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항공우주(KAI)는 2030년을 목표로 개발 중인 ‘K-AI(인공지능) 파일럿’의 이름을 공모한 결과 카일럿(KAILOT)이 최우수 작품으로 선정됐다고 4일 밝혔다.
강구영 사장은 “2030년을 목표로 완전 자율형 AI 파일럿 전투체계를 개발해 ‘카일럿’이라는 이름에 걸맞게 진화되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10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K-방산수출 지원을 위한 당정협의회에서 방산업계 대표들이 참석하고 있다. 이날 회의에는 주원호 HD현대중공업 특수선사업 대표, 어성철 한화오션 특수선사업 대표, 박우동 풍산 대표, 이용배 현대로템 대표, 신익현 LIG넥스원 대표, 강구영 한국항공우주산업 대표, 손재일 한화에어로스페이스 대표, 최병로 한국방위산업진흥회 상
한국항공우주산업(KAI)는 지난해 매출 3조6337억 원, 영업이익 2407억 원으로 전년 대비 각각 4.9%, 2.8% 감소했다고 7일 밝혔다.
KAI는 주력 개발 사업의 안정적 추진과 민수 사업의 성장세로 국내 사업과 기체구조물 사업 매출은 각각 전년 대비 8.3%, 5.6% 상승했으나 완제기 수출 분야에선 폴란드 FA-50GF 12대 납품 영향
윤영빈 우주항공청장은 17일 “재사용발사체 기술 개발과 항공 가스터빈엔진 국산화 기술 개발 방안을 마련하고, 세계 최초 L4 지점 우주관측소 구축 사업 등도 체계적으로 기획해 독자적인 영역을 확보하겠다”고 강조했다.
윤 청장은 이날 서울 서초동 JW메리어트 호텔에서 2025년 항공우주인 신년인사회에서 “2025년 우주항공산업은 민간주도 성장이 가속화되는
한국항공우주산업(KAI)은 을사년 새해를 맞아 2일 경남 사천 충혼탑을 방문해 순국선열과 호국영령에 참배하고 헌화 활동으로 올해 경영 활동의 시작을 알렸다.
이번 행사에는 강구영 KAI 사장을 비롯한 경영진과 임직원 등 30여 명이 참석해 K-방산 르네상스 시대를 맞이해 항공우주산업의 도약과 자주 국방력 강화를 견인하겠다는 결의를 다졌다.
한국항공우주산업(KAI)은 21일 미국 캘리포니아주 반덴버그우주군 기지에서 스페이스 X사의 팰컨 9 발사체를 사용해 정찰위성 3호기 발사에 성공했다고 23일 밝혔다.
총 5기의 정찰위성을 띄우는 ‘일명 425 사업’의 일환이다.
강구영 KAI 사장은 “지속적 기술 향상을 통해 국가 우주개발에 기여하겠다”고 말했다.
두산에너빌리티가 한국항공우주산업(KAI)과 항공엔진 개발을 위한 기술 협력에 나섰다.
두산에너빌리티는 KAI와 ‘항공기용 엔진 개발 전략적 협력관계 구축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17일 밝혔다.
이번 협약을 통해 양사는 정부의 항공엔진 중장기 계획에 맞춰 △1만5000lbf(파운드포스)급 유ㆍ무인기용 엔진 개발 △1만lbf급 무인기용 엔진 개발 △100
한국항공우주산업(KAI)은 19일 생산성경영시스템(Productivity Management System) 인증 심사에서 ‘레벨(Level) 8+’를 획득했다고 25일 밝혔다.
KAI는 한국생산성본부의 PMS 인증 현장심사를 받았다. 이를 통해 △리더십 △혁신 △고객 △측정ㆍ분석 및 지식관리 △인적자원 △프로세스 등 6개 부문에서 모두 레벨 8+를 받았
한국항공우주산업(KAI)이 인공지능(AI) 핵심 기술 개발 속도를 올린다.
KAI는 국내 대표 AI 솔루션 기업인 ‘펀진’에 약 133억 원 규모의 투자를 통해 지분 20.27%를 확보해 2대 주주에 올랐다고 21일 밝혔다.
KAI는 펀진과의 전략적 협력관계를 구축하고 차세대 공중 전투체계의 요소기술인 AI 파일럿과 소프트웨어(SW) 개발 역량 강화
한국항공우주산업(KAI)은 한국수자원공사(K-water)와 ‘글로벌 선도형 위성 기술 개발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20일 전했다.
양사는 △ 위성시스템 활용 개념 및 설계 최적화 개발 협력 △K-water 위성 활용플랫폼 개발 및 상용화 공동추진 △항공기 위성 연계 패키지 수출 △공적개발원조(ODA) 확대 등 위성 활용 플랫폼 공급에 협력한다.
