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년 전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린 세계 최대 정보기술(IT)ㆍ가전 전시회 'CES 2014'를 찾은 기자가 가장 관심 있게 본 제품은 스마트 안경이었다. 당시 '구글 글라스'와 소니 '스마트 아이글라스'를 직접 체험해 봤는데, 새로운 경험이었다.
'구글 글라스'를 쓰고 오른쪽 안경 테두리를 쓸어내리자 눈앞에 지도가 펼쳐졌다. 대형 화면에서 펼쳐지는
차 한 대 탑재수 1100개…37.5%↑삼성, '퀄컴'과 차량용 칩 첫 협력LG전자, 차량용 MCU 개발ㆍ인증
자율주행 기술 발전, 전기차(EV) 전환 가속화 등으로 차량용 반도체 시장이 급성장하고 있다. 이에 국내 기업들은 파트너십 강화, 자체 솔루션 개발 등 시장 선점에 총력을 다하고 있는 모양새다.
10일 시장조사업체 욜에 따르면 전 세계 차량용
루닛, 아스트라제네카와 비소세포폐암 관련 병리 솔루션 공동개발로슈진단 ‘네비파이’에는 병리 플랫폼 ‘루닛 스코프 PD-L1’ 탑재딥바이오, 로슈진단‧패스AI 솔루션에 전립선암 AI 분석 제품 탑재
국내 의료 인공지능(AI) 기업이 글로벌 기업과 공동연구나 제품에 솔루션을 탑재하는 등 다양한 방식의 협업을 강화하고 있다. 바이오기업이 기술이전하는 형태의
“정확한 진단이 의료적 판단의 기본이 됩니다. 진단검사가 없으면 치료를 할 수 없는 만큼 진단이 얼마나 중요한지 인식해야 합니다.”
전사일 대한진단검사의학회 이사장(서울아산병원 진단검사의학과 교수)은 5일 한국로슈진단이 서울 코엑스에서 ‘진단검사가 제시하는 미래 의료와 혁신’을 주제로 개최한 기자간담회에서 이같이 밝혔다.
전 이사장은 “진단검사의학은
한국로슈진단은 서울 중구 롯데호텔 서울에서 진행되는 ‘제1회 대한병리학회 국제학술대회(The 1st International Congress of KSP)’에 참가했다고 1일 밝혔다.
이번 학술대회는 제76회 대한병리학회 가을 학술대회이자 제1회 KSP 국제학술대회로 ‘새로운 지평을 향한 첫걸음(The First Step toward a New Hori
딥바이오가 10월 10일 서울 강남구 코엑스에서 개최되는 국내 최대 디지털 혁신 박람회 ‘디지털 혁신 페스타 2024 (DINNO 2024)’에 참가한다고 26일 밝혔다. 딥바이오는 헬스케어 공동관에서 부스를 운영하며 마케팅을 진행할 예정이다.
이번 행사는 ‘AI On, Future Here’를 주제로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주최하고 한국소프트웨어산업협회
국내 인공지능(AI)·딥테크 스타트업의 투자 유치와 글로벌 진출을 위한 교류의 장이 열렸다.
경기도가 주최하고 경기도경제과학진흥원(경과원)과 스페인 사우스서밋(South Summit)이 공동 주관하는 ‘2024 경기스타트업서밋 ×South Summit Korea’가 25일 사흘간 일정으로 수원컨벤션센터에서 막을 올렸다.
이번 박람회는 스페인 사우스서밋과
딥바이오는 자사의 전립선암 분석 인공지능(AI) 알고리즘인 딥디엑스 프로스테이트를 로슈 진단의 네비파이 디지털 병리 플랫폼에 통합한다고 11일 밝혔다.
딥바이오는 이번 로슈 진단과의 협력을 통해 자사의 디지털 병리학 역량을 강화하고, 딥디엑스 프로스테이트를 필두로 향후 종합적인 AI 솔루션을 제공할 예정이다.
이번 통합에 따라 딥바이오는 전 세계적으로
루닛이 강세다. 스위스 제약사 로슈의 진단사업부 로슈진단에 인공지능(AI) 병리 분석 소프트웨어 ‘루닛스코프’를 공급한다는 소식이 오름세를 이끈 것으로 보인다.
오후 2시 9분 기준 루닛은 전 거래일 대비 16.07%(5800원) 오른 4만1900원에 거래 중이다.
이날 루닛은 로슈진단에 ‘루닛스코프 PD-L1’을 공급한다고 밝혔다. 루닛스코프는 로
루닛은 글로벌 생명공학기업 로슈의 진단사업부 로슈진단의 '네비파이 디지털 병리(Navify Digital Pathology, 이하 네비파이)' 플랫폼에 AI 병리분석 솔루션 '루닛 스코프 PD-L1'을 통합한다고 10일 밝혔다. 로슈가 디지털 병리분석 협업 생태계를 구축하기 위해 루닛의 AI 솔루션을 도입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네비파이는 병리학자의
제이앤피메디와 항암 신약 개발 전략 컨설팅 기업 메디라마는 전략적 제휴를 통해 항암 신약 개발 전 과정에서 성공을 가속할 수 있는 전주기 서비스를 출시했다고 21일 밝혔다.
