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한국형 미 항공우주국'(NASA)을 목표로 우주항공청 신설을 추진하고 있는 가운데, 국회에서는 20일 전문가들의 의견을 듣기 위한 세미나가 열렸다. 우주항공청은 본래 윤석열 대통령의 공약에 따라 '경남 사천'으로 입지가 사실상 확정되는 분위기였지만, 야당 등 일각에서는 인재 유치 등을 위해 대전 등으로 입지 변경이 필요하다는 지적도 제기되고 있
‘우주까지 새 세상을 개척한다,’
내일(21일) 오후 발사되는 누리호는 2009년 개발에 착수해 12년간 약 2조 원이 투입됐다. 러시아와 공동 개발했던 나로호와 달리 순수 국내 기술로만 개발된 누리호가 성공적으로 발사된다면 한국 우주항공 기술 발전을 넘어 국내에도 ‘뉴 스페이스’(민간 주도 우주 개발) 시대에 첫 발을 내딛는 지표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미국의 우주안보재단(SWF)과 유럽 유럽우주정책연구소(ESPI), 유럽우주법센터(ECSL), 일본과 프랑스의 일본우주포럼(JSF), 전략연구재단(FRS) 등 국가 우주정책 수립을 지원할 전문가 집단, 이른바 ‘싱크탱크’가 구축된다.
한국항공우주연구원, 한국천문연구원, 국방과학연구소 등 전문가 파견을 통해 우주정책 역량을 결집한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