글로벌 종합상사 STX는 15일(현지시간) 페루에 국산 차륜형 장갑차를 수출하는 계약을 체결했다고 18일 밝혔다.
이번 방산 계약은 페루 APEC에서 진행된 한-페루 정상회담에서 주요 의제로 채택되며 양국 대통령의 관심을 얻고 있다.
박상준 STX 대표를 비롯해 석종건 방위사업청장, 이용배 현대로템 사장, 이상균 HD현대중공업 사장, 강구영 한국항공우
핵심역량ㆍ효율경영 강화에 초점“항공우주 새역사 써 내려 갈 것”
한국항공우주산업(KAI)은 뉴 에어로스페이스(New Aerospace) 시대를 준비하고 수출 및 양산 물량 확대를 통한 퀀텀 점프와 비전 2050 실현을 위해 조직 개편을 단행했다고 11일 밝혔다.
이번 조직 개편은 경쟁력 강화 TF 결과에 따라 수출ㆍ개발ㆍ생산의 핵심역량 및 효율경영 강
한국항공우주산업(KAI)이 위성통신 탑재체 및 항공·방산 전자 부품 제조 기업 제노코의 경영권 인수를 위한 계약을 체결했다고 8일 밝혔다.
2004년 설립된 제노코는 위성용 시험장비 개발, 지상국 설치 사업, 우주 및 방위사업의 주요부품 개발 및 생산한다.
KAI는 제노코의 최대주주인 유태삼 대표 보유 주식 50%와 2대 주주의 주식 100%를 인수
강구영 한국항공우주산업(KAI) 대표가 7일 '제48회 국가생산성대회'에서 개인 유공자 부문 대통령 표창을 받았다.
KAI는 항공기 개발 조종사에서 대표이사까지 37년간 우주 항공분야의 전문성과 다양한 경험을 바탕으로 항공산업 생산성 향상 활동을 진행하고 있다. 특히 강 대표 취임 이후 일률적인 근시안 전략수립에서 벗어나 2050년 장기적 관점의 회사
한국항공우주산업(KAI)이 KT 및 KT SAT와 손을 잡고 6세대(6G) 이동통신 저궤도 위성 사업을 진행한다.
KAI와 KT, KT SAT 3사는 지난달 31일 KT 광화문 사옥에서 ‘통신위성 시스템 개발 및 6G 저궤도 위성 사업 협력’을 위한 상호협력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3일 밝혔다.
이번 협약에 따라 3사는 통신위성 시스템 핵심기
저궤도 위성, 지연 짧고 통신 빨라스페이스Xㆍ아마존 등 빅테크 경쟁 중KT, 韓 기업 협력으로 산업 주도권 잡는다
KT가 KT SAT·한국항공우주산업(KAI)과 6G 및 저궤도 위성 사업 협력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3일 밝혔다.
이번 업무협약은 지상에서 위성 영역까지 통신 커버리지가 확장되는 6G 시대에서 국내 기업 간 협력으로 저궤도(LEO
전년 比 영업이익 16.7% ↑“지속가능한 성장 기반 마련”
한국항공우주산업(KAI)이 상반기 호실적에 이어 하반기 실적 비상(飛上)을 앞두고 있다.
KAI는 올해 3분기 매출 9072억 원, 영업이익 763억 원의 실적을 거뒀다고 29일 밝혔다.
매출은 작년 동기 대비 9.9% 감소했다. 매출 성장이 정체한 것은 지난해 수주 호황에 따른 기저효과 탓
한국항공우주산업(KAI)은 3일 충남 계룡대에서 열린 대한민국 국제 방위산업 전시회(KADEX)에서 한화시스템, 이스라엘 엘빗시스템즈와 ‘UH/HH-60 성능 개량의 성공적 추진을 위한 3사 배타적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고 밝혔다.
UH/HH-60 성능 개량 사업은 한국 육군과 공군이 운용하는 특수작전용 헬기의 지속적 운영과 작전 수행 능력 향상
한국항공우주산업(KAI)는 10월 1일 창사 25주년을 맞아 사천 본사에서 기념식을 가졌다고 30일 밝혔다.
기념식에는 강구영 사장을 비롯해 부문별 임직원과 박동식 사천시장, 이계훈ㆍ박인호 전 공군참모총장, 주요 고객 등 총 400여 명이 참석했다.
강 사장은 기념사에서 “지난 25년간 대내외 고객들의 지원과 응원이 있었기에 글로벌 항공우주 회사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