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생활건강이 세계 최고 권위의 디자인 공모전인 독일 ‘iF 디자인 어워드’에서 최초로 5개 작품 본상 수상을 했다고 12일 밝혔다.
LG생활건강은 뷰티 부문(더후 브랜드북, 더테라피 비건, 오휘 얼티밋 핏 진쿠션X호텔827)과 생활용품 부문(프라몬, 유시몰 클래식 치실)에서 수상했다.
특히 ‘프라몬’ 디자인은 AI 기반 차별화된 고객 경험을, ‘
뷰티컬리에 에르메스 퍼퓸 입점…키엘 한정판 단독 판매쿠팡은 ‘알럭스’ 론칭…랑콤 등 해외 브랜드 30개 유통'오프라인' 다이소ㆍ올리브영 가성비 제품 인기 여전편의점도 오프라인 경쟁 가세…소용량 제품 다양화
유통업체들이 온·오프라인에 따라 뷰티제품에 대한 전략을 극과 극으로 전개하고 있다. 오프라인에서는 다이소·CJ올리브영 등을 중심으로 가성비 제품이 여전
LG생활건강이 AI(인공지능) 모델을 활용해 ‘화장품 효능’ 소재를 개발하는 데 성공했다. 상용화를 거쳐 이르면 내년부터 AI 기반 고효능 성분을 담은 화장품을 선보일 계획으로 특히 브랜드 ‘더후(The Whoo)’에 첫 적용할 예정이다.
이번에 개발한 소재는 LG AI 연구원과 함께 AI 모델을 활용해 물질의 용해도와 안전성을 개선한 소재다. 화장품
아모레·LG생건 해외 화장품 사업 매출 호조올해 북미·중국 성장이 해외 매출 견인
국내 화장품업계 투톱인 아모레퍼시픽과 LG생활건강이 그간 부진했던 화장품 사업이 반등에 성공하며 모처럼 웃고 있다. 코로나19 이후 좀처럼 회복이 어려웠던 서구권과 중국 해외 시장에서 실적이 크게 개선된 것이 이번 호실적을 견인했다.
7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
LG생활건강은 올해 설을 맞아 핵심 브랜드의 베스트셀러 제품 중심으로 구성한 화장품 선물 세트를 마련했다.
LG생활건강의 대표 화장품 브랜드 ‘더후’는 올해 새로 단장한 진율향 안티링클 라인을 한 번에 만날 수 있는 ‘더후 진율향 기품세트’를 준비했다. 더후의 스테디셀러인 진율향은 홍산삼의 전초(뿌리·줄기·잎) 성분을 함유해 피부를 탄력 있게 가꿔주는
NH투자증권은 6일 LG생활건강에 대해 음료와 생활용품 수익성 하락으로 지난해 4분기 실적이 시장 예상치를 밑돌 것으로 예상했다. 목표주가를 기존 37만 원에서 36만 원으로 하향하고 투자의견 ‘중립’을 유지했다.
정지윤 NH투자증권 연구원은 “LG생활건강의 지난해 4분기 연결 기준 매출액은 전년 대비 플랫(flat)인 1조5699억 원, 영업이익은
이정애 LG생활건강 사장은 2일 2025년 신년사를 통해 “경쟁력 있는 최고의 제품을 개발하는 열정과 차별적 미래 가치를 만들어내는 몰입으로 LG생활건강의 저력을 입증하는 한 해를 만들자”고 말했다.
이정애 사장은 “응축된 우리의 역량을 신속하게 제품 중심의 고객가치 혁신에 쏟아붓는다면 시장과 고객을 선도하는 최고의 사업 성과를 창출하는 회사로 거듭날
LG생활건강은 21일 이사회를 열고 전무 승진 2명, 신규임원 선임 3명 등을 포함한 2025년도 정기 임원인사를 실시했다고 밝혔다.
△강내규 최고기술책임자(CTO) △노도엽 최고인사책임자(CHO)가 전무로 승진했다. 신규임원으로는 △이홍주 더후마케팅부문장 △허형종 재경부문장 △하원호 이노베이션 오럴 헬스 랩(Innovative Oral Health L
LG생활건강, 영업이익 전년대비 17.4% 줄어중국 시장 회복 더뎌…의존도 줄이기 주력
국내 화장품업계 양대 산맥인 아모레퍼시픽과 LG생활건강의 3분기 실적 희비가 갈렸다. 아모레퍼시픽은 전년 동기 대비 영업이익이 큰 폭으로 증가했지만, LG생활건강은 어닝쇼크를 기록하며 암울한 성적표를 받았다. 다만 두 회사 모두 주력 시장인 중국에서의 실적 회복은
LG생활건강은 3분기 매출이 1조7136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9% 감소했다고 29일 공시했다. 이 기간 영업이익은 1061억 원으로 17.4% 줄었다.
