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엎친 데 덮친 격'…'거래 절벽' 심화중개사들 "고정요율 등 제도 개선 시급"
‘반값 복비’를 시행한 지 한 달이 지났다. 공인중개 관계자들은 ‘여전히 죽을 맛’이라고 입을 모았다. 반값 중개보수(중개수수료)뿐만 아니라 ‘거래 절벽’ 현상이 장기간 이어지면서 영업 환경이 열악해진 탓이다.
서울 동작구 상도동 J공인중개 관계자는 “애초에 중개수수료로
좌표 찍고 이틀 만에 반대 댓글 1000개소비자 “만족도 떨어지는 만큼 더 낮춰야”
다음 달부터 부동산 중개수수료(중개보수) 개편안이 본격 시행되는 가운데 공인중개사들의 반발이 거세지고 있다. 국토교통부 홈페이지에 입법예고문이 올라오자 한국공인중개사협회는 직접 ‘좌표’까지 찍어가며 반대 여론을 형성하고 있다. 반면 소비자들은 중개보수가 과하다며 중개
정부가 이른바 ‘반값 복비’ 방안을 추진하면서 소비자 단체와 중개업계 간 입장이 극명하게 엇갈리고 있다. 소비자 단체에서는 ‘여전히 복비 부담이 커 더 낮춰야 한다’고 주장하는 반면 공인중개사들은 ‘이번 개편안은 정부의 일방적인 결정’이라며 반발하고 있다.
17일 국토교통부와 국토연구원은 ‘부동산 중개보수 및 중개서비스 개선방안 온라인 토론회’를 개최했
공인중개사 10명 중 7명은 현행 주택 중개수수료가 적당하다고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부동산 정보 플랫폼 '다방'은 자사 앱을 이용하는 공인중개사 357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한 결과 253명(70.9%)이 이같이 답했다고 29일 밝혔다.
기존 중개수수료가 적정하다고 응답한 이유로는 '매물 검증과 중개사고 등 위험 요인에 대한 책임을 중
소비자 "너무 비싼 중개수수료율"중개사 "결코 높은 게 아냐" 팽팽정부 이르면 이달 중 개선안 발표
정부는 이르면 6월 부동산 중개수수료(중개 보수) 개선안을 발표할 예정이다. 국토교통부가 부동산 중개수수료를 두고 "지나치게 비싸다"는 소비자와 "결코 수수료율이 높은 게 아니다"고 맞서는 공인중개사 사이에서 누구의 손을 들어줄지가 최대 관심사다.
김수
국민권익위원회가 현행 부동산 중개보수 요율체계의 구조적 문제를 개선하는 4가지 방안을 마련해 국토교통부에 전달했다. 서울의 아파트 중위가격이 고가 기준인 9억 원을 넘어가면서 부동산 중개수수료가 과도하게 발생한다는 지적에 따른 조치다.
권익위는 현행법상 정해놓은 최고 상한요율(0.9%)과는 별개로 실제 현장에서 주고받는 중개보수 수준(0.5~0.6%대)
정부가 부동산 중개보수(중개수수료) 요율 개편에 나섰다. 수도권과 세종시, 지방 광역시 등 전국의 집값이 급등하면서 중개수수료 부담이 크게 오른 데 따른 조치다.
국토교통부는 국민권익위원회의 개선 권고안을 바탕으로 이르면 6월 최종 개편안을 확정할 방침이다. 권익위 권고 유력안대로 요율이 바뀌면 10억 원짜리 아파트 매매 중개수수료는 현행 최대 900만
정부가 부동산 중개보수(중개수수료) 요율 개편에 나섰다. 수도권과 세종시, 지방 광역시 등 전국의 집값이 급등하면서 중개수수료 부담이 크게 오른 데 따른 조치다.
국토교통부는 국민권익위원회의 개선 권고안을 바탕으로 이르면 6월 최종 개편안을 확정할 방침이다. 권익위 권고 유력안대로 요율이 바뀌면 10억 원짜리 아파트 매매 중개수수료는 현행 최대 900만
정부가 부동산 중개보수의 요율 체계 개편에 들어갔다. 수도권과 세종시, 지방 광역시 등 전국의 집값이 급등하면서 중개보수(중개수수료) 부담이 크게 오른 데 따른 조치다.
국토교통부는 최근 중개서비스 대비 중개보수 부담이 크다는 대다수 국민 의견과 국민권익위원회 개선 권고안을 적극적으로 검토해 중개서비스 개선을 추진한다고 9일 밝혔다.
권익위는 8일 전
그동안 부동산 계약할 때 잔금을 치를 무렵이 돼서야 공인중개사가 수수료를 말해주는 경우가 많았지만 앞으로는 계약단계에서 수수료를 고지하는 방안이 추진된다.
25일 주택업계에 따르면 국토교통부는 이런 내용으로 '공인중개사법' 시행규칙에 담긴 중개대상물확인설명서 서식 등을 개정하는 방안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제까지는 공인중개사가 매물 중개를 할
경기도의회가 ‘반값 중개수수료’를 시행하기로 확정한 가운데 시민단체들이 환영의사를 밝혔다.
