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가루쌀 생산단지를 올해 2000㏊에서 내년 1만㏊까지 확대한다. 업체와 지역 베이커리 등에서 제품 개발에 뛰어들면서 수요가 늘어날 것에 대비해 생산량도 5만 톤까지 늘린다는 방침이다.
농림축산식품부는 2024년 1만㏊ 규모로 가루쌀 생산단지를 모집한다고 16일 밝혔다.
올해 가루쌀 생산단지는 2000㏊ 규모로 총 1만 톤이 공급될 예정이다.
지역에서 생산하는 먹거리를 지역 내에서 소비하는 우수 지자체가 선정됐다. 이들 지자체에는 직매장과 산지 유통 시설 등 설치를 정부가 지원한다.
농림축산식품부는 '지역먹거리계획 포괄 지원' 사업자로 지자체 8곳을 선정했다고 11일 밝혔다. 선정된 8개 지자체는 청주시, 서산시, 진안군, 함평군, 영천시, 함양군, 합천군, 제주시 등이다.
지역먹거리계
정부가 올해 적정량의 쌀을 생산하려면 벼 재배면적을 지금보다 3만7000㏊ 줄여야 한다는 분석을 내놨다. 올해 처음으로 도입하는 전략작물직불제를 비롯해 지방자치단체의 감축협약 등을 통해 목표를 달성하겠다는 방침이다.
농림축산식품부는 9일 '2023년 쌀 적정생산 대책'을 발표하고 올해 적정 벼 재배면적은 69만㏊라고 밝혔다. 지난해 기준 벼 재배면적은
◇기획재정부
26일(화)
△부총리 10:00 국무회의(서울청사), 14:00 국회 대정부 질문(국회)
△인도네시아의 정보통신예산 편성 효율화 지원(석간)
△국제통화기금(IMF) 7월 세계경제전망(WEO) 수정 발표(잠정)
△2022년 5월 경제활동인구조사 고령층 부가조사 결과
△KDI FOCUS '금리인상기에 취약계층을 포용하기 위한 법정최고금리 운용방
농림축산식품부는 다음 달 4일까지 '밭작물 공동 경영체 육성 지원 사업' 대상자를 공모한다.
밭 작물 공동 경영체 육성 지원 사업은 채소와 과일, 특작류(참꺠ㆍ땅콩ㆍ버섯 등) 등의 주산지에서 공동 경영체를 조직한 농업법인, 협동조합, 농협 등의 생산비 절감과 작물 품질 향상 등을 돕는 사업이다.
지원 대상으로 선정되면 2년간 교육과 컨설팅, 농기
내년 농림ㆍ수산ㆍ식품 분야에 올해보다 2000억 원(1.1%)이 늘어난 19조9000억 원이 투자된다.
28일 정부가 발표한 '2019년 예산안'에 따르면 내년 농림ㆍ수산ㆍ식품 분야는 올해보다 소폭 증액됐다. 하지만 변동직불금 자연감소분(5000억 원)을 감안하면 사실상 7000억 원이 늘었다.
정부는 스마트 영농, 청년 창업농 육성을 통한 농업
최근 지진과 홍수, 가뭄 등의 자연재해와 조류인플루엔자(AI), 구제역 같은 가축질병이 해마다 반복되면서 주무부처인 농림축산식품부가 보다 근본적인 대책 마련에 나섰다.
내년도 예산을 자연재해와 가축질병 등 분야에 집중 투입해 피해를 최소화시키는 방향에서다.
14일 농식품부에 따르면 2018년 국가 전체 예산 올해보다 7.1% 늘어난 42
정부가 스마트팜 확산을 통해 농산물 생산의 첨단화를 꾀한다.
14일 농림축산식품부 업무보고에 따르면 농식품부는 스마트 온실과 축사 등 스마트 팜 확산을 추진할 방침이다.
이중 시설원예의 경우 2017년까지 현대화된 온실(1만ha)의 40%에 스마트 온실을 보급한다. 특히 첨단형, 복합관리형, 간편관리형으로 세분화해 생산성 향상과 노동력 절감을 꾀한다
이동필 농림축산식품부 장관은 새해 농정 개혁과 쌀 수급 안정을 위해 적정생산을 유도 하겠다는 의지를 밝혔다.
31일 농식품부에 따르면 이 장관은 앞서 배포한 2016년 신년사를 통해 "개혁하지 않으면 침몰한다는 절박한 심정으로 창의와 소통, 배려를 핵심가치로 삼아 우리 앞에 놓인 격랑을 이겨내고 농업인과 국민들이 체감하는 성과를 낼 것"이라고 밝혔다
농업은 우리 경제의 새로운 미래 성장산업이다. 정부는 농식품 산업에 새로운 부가가치와 일자리를 창출하기 위해 6차산업화를 추진하고 있다.
이투데이는 신문 창간 5주년을 맞아 이동필 농림축산식품부 장관을 만나 농업계의 어려운 대내외 여건을 어떻게 극복해 나갈 것인지에 대한 해법을 들어보았다.
