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배 면적 증가 덕에 감잣값이 떨어졌다.
26일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에 따르면, 올해 봄감자 도매 가격은 1㎏에 1970원이다. 가격 급등으로 '금(金)자'로 불렸던 지난해 평균 가격(2609원)보다 24.5% 떨어졌다.
봄감자 가격이 내려간 것은 지난해보다 재배 면적이 늘었기 때문이다. 통계청 조사에 따르면, 올해 봄감자 재배면적은 1만
정부가 '금(金)자'된 감자 가격 잡기에 나선다.
13일 농림축산식품부에 따르면 지난달 감잣값은 20㎏에 4만685원으로 평년 이맘때보다 50% 높아졌다. 2017년부터 계속된 작황 부진 여파다. 감잣값은 지난해 봄엔 평년의 4배에 가까운 13만 원까지 뛰었다. 폭염으로 봄감자와 고랭지감자 수확량이 뚝 떨어졌기 때문이다. 농식품부는 봄감자가 본격적으로
고형권 기획재정부 1차관은 5일 “감자는 10월까지 시장접금물량(TRQ) 2600톤을 도입하고, 연말까지 3000톤을 추가 도입해 가격 안정을 도모하겠다”고 밝혔다.
고 차관은 이날 정부서울청사에서 물가관계 차관회의 겸 혁신성장 전략점검회의를 주재하고 “가격 강세를 보이고 있는 농산물에 대해서는 수급조절 등 가격 안정대책을 지속적으로 추진하겠다”며
작황호조에 따른 출하량 증가로 무와 감자 값이 뚝 떨어졌다. 반면 여름 행락철을 맞아 수요가 증가하면서 돼지고기값은 크게 올랐다.
공급과잉에 TV용 액정표시장치(LCD) 등 전기 및 전자기기는 하락세를 보인 반면, 국제유가 상승 여파가 이어지면서 석유류와 화학제품은 상승세를 이어갔다.
20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품목별로 혼조세를 보이면서 6월 생산자물가지
6월 소비자물가지수가 지난해 6월 대비 1.5% 상승하며 9개월 연속 1%대 상승폭을 유지했다. 다만 석유류물가가 크게 오르고, 농산물물가는 전월 대비 안정세에도 불구하고 전년 동기 대비로는 여전히 높은 수준을 보였다.
통계청은 6월 소비자물가지수가 지난해 6월 대비 1.5% 상승했다고 3일 밝혔다. 전월 대비로는 0.2% 하락했다. 농산물 및 석
"아이 주먹만한 감자 한 개가 보통 400~500원 했는데, 요즘은 1천원이 넘어요. 제 기억으로 햇감자가 쏟아져 나오는 5월에 감자가 이 정도로 비쌌던 적은 없는 것 같네요"
이 같은 정 모(71·서울 본동) 주부의 말처럼, 최근 감자 값이 무섭게 치솟고 있다.
달콤한 감자칩 '붐'과 함께 과자 제조업체의 원료 수요가 크게 늘어난 반면,
55년 만에 찾아온 2월 한파 여파로 과일과 채소 등 농산물 가격이 일제히 치솟았다. 기름 값도 뛰고 있어 소비자물가가 다시 불안해질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8일 농수산식품유통공사의 가격사이트에 따르면 청양고추 중품 10kg의 도매가격은 7일 현재 12만600원으로 1주일 전보다 51.5% 상승했다. 한 달 전 대비 81.8% 올랐다. 붉은고추와 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