경기도의회는 지난 19일 제295회 임시회 4차 본회의를 열어 국토교통부 권고안을 담은 ‘부동산중개수수료 등에 관한 조례 전부개정조례안 수정안’을 재석의원 98명에 찬성 96명, 반대 2명으로 의결했다. 안건 이송일로부터 20일 이내에 도가 조례를 공포해야하는 점을
강원도 의회에 이어 경기도 의회와 인천시 의회가 부동산 중개수수료 조례 개정과 관련해 국토교통부 권고안을 수용해 서울시 등 다른 자치단체로 확산될 지 관심이 쏠리고 있다.
반값 중개수수료 도입은 강원도 의회에 이어 경기도 의회가 2번째다. 인천시 의회도 지난 19일 반값 중개수수료 조례안을 가결하고 오는 23일 본회의에서 최종 처리한다.
경기도 의회는
강원도의회가 고정요율제를 중심으로한 주택의 중개보수체계 개편안을 처음으로 통과시켰다.
13일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국토부가 주택의 중개보수체계 개편안을 마련해 지자체에 조례개정을 지난해 11월 권고한 금일 강원도가 전국 첫 번째로 지방의회를 통과했다고 13일 밝혔다.
강원도의회는 11일 강원도지사가 제출한 조례개정안을 건설경제위에서 원안(정부안)대로
부동산 거래시 공인중개사에게 지급하는 중개보수 요율을 두고 정부와 지방자치단체, 공인중개업계 간 공방이 치열하다.
지난해 정부가 마련한 중개보수체계(수수료) 개선안에 반대하며 집단행동에 들어갔던 공인중개사협회가 이번엔 고정요율제 도입을 목표로 도·시의원들 설득에 나서고 있다.
논쟁을 보면 정부는 중개보수를 고정 요율로 책정할 경우 소비자 부담이 커진다고
경기도 의회는 중개보수 요율 산정 방식을 고정요율로 정한 가운데 상한요율을 원하는 소비자측과 고정요율을 원하는 공인중개사측이 팽팽히 맞서고 있다.
이에 대해 전문가들은 부동산보수요율을 상한요율로 정해 가격 경쟁력을 확보하고 소비자의 권익을 보호해야 한다고 지적한다. 또 일각에서는 장기적으로 고정요율이 소비자들에게 이익이라는 주장도 있다.
◇소비자
공인중개사들은 중개수수료 고정요율이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공인중개사 A씨는 “우리나라 같이 중개료가 1% 이하인 나라는 세계에 없고, 대부분 최하 3%에서 5%다. 우리나라 다음으로 중개료가 적다는 중국도 2.5~2.8% 수준”이라고 설명했다.
현행법에 따르면 중개보수는 공인중개사들의 실비에도 못 미친다는 게 중개사들의 주장이다.
그는 “주택의 경
경기도의회가 중개수수료를 고정요율화하기로 한 것에 대해 시민단체와 도민들의 비난이 거세다. 서민을 외면한 결정이라는 게 비난의 가장 큰 이유다.
경기도의회의 중개보수 관련 안건이 의결된 이후 도의회 홈페이지에는 도의원들에 대한 원성의 글로 가득찼다. 도의원들이 부동산 중개업자를 위해 민생을 내팽개쳤다는 내용이다.
한 도민은 지난 8일 도의회 홈페이
경기도 의회가 부동산 중개보수(중개수수료) 개편과 관련해 정부와 엇박자를 보이고 있다.
현행 중개수수료 체계는 공인중개사가 주택 매매나 임대차 거래를 성사시켰을 때 거래금액에 따라 상한요율 안에서 중개수수료를 받도록 하고 있다.
주택 매매의 경우 5000만원 이하 주택은 중개수수료를 주택가격의 0.6% 이하로, 5000만원 이상∼2억원 미만 주택은
‘반값 중개 수수료’ 시행이 첫 번째 관문부터 벽에 부딪치며 논란이 이어지고 있다.
포문은 경기도의회에서 열었다. 경기도의회 도시환경위원회는 지난 5일 부동산 중개 수수료 인하 방안을 담은 ‘부동산 중개수수료 등에 관한 조례’ 개정안을 심의, 당초 ‘상한 요율’이 아닌 ‘고정요율’로 수정 가결했다. 수정안에는 6억~9억원 미만 주택 매매 중개수수료를
소비자단체 등이 경기도 의회의 부동산 중개수수료 고정요율 조례를 규탄했다.
YMCA는 10일 성명을 통해 지난 2월 5일, 경기도의회 도시환경위원회의 사실상 부동산 중개수수료 부담을 가중시키는 내용을 담은 ‘경기도 부동산 중개수수료 등에 관한 조례(이하 동조례) 개정안 의결은 소비자 부담을 증가시키는 개악이라고 지적했다.
YMCA에 따르면 경기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