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교통부는 강우 시 콘크리트 타설로 인한 품질 저하 예방 등 우기 대비 콘크리트 품질관리를 위한 현장점검을 추진한다고 18일 밝혔다.
국토부는 올해 우기에는 국토관리청, 국토부 산하 공공기관, 지자체 등과 협조해 강우 시 콘크리트 타설로 인한 콘크리트 품질 등에 문제가 없도록 더욱 철저히 점검·대응할 계획이다.
우선, 5월부터 전국 건설 현장 대상
국토교통부는 강우ㆍ강설 시 콘크리트 품질관리 강화 방안을 담은 일반콘크리트 표준시방서 개정(안)과 가이드라인(안)을 마련했다고 29일 밝혔다.
국토부는 30일 정부세종청사에서 한국건설기술연구원 국가건설기준센터와 한국콘크리트학회 공동으로 관련 설명회를 개최한다.
설명회에는 건설공사 발주청, 학계, 업계 등 콘크리트 품질관리 관계자들이 참석한다. 집필진
국토교통부는 스마트 건설 활성화를 위해 건설자동화 기술과 OSC 건설공사에 대한 표준시방서를 연내 제정한다고 13일 밝혔다.
건설자동화 기술과 OSC 공법은 공사 기간 단축, 시공 품질 확보, 안전사고 예방 등 다양한 장점이 있으나, 그간 공통으로 적용할 시공기준이 없어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데 어려움이 있었다.
이에 국토부는 한국건설기술연구원 국가건
국토교통부는 국가건설기준 간 중복 또는 상충 여부에 대한 분석을 위해 인공지능 프로그램 개발을 추진하고 있다고 23일 밝혔다.
그간 국토부는 20개 분야, 약 1140여 개에 달하는 국가건설기준 제·개정을 위해 관련 학회 등 전문가가 참여하는 검토 절차와 중앙건설기술심의위원회 심의를 통해 국가건설기준을 관리·운영해왔다. 그 과정에서 일부 상충하는 부분
국토교통부는 건설기계 자율화 기술 중 하나인 '머신가이던스/머신컨트롤'(MG/MC)의 표준 시공기준을 마련해 건설공사 무인화 및 자동화를 위한 초석을 다질 것이라 17일 밝혔다.
MG/MC 기술은 굴삭작업 시 활용하고 있는 스마트건설 기술이다. 장비에 부착된 센서와 모니터를 통해 작업자를 보조하고, 기울기 센서로 움직임을 인지해 작업 도구를 제어하는
정부가 건설현장의 부적합한 레미콘 사용을 근절하기 위해 '단위수량(水量) 품질검사 기준'을 마련한다.
30일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다음 달 1일 단위수량 품질검사 기준 마련을 골자로 한 'KCS 14 20 00(콘크리트공사 표준시방서)'을 고시한다. 단위수량이란 굳지 않은 콘크리트 1㎥ 중 포함된 물의 양을 의미한다. 콘크리트의 강도나 내구성 등 품질에
광주 화정동 HDC현대산업개발 신축 아파트 붕괴 사고를 수사하는 경찰이 콘크리트 받침대(역보) 설치와 임시 지지대(동바리) 무단 철거를 주요 붕괴원인으로 추정했다.
광주 서구 신축아파트 붕괴사고 수사본부는 25일 언론 브리핑을 통해 “역보가 계획과 다르게 설치됐고 콘크리트 무게를 지지해야 할 동바리가 사전에 무단 철거됐다”며 “붕괴 사고의 치명적 원인으
한국건설기술연구원(이하 건설연)이 남북 경협에 대비해 북한의 사회간접자본(SOC) 개발 연구를 본격화하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신원종합개발을 비롯한 코스닥 중소형 토목 건설사들에게 새로운 시장이 열릴지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2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건설연은 남북정상회담에서 언급된 북한의 인프라 문제와 관련해 노후화된 환경을 개선시킬 수 있는 건설기술
남북정상회담의 후속조치로서 남북경제협력이 활성화할 것으로 전망되는 가운데 남한의 건설기술 연구와 북한의 노후화된 사회간접자본(SOC) 개발 수요를 접목하기 위한 대응노력이 구체화되고 있다.
한국건설기술연구원(이하 건설연)은 남북정상회담에서 언급된 북한의 인프라 문제와 관련해 '통일북방연구센터' 운영을 비롯한 각종 북한 관련 건설기술 및 제도연구에 들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