이번 서비스는 양사가 체결한 ‘항암 신약 개발 업무 협약’ 이후 첫 결과물이다. 메디라마의 임상 개발 컨설팅 ABCD 플랫폼과 제이앤피메디의 임상시험 데이터 플랫폼 메이븐 클리니컬
아이엠바이오로직스가 중국 화동제약에 임상 1상 단계의 이중항체 기반 자가면역질환 치료제 IMB-101의 라이선스 계약을 체결했다고 16일 밝혔다.
IMB-101은 OX40L와 TNF를 동시에 타깃하는 이중항체 신약으로 아이엠바이오로직스의 리드 파이프라인이다. 개발 초기 HK이노엔과 와이바이오로직스간의 협업을 통해 발굴했다.
화동제약은 중국 10대
가수 겸 뮤지컬배우 옥주현이 라디오 생방송에 지각해 청취자들에게 사과했다.
24일 방송된 SBS 파워FM '박하선의 씨네타운'에는 뮤지컬 '베르사유의 장미'의 두 주연 배우 옥주현, 김성식이 게스트로 출연할 예정이었다. 하지만 이날 옥주현은 교통 사정으로 지각했다.
이에 DJ 박하선은 청취자들에게 상황을 설명하며 "옥주현 씨가 교통 사정 때문에 조금
넥스페이스, 어돕션2024서 메이플 유니버스 생태계 발표메이플Nㆍ마켓 등 5개 앱으로 ‘기여-보상’ 생태계 구축7월 테스트ㆍ8월 중대 발표 예고…“연말까지 발표 지속”
메이플스토리 지식재산권(IP)을 활용한 블록체인 게임 ‘메이플스토리 유니버스’의 구체적인 윤곽이 드러나고 있다. 게임을 개발 중인 넥슨의 블록체인 게임 자회사 넥스페이스는 이용자들의 생태
르노코리아가 최근 ‘2024 부산모빌리티쇼’에서 최초 공개한 중형 스포츠유틸리티차(SUV) ‘뉴 르노 그랑 콜레오스’의 사전 예약이 7000대를 넘겼다.
10일 르노코리아에 따르면 그랑 콜레오스는 지난달 27일 공개 이후 이달 7일까지 사전 예약 건수 7135대를 기록하는 등 큰 관심을 끌고 있다. 르노코리아의 미래차 개발 프로젝트인 ‘오로라 프로젝트’
국내 제약·바이오업계가 신규 모달리티(치료 접근법)로 부상한 이중항체(Bispecific-Antibody) 기반 항암제를 주목하고 있다. 다양한 암종에 대한 효과적인 치료를 위해 2가지 약물을 함께 투약하는 ‘병용요법’을 넘어설 것이라는 판단에서다.
이중항체 치료제는 질병을 유발하는 1개의 인자만 인식하는 단일항체 치료제와 달리 2개 인자 모두를 목표로
한국로슈진단이 가톨릭대학교 성빈센트병원과 정밀의료 활성화 사업을 진행하기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3일 밝혔다.
양 기관은 전날 협약식을 진행하고 다학제 진료의 표준화와 정밀의료 생태계 구축을 위해 상호 협력하기로 했다. 유전체 정보를 활용한 다학제 의료 서비스 표준화 운영의 거점 센터를 구축하고, 임상적·학문적 데이터를 함께 축적할 계획이다.
한국
아이엠바이오로직스, 美 네비게이터 메디신에 1조3000억 기술이전
아이엠바이오로직스는 미국 네비게이터 메디신과 임상 1상 단계의 이중항체 기반 자가면역질환 치료제 IMB-101의 라이선스 아웃 계약을 체결했다고 17일 밝혔다. 계약금은 총 2000만 달러(약 276억 원)이며, 개발 및 상업화 단계에 따른 마일스톤으로 최대 9억 2475만 달러(1조 27
아이엠바이오로직스는 미국 네비게이터 메디신에 임상 1상 단계의 이중항체 기반 자가면역질환 치료제 IMB-101의 라이선스 아웃 계약을 체결했다고 17일 밝혔다.
회사 측에 따르면 권리 지역은 아시아가 제외된 글로벌(일본 포함)이며 반환의무가 없는 계약금은 총 2000만 달러(약 276억 원)다. 개발 및 상업화 단계에 따른 마일스톤으로 최대 9억 24
6월 1주차 투자를 유치한 주요 스타트업은 에이지프리와 코스모스랩, 에이엠매니지먼트, 블랙서클 등이다.
△에이지프리
중장년층 직무교육 플랫폼 ‘천직’을 운영하는 에이지프리가 카카오벤처스와 한국투자파트너스, 채널봄으로부터 시드 투자를 유치했다. 금액은 비공개다. 이번 투자 유치는 법인 설립 후 3개월 만에 이뤄졌다.
천직(1000jobs)은 인테리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