.
금융위원회와 금융감독원은 지난 주말 KB금융 관련 긴급합동점검회의를 개최하고 15일 금감원을 통해 임 회장을 검찰에 고발하기로 했다.
특히 금감원은 KB금융지주와 국민은행 등 자회사에 감독관을 파견해 경영 상황을 밀착 모니터링하고 있다. 직무정지 기간 중 임 회장의 경비 집행은 물론 사내 변호사 조력까지 차단해 그의 손발을 철저히 묶겠다는 의도다. 그러나 임 회장은 금융당국이 결정한 직무정지 3개월 처분을 받아들일 수 없다며 반발하고 있다.
이에 앞서 검찰은 이미 국민은행 주전산기 교체 의혹과 관련해 서울중앙지검 특수1부에 사건을 배당하고 조사에 착수했다. 임 회장이 재정경제부 차관 출신인 만큼 ‘관피아’ 수사 차원에서 개인비리 혐의가 있는지 여부도 확인할 것으로 전해졌다.
만약 이같은 전방위적 압박에도 불구하고 임 회장이 끝까지 버틴다면 금융당국은 KB국민카드 개인정보 유출 이란 두번째 카드를 사용할 것으로 보인다. 그가 KB금융지주 사장 재직 시절 계열사 개인정보 관리에 대한 관리감독 의무 등을 충실히 이행했는지에 대해 다시 한번 들여다 보겠다는 것이다.
사외이사들은 17일 이사회 앞서 15일 간담회를 열고 임 회장의 해임 여부, 그에 따른 후속 조치, 경영 정상화 방안 등을 논의했다. 이사회가 열리기 전까지 임 회장의 자진사퇴 가능성을 열어 주자는 의미다. 임 회장을 대표이사 회장직에서 해임시키려면 이사진 과반수의 찬성이 있어야 한다.
KB금융지주 사외이사 가운데 올해 임명된 3명을 제외한 6명은 임 회장이 사장 시절부터 오랫동안 친분 관계를 유지해 왔다. 금융당국 압박 속에서 이들마저 그에게 사퇴를 권고한 상황이라 임 회장은 더 이상 물러날 곳이 없다.
임 회장으로서도 금융당국과 장기전을 치르기는 부담스럽다. 금융위원회에서 ‘괘씸죄’를 씌워 LIG손해보험 자회사 편입 승인을 미루거나 개인정보 유출 따른 추가 제재를 결정하면 그는 더 궁지에 몰리게 된다. 이에 일각에서는 그의 자진 사퇴 가능성을 조심스럽게 언급하고 있다.
금융권 관계자는 “당국의 압박용 카드는 몇 장 더 남아 있지만 임 회장은 더 이상 막아낼 카드가 없다”며 “KB내분 사태는 이사회가 예정된 이번주가 최대 분수령이 될 것으로 보인다”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