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테크노파크가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드론 원천기술 고도화 지원사업'의 참여기업을 모집한다고 31일 밝혔다.
이 사업은 경기도 내 본사 또는 공장이 위치한 드론 중소기업이 원천 기술을 개발하고 고도화해 차세대 드론 시장에서 경쟁력을 갖출 수 있도록 지원한다.
사업은 드론의 탐지 및 인식, 자율 지능, 통신 및 네트워크 등 다양한 드론 원천(핵심) 기술
드론 제품을 이용한 원자력시설, 공항 등 중요시설 위협 행위에 대비하기 위해 대응이 가능한 통합시스템을 개발하고 실증하는 사업이 본격 추진된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다부처 사업으로 추진 중인 불법 드론 지능형 대응기술 개발사업 선정평가 결과 한국원자력연구원(KAERI) 주관 컨소시엄을 최종 선정했다고 18일 밝혔다.
이번 사업은 사생활 침해와 항공운행 방
바이오드론 플랫폼 신약 개발 기업 엠디뮨은 미국 특허청으로부터 바이오드론 원천기술의 특허 등록 결정서를 받았다고 18일 밝혔다.
엠디뮨이 보유한 바이오드론 기술은 압출방식의 엑소좀을 생산해 다양한 난치질환 치료제로 개발하는 플랫폼 기술이다. 특정 병변 조직으로 원하는 약물을 선택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차세대 약물 전달 기술로 주목받는다. 독자기술로 세
유테크가 지진과 드론 사업을 결합한 신개념 4차 산업을 진행한다. 전 세계적으로 지진에 대한 공포감이 높아지고 있는 가운데 지진감지기와 드론을 결합한 사업을 진행할 계획이다.
유테크는 19일 자회사 ADE가 미국 ARA사와 고정익(비행기타입) 드론에 대한 라이선스 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또 패스파인터(Path Finder, 진동 감지기)에 대해서도
유테크가 5세대 무인정찰 드론(K-호크)의 원천기술을 가진 에어로뷰의 지분 20%를 취득했다고 6일 밝혔다.
유테크는 신성장 사업의 일환으로 에어로뷰와 지난 7월 생산 및 판매에 대한 전략적 제휴를 했으며, 이번에 지분을 취득하면서 전략적 제휴를 한층 강화하게 됐다.
유테크가 지분을 취득한 에어로뷰는 미국의 정찰용 무인항공기 전문 방산업체인 아라(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