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대통령은 지난달 2일 국무회의를 주재하고 “대기업이 지역 내 창업, 벤처기업 아이디어와 기술을 구체화하고 우수 기술을 직접 사거나 투자하는 등 전 단계에 걸친 지원이 이뤄질 수 있는 창조경제 혁신센터를 설립해 나갈 것”이라고 언급한 바 있다.
즉 창조경제 실현의 대표적 사례로 창조경제혁신센터를 내세워 대기업의 역량을 최대한 활용한 대기업-중소기업 상생을 실천하겠다는 목표다. 이에 전국경제인연합회와 미래창조과학부가 17개 시도별 창조경제혁신센터와 기업 전담지원 체계를 구축하고 있는 것이다.
지역 창조경제혁신센터로는 지난달 삼성그룹과 연계한 대구 지역센터가 가장 먼저 문을 열었다. 이어 SK그룹이 10일 대전 센터에서 출범식을 가졌다.
이어 이달부터 내년 초까지 부산(롯데-유통·관광), 경남(두산-기계장비), 인천(한진-항공), 경기(KT-IT서비스), 광주(현대자동차-자동차), 전북(효성-탄소섬유), 전남(GS-건설·에너지), 충북(LG-전자정보·바이오), 충남(한화-태양광에너지·ICT), 경북(삼성-전자), 강원(네이버-IT서비스) 창조경제혁신센터가 오픈한다. 또 내년 상반기에 서울(CJ-문화), 울산(현대중공업-조선·기계), 제주(다음-IT서비스), 세종(SK-ICT) 창조경제혁신센터가 문을 연다.
이들 기업은 각 지역을 중심으로 해당 산업의 중심기업으로 성장했을 뿐 아니라 시장을 선도하고 있다는 공통점을 가지고 있다.
이석준 미래부 차관은 “대기업이 선도적으로 창조경제혁신센터에 참여해 지역경제 활성화와 대·중소기업 상생협력에 앞장서고, 지역 내 연고기업으로까지 참여가 확산되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기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