사업별로 보면 △화장품(Beauty) △생활용품(Home Care & Daily Beauty·HDB) △음료(Refreshment) 모두 매출은 소폭 줄었다. 다만 화장품 영업이익은 해외사업 수
지금 화제 되는 패션·뷰티 트렌드를 소개합니다. 자신의 취향, 가치관과 유사하거나 인기 있는 인물 혹은 콘텐츠를 따라 제품을 사는 '디토(Ditto) 소비'가 자리 잡은 오늘, 잘파세대(Z세대와 알파세대의 합성어)의 눈길이 쏠린 곳은 어디일까요?
탕후루, 푸딩, 물먹, 토끼 혀, 유리알, 과즙…
정체를 알 수 없는 단어들의 조합이라고요? 코덕(코스메
LG생활건강은 다가오는 추석 명절을 맞아 럭셔리 한방 코스메틱 ‘더후’와 ‘수려한’ 선물세트를 출시했다.
LG생활건강은 올해 리뉴얼한 더후의 대표 제품을 한번에 만날 수 있는 ‘더후 공진향 궁중세트’를 선보인다. 더후의 대표 스테디셀러 ‘공진향’은 궁중 피부 과학 헤리티지를 담은 ‘공진솔루션™’을 함유해 피부를 탄력 있게 가꿔주는 영양 탄력 케어
LG생활건강은 2분기 매출액이 1조7597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2.7% 감소했다고 25일 밝혔다. 이 기간 영업이익은 전년 동기보다 0.4% 증가한 1585억 원이다. 매출과 영업이익 모두 에프앤가이드 시장 전망치에 대체로 부합했다.
사업별로 보면 화장품, 생활용품(HDB), 음료 모두 매출은 소폭 감소했으나, 화장품과 생활용품 영업이익은 늘었다.
수출국 다변화, 주력 브랜드 리브랜딩올리브영 입점 등 MZ 세대 공략 한창
화장품 업계 투톱인 아모레퍼시픽과 LG생활건강이 부진을 딛고 올해 실적 개선 작업이 한창이다. 수출국 다변화와 함께 대표 브랜드 리뉴얼이 차츰 성과를 내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25일 금융정보업체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아모레퍼시픽과 LG생활건강은 1분기에 이어 2분기에도 실
잉글랜드 축구 리그 풋볼 디비전1이 1991년을 마지막으로 104년 만에 역사 속으로 사라졌다. 그렇게 '세계 최고의 축구 리그' 잉글랜드 프리미어리그(PL)가 1992년 출범했다. 프리미어리그는 32년간 잉글랜드 최상위 축구 리그로 군림하며 국제대회에서 수많은 족적을 남겼다.
출범 당시 주로 영국인과 아일랜드인으로 구성됐던 프리미어리그는 현재 약 7
LG생활건강은 동아시아인 5만7000여명의 피부 유전체를 활용해 피부톤에 가장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원인 유전자를 규명한 연구가 국제 학술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스(Nature Communications)’에 게재됐다고 15일 밝혔다.
LG생활건강 기술연구원은 대규모 유전체 데이터로부터 원인 유전자를 발굴하는 전장 유전체 연관성 연구(Genome-Wid
아모레, 프리미엄 라인 이익 개선...매출 감소에도 영업익 13% 늘어더페이스샵ㆍ이니스프리 등 로드숍 부진...“채널 다변화로 활로 모색”
국내 화장품 업계 양대 산맥인 LG생활건강과 아모레퍼시픽이 오랜 부진을 털고 실적 기지개를 켜고 있다. LG생활건강은 대표 브랜드인 '더후', 아모레퍼시픽은 '설화수'와 '헤라'가 각각 실적 개선을 이끌었다. 다만
LG생활건강의 궁중 피부과학 럭셔리 코스메틱 더후는 피부 노화 완화 성분인 'NAD+'를 화장품에 구현한 고효능 안티에이징 솔루션 '비첩 자생 에센스' 4세대를 출시했다.
25일 LG생활건강에 따르면 비첩 자생 에센스는 탁월한 노화 관리로 2009년 출시 이후 14년간 980만 병 이상 판매되며 더후를 대표하는 토탈 안티에이징 케어로 자리매김했다.
4
LG생활건강은 올해 1분기 매출액이 1조7287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2.7% 증가했다고 25일 공시했다. 이 기간 영업이익은 전년 동기보다 3.5% 늘어난 1510억 원이다.
매출은 지난해 1분기 이후 4분기 만에 증가로 전환했고 영업이익은 2021년 3분기 이후 10분기 만에 성장했다. 매출과 영업이익 모두 에프앤가이드 실적 추정치를 상회했다.
하나증권이 LG생활건강에 대해 올해 대중국 매출이 성장할 것으로 전망했다. 투자의견은 ‘매수’ 유지, 목표주가는 기존 33만 원에서 43만 원으로 상향 조정했다. 전 거래일 기준 종가는 34만9000원이다.
20일 박은정 하나증권 연구원은 “LG생활건강은 지난 2년간 대중국 매출 급감, 화장품 부문 수익성 저하로 2021년 178만 원의 주가 고점 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