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대통령이 4일, 대구·경북 통합 신공항 2030년 개항 추진과 달성군 국가 로봇 테스트 필드에 2000억 원 투입 등 지역 발전 청사진을 제시했다. 교육발전특구 추진과 함께 대구 동성로 일대 관광특구 지정, 국립공원 팔공산 탐방 인프라 확충 등 계획도 밝혔다.
윤 대통령은 이날 대구 경북대에서 '첨단 신산업으로 우뚝 솟는 대구'라는 주제로 16번
2031년까지 디지털 기업 1000개ㆍ상주인력 2만명 유치 목표
정부가 대구 수성알파시티를 디지털 인재와 기업이 집적된 ‘국가 디지털 혁신지구’로 본격 조성한다는 계획을 발표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과기정통부)는 4일 대구 경북대에서 윤석열 대통령 주재로 열린 ‘국민과 함께하는 민생토론회: 첨단 신산업으로 우뚝 솟는 대구’에서 이러한 계획을 보고했다.
윤석열 대통령이 4일 대구에서 '대구·경북 통합 신공항 2030년 개항'부터 로봇·미래 모빌리티 산업, 인공지능(AI)·빅데이터 연구·개발(R&D) 전진기지 도약, 대구 교육발전특구, 팔공산 국립공원 승격과 동성로 일대 관광특구 지정 등 지역 현안 해결을 약속했다.
이와 함께 지역 기반 의과대학 정원 및 지역인재 TO 대폭 확대로 지역에서 질 좋은 의료
올해, ‘국가 디지털 혁신지구’ 시범지역 2곳 추가 선정인공지능 등 신기술 융합 촉진
과학기술정보통신부(과기정통부)는 총 56개의 지방 디지털 혁신 사업에 5770억 원을 투입한다고 17일 밝혔다. 이는 재정 건전성 기조하에서도 지난해 대비 237억 원이 늘어난 규모다.
과기정통부는 윤석열 정부의 핵심 과제인 '대한민국 어디서나 잘사는 지방시대 구현
윤석열 대통령은 2일 "교육과 의료는 직원과 그 인재의 가족이 가장 중요시하는 분야이기 때문에 이것이 바로 지역의 기업 유치, 균형 발전의 핵심"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교육 혁신은 지역이 주도하는 것으로 중앙정부는 쥐고 있는 권한을 지역으로 이전시킬 것"이라고 강조했다.
윤 대통령은 이날 대전컨벤션센터 그랜드볼룸에서 열린 '제1회 지방자치 및 균형
산업부‧과기부‧중기부 등 부처별 사업 연계‧지원2026년까지 핵심기술 R&D에 국비 280억 투입2027년까지 문화특구 1곳 당 최대 200억 지원첨단산업 생태계 조성…2조3천억 R&D사업 추진
지방 대도시 도심에 ‘지방판 판교테크노밸리’를 만들자는 도심융합특구가 속도를 낸다. 최근 도심융합특구특별법 제정안이 국회를 통과하면서 지방시대 4대 특구 중 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