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대통령 제44주년 5·18민주화운동 기념식 찾아-5·18 기념식 3년 연속 참석, 노무현 전 대통령 이후 처음-尹 "온 국민이 행복하고 풍요로운 희망찬 미래로 나아가는 것이 오월 정신 계승"-5·18 정신 헌법수록 언급 없어
윤석열 대통령은 18일 "온 국민이 행복하고 풍요로운 희망찬 미래로 나아가는 것이 오월의 정신을 올바르게 계승하는 일"이라
대한민국과 일본 대표 경제단체의 싱크탱크가 저출산 문제 극복을 위한 기업의 역할 모색을 위해 자리를 마련했다.
28일 한국경제인협회 산하 한국경제연구원은 서울 FKI타워 컨퍼런스센터에서 일본경제단체연합회 산하 21세기정책연구소와 함께 ‘저출산과 지역소멸 극복을 위한 기업의 역할 : 한ㆍ일 경험과 비교’ 세미나를 개최했다.
정철 한경협 연구총괄대표 겸
변화하는 산업구조와 고용형태에 맞게 노동관계법을 다원화, 유연화해야 한다는 제언이 나왔다. 2022년도 최저임금을 재심의해야 하고, 최저임금 결정 체계 자체도 손봐야 한다는 의견도 제시됐다.
한국산업연합포럼(KIAF)과 자동차산업연합회(KAIA)는 28일 ‘4차 산업혁명 대응 노사관계 발전 방향’을 주제로 제12회 산업발전포럼 겸 제17회 자동차산업발
더불어민주당 대선후보 경선기획단은 27일 선수(選數)별 대표위원 등 내부인선을 했다. 같은 날 군소 대권 주자들은 짧은 예비경선 일정에 불만을 표출했다.
경선기획단은 앞선 1차 인선인 공동단장 강훈식 의원, 총괄간사 송갑석·서삼석·김원이 의원 임명에 이어 이날 2차 인선에선 당내 그룹별 대표위원들을 선임했다.
먼저 초·재선 및 3선 이상 의원 그룹별
지난해는 대한상의, 경총, 전경련 등 기업들을 대변하는 경제단체들의 수난시대였다. 박용만 대한상의 회장, 손경식 경총 회장 등 경제단체 수장들이 국회를 찾아 ‘기업 3법’ 등에 대해 우려를 전달했지만, 정치권은 꿈쩍도 하지 않았다.
박용만 대한상의 회장은 지난해 송년 인터뷰에서 “규제를 완화하는 법은 안 해주고 기업에 부담되는 법안들을 막 처리해버릴 때는
최태원 SK그룹 회장이 4대 그룹 총수 중 처음으로 대한상의 회장직을 맡게 되자 향후 정치권과의 소통에도 관심이 쏠리고 있다. ESG(환경ㆍ사회ㆍ지배구조) 경영, 사회적 경제 등 경영계에 새 바람을 불러올 것이라는 관측도 나온다.
그동안 정부가 주요 법안을 추진할 때마다 경영계를 '패싱'한다는 지적이 제기돼 왔다.
경영계 패싱이라는 지적이 이어지자
한국무역협회 차기 회장에 구자열 LS그룹 회장이 단독 추대되면서 국내 5대 경제단체장들이 모두 기업인들로 꾸려졌다. 기업규제 3법 등 최근 정치권에서 기업들을 규제하는 내용의 입법이 연이어 이뤄진 가운데, 경제단체들이 새 틀 짜기에 돌입했다.
무협 회장단은 19일 삼성동 무역센터에서 회의를 열고 구 회장을 차기 무역협회장으로 만장일치 추대했다. 구 회
이동근 현대경제연구원장이 사실상 한국경영자총협회(경총) 부회장으로 낙점됐다.
경총 회장단은 17일 오전 서울 중구 웨스틴조선호텔 회의에서 이 원장을 차기 상근부회장 후보로 단독 추천하기로 합의했다.
오는 24일 경총은 총회를 열고 이 원장을 부회장으로 선임할 예정이다.
이 원장은 산업자원부 산업정책국장과 지식경제부 무역투자실장 등을 거쳐 대한상공회의
이동근 현대경제연구원 원장이 차기 한국경영자총협회 상근부회장 후보에 오른 것으로 알려졌다.
16일 경제계에 따르면 손경식 경총 회장은 최근 사의를 표명한 김용근 상근부회장 후임자로 이 원장에게 부회장 제안을 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 원장은 산업자원부 산업정책국장과 지식경제부 무역투자실장 등을 거쳐 대한상공회의소 상근부회장, 현대경제연구원 원장을 역임했
임기를 1년 남긴 한국경영자총협회 김용근 상근부회장이 물러난다.
14일 경총과 재계 등에 따르면 김 부회장은 설 연휴 전 손경식 경총 회장에 사의를 표명한 것으로 전해졌다.
김 부회장은 산업자원부 관료 출신으로 한국자동차산업협회장이었던 2018년 경총 상근부회장으로 자리를 옮겼다. 지난해 2월 연임돼 내년 2월까지 임기를 이어가던 중이었다.
재계에
경영계가 오는 8일 중대재해기업처벌법(중대재해법)의 국회 본회의 처리를 앞두고 강하게 반발하고 있다.
한국경영자총협회(경총)는 5일 중대재해법 정부 협의안에 대해 조목조목 반박한 경영계 입장을 국회 법제사법위원회에 제출했다. “사업하지 말라는 것”이라며 해당 법안에 반발해온 중소기업·소상공인들도 국회를 연일 방문하며 입법 중단을 촉구했다.
경총은 중대
법사위 소위 참석해 의견 전달…양측 모두 비판김용균 씨 어머니 "정부안 받아들일 수 없어"김용근 경총 부회장 "법 신중하게 추진해야"
정부가 제출한 중대재해기업처벌법을 두고 고(故) 김용균 씨 어머니를 비롯한 산업재해 유가족 측과 경영계 모두 비판의 목소리를 높였다. 유가족 측은 정부안이 법 취지에 안 맞는다는 입장이다. 경영계는 중대재해법 자체가 없
김용근 한국경영자총협회 상근부회장이 16일 오전 서울 중구 프레스센터에서 열린 '중대재해기업처벌법안 입법 추진 관련, 30개 경제단체·업종별협회 공동 기자회견'에 참석해 발언을 하고 있다. 참가단체들은 이날 기자회견에서 "헌법과 형법을 크게 위배하면서까지 경영 책임자와 원청에 대해 필연적으로 가혹한 중벌을 부과하려는 중대재해기업처벌법안의 제정에 반대한다"
김용근 한국경영자총협회 부회장을 비롯한 주요 경제단체 관계자들이 16일 서울 중구 프레스센터에서 열린 '중대재해기업처벌법안 재정에 대한 경제계 공동 기자회견'에 참석해 인사하고 있다. 참가단체들은 이날 기자회견에서 "헌법과 형법을 크게 위배하면서까지 경영 책임자와 원청에 대해 필연적으로 가혹한 중벌을 부과하려는 중대재해기업처벌법안의 제정에 반대한다"고 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