“밥쌀용 쌀이 수입되더라도 국내 수요, 쌀값 동향 등을 고려
내년도 예산안 중 농ㆍ식품 분야에서는 잇단 자유무역협정(FTA) 체결에 따른 보완대책과 할랄식품산업 등 신사업 육성에 초점이 맞춰졌다.
우선 정부는 거대 식품시장으로 주목받는 할랄 시장 확대에 초점을 맞춰 올해 처음으로 할랄식품종합 센터를 구축하고 생산시설과 인증비용을 지원하는데 95억원의 예산을 투입한다. 또 자유무역협정(FTA) 보완대책에 따라 피해분
정부가 쌀 가공산업 활성화에 본격적으로 나선다. 최근 가구구조와 식문화 변화에 따라 밥쌀 소비가 줄고, 가공용 쌀 소비는 꾸준히 증가하는 데 따른 것이다.
농림축산식품부는 1일 국무회의에서 쌀 수급불균형 해소, 가공을 통한 쌀의 새로운 부가가치 창출 등을 골자로 하는 '쌀 가공산업 활성화 방안'을 보고했다.
1인당 연간 밥쌀 소비량은 2009
중국과 베트남, 뉴질랜드와의 자유무역협정(FTA)발효로 농수산업 등 분야에 피해가 예상됨에 따라 정부는 8970억원 규모의 보완대책을 마련했다.
정부는 대외경제정책연구원 등 6개 연구기관과 함께 FTA 발효에 따른 산업별 영향을 분석한 결과, 1차 산업인 농축수산업분야에서 2016년부터 20년간 연평균 435억원 규모의 생산이 감소할 것으로 예상했다.
우리나라와 중국ㆍ베트남ㆍ뉴질랜드와의 FTA(Free Trade Agreementㆍ자유무역협정) 타결로 1차 산업인 농축수산업분야에서 2016년부터 20년간 연평균 435억원 규모의 생산이 감소할 것으로 예상됐다.
5일 정부 당국에 따르면 중국ㆍ베트남ㆍ뉴질랜드와의 FTA 타결로 농수산업분야에서 내년부터 2035년까지 총 8693억원 규모의 생산이 줄어들
한ㆍ중국, 한ㆍ베트남, 한ㆍ뉴질랜드 자유무역협정(FTA)의 비준동의안이 국회에 제출됐다. 이들 3개국 FTA가 발효되면 10년간 국민이 누릴 수 있는 실질적인 혜택이 150억 달러 증가하고 제조업 수출이 늘어날 것으로 기대되지만 농축수산업 부문은 생산감소로 인한 타격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정부는 FTA 효과가 이른 시일 안에 현실화될 수 있도록 3개 FTA
농림축산식품부는 생산자 등 민간이 주도적으로 참여하는 농산물 수급 안정체계를 구축할 계획이라고 6일 밝혔다.
농식품부는 이를 위해 품목별로 주산지 협의체를 구성하고 ‘밭작물 공동경영체’를 육성해 작물의 생산과 자율적인 수급 조절을 맡길 계획이다.
또 ‘사전 생산안정제도’를 통해 재배 면적 등을 조절하고 참여 농가에 가격 등락과 관계없이 평년 가격의 8
지난해에는 유례없는 기상 호조와 재배면적 증가, 경기 불황에 따른 소비부진 등으로 인해 배추, 무, 양파 등 대부분의 채소 가격이 급락했다.
정부는 농산물 수급불안 상황에 효율적으로 대처하기 위해 2013년부터 생산자와 소비자단체 대표, 정부, 학계 전문가들로 구성된 농산물 수급조절위원회를 운영하고 있다. 농산물 가격 급등락이 예상될 경우 위원회의 합의와
정부가 고부가 식품산업 육성을 통해 2017년까지 농식품 수출 100억달러를 달성하겠다는 계획을 밝혔다. 또 식품제조업체의 국산 원료 사용 비율을 높이고 10대 전략품목을 개발하겠다는 구상도 내놨다.
이동필 농림축산식품부 장관은 19일 경기도 안성팜랜드에서 박근혜 대통령 주재로 열린 ‘농업 미래성장산업 대토론회’에서 ‘농업의 미래성장산업화 추진방안’ 이라
도시에서 농촌으로 이동하는 인구가 역대 최고 규모를 기록하고 있다. 이른바 ‘베이비부머’ 세대의 은퇴가 본격화되면서 은퇴 후 새로운 삶을 찾아 귀농하는 인구가 늘어난 것으로 분석된다.
11일 농림수산식품부가 각 도별 귀농인구를 예비집계한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귀농 가구는 2011년 10월 현재 총 5500가구로 추산됐다. 2010년 4067가구보다 약 3
베이비붐 세대(1955~1963년생)의 은퇴로 지난해 귀농 인구가 역대 최고 수준인 것으로 집계됐다.
11일 농림수산식품부에 따르면 도별 귀농인구 예비 집계 결과 지난해 귀농 가구 수는 6500가구에 달한다. 2010년 4067가구보다 60% 증가한 규모다.
귀농인구는 2002년 769명에 불과했다가 이후 꾸준히 증가해 2007년 2000명, 2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