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뷰티업계 투톱 아모레퍼시픽과 LG생활건강이 정기주주총회에서 올해 핵심 경영 전략을 밝히고 재도약을 다짐했다. 2023년 부진했던 성적을 딛고 실적 반등에 성공한 양사는 올해 해외 시장 공략에 방점을 두고 수익성 개선에 속도를 낼 방침이다.
김승환 아모레퍼시픽 대표이사는 25일 오전 서울 용산구 본사에서 열린 제19기 정기 주주총회에서 인사말을 통
아모레퍼시픽은 글로벌 탄소정보공개프로젝트(Carbon Disclosure Project·CDP) 평가에서 기후변화 대응·수자원 관리 등 2개 부문 모두 최고 등급인 ‘A등급’을 획득했다고 25일 밝혔다.
CDP는 전 세계 금융투자기관이 주도해 기업에 환경 관련 경영정보 공개를 요청하는 글로벌 이니셔티브(Initiative)다. CDP는 기후와 물 관련
아모레퍼시픽이 탄소정보공개프로젝트(Carbon Disclosure Project, CDP) 평가에서 3년 연속 기후변화 대응 부문 A등급을 획득했다고 17일 밝혔다.
올해는 기후변화 대응(Climate Change) 부문을 비롯해 처음으로 수자원 관리(Water Security) 부문에서 모두 최고 등급인 A등급을 획득했다.
아모레퍼시픽은 사업장에서
아모레·LG생건 해외 화장품 사업 매출 호조올해 북미·중국 성장이 해외 매출 견인
국내 화장품업계 투톱인 아모레퍼시픽과 LG생활건강이 그간 부진했던 화장품 사업이 반등에 성공하며 모처럼 웃고 있다. 코로나19 이후 좀처럼 회복이 어려웠던 서구권과 중국 해외 시장에서 실적이 크게 개선된 것이 이번 호실적을 견인했다.
7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
아모레퍼시픽그룹의 지난해 연결 기준 영업이익이 전년 대비 64% 껑충 뛴 것으로 잠정 집계됐다. 그룹 사상 처음으로 미주 지역 매출이 중화권을 앞지르는 등 해외 사업이 호실적을 낸 결과다.
6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아모레퍼시픽그룹의 지난해 매출은 전년 대비 5.9% 증가한 4조2599억 원으로 추산됐다. 이 기간 영업이익은 64% 상승
현대차증권은 아모레퍼시픽의 지난해 4분기 연결 기준 매출액은 1조457억 원, 영업이익은 801억 원으로 시장 컨센서스에 부합할 것으로 전망하면서 투자의견 ‘매수’를 유지했다. 다만 벨류에이션 산정 시점 변경 및 올해 실적 추정치 조정에 따라 목표주가는 18만 원에서 15만 원으로 하향 조정했다. 전 거래일 기준 종가는 11만7800원이다.
하희지 현대
유안타증권은 아모레퍼시픽에 대해 올해 실적 턴어라운드 가능성이 크다고 전망했다. 투자의견은 ‘매수’ 유지, 목표주가는 국내 증시 전반의 밸류에이션 하락에 따른 타겟 멀티플 조정의 영향으로 기존 20만 원에서 16만 원으로 하향 조정했다. 전 거래일 기준 종가는 10만8100원이다.
6일 이승은 유안타증권 연구원은 “올해 4분기 실적은 매출액 1조300억
대신증권은 30일 어모레퍼시픽에 대해 COSRX의 성장이 둔화되면서 폭발적인 성장 모멘텀이 부재하다며 목표주가를 14만 원으로 기존 대비 17.6% 하향조정했다.
정한솔 대신증권 연구원은 "국내는 MBS(H&B)·이커머스 채널 성장과 면세 매출 역성장폭 점진적 축소가 에상되고 해외는 내년 1분기 북미 신규 2개 브랜드 출시가 예정돼있고 라네즈·이니스프
아모레, 미주·유럽 등 매출 호조...2021년 인수 ‘코스알엑스’ 긍정적 영향LG생건, 중·일 매출 늘었지만 미주 감소세...‘더크렘샵’ 지분 소송전도
국내 뷰티업계 양대 산맥 아모레퍼시픽과 LG생활건강이 해외 시장 다각화를 위해 시도한 인수·합병(M&A) 성과가 차츰 드러나고 있다.
3분기 아모레퍼시픽은 중화권 외 서구권과 아시아권 매출이 늘며 점차
아모레퍼시픽 주요 브랜드가 미국 이커머스업체 아마존의 행사인 ‘블랙프라이데이&사이버먼데이(BFCM)’에서 높은 성과를 거두며 역대 최대 실적을 기록했다.
16일 아모레퍼시픽에 따르르면 미주 지역에서 선전하고 있는 라네즈, 설화수, 이니스프리가 실적을 견인하며 성장세를 이끌었다. BFCM 기간 동안 라네즈의 매출은 전년 대비 127%의 매출 신장률을 기록
‘데칼코마니’ 연상…동·서편으로 이어진 면세점서편엔 신세계존 완성…패션·뷰티 ‘원스톱 쇼핑’동편엔 신라면세점 둥지…신세계 와인존도 눈길
면세업 부진이 계속 되는 가운데 신라면세점과 신세계면세점이 지난달 말 인천국제공항(인천공항) 제2여객터미널(T2) 출국장 면세점을 정식 오픈, 불황에 온기를 불어넣고 있다. 양사는 특화존 등 새로운 공간을 만드는 한편
12월 한 달 간 진행...“10년 역사=K뷰티 변천사”세계적 K뷰티 인기 반영 ‘글로벌 트렌드’ 부문 신설전국 13개 매장서 ‘명예의 전당’ 브랜드 팝업 운영
올 한 해 최고의 뷰티상품을 결산하는 ‘올리브영 어워즈’가 10주년을 맞았다. 첫 해였던 2015년 1000만 건이던 연간 구매 건수는 10년 새 1억6000만 건으로 16배가 급증했다. 그간
아모레퍼시픽그룹이 배당 규모를 늘리고, 점진적으로 자사주 소각을 검토하며 주주환원에 확대에 나선다.
아모레퍼시픽그룹은 12일 이 같은 내용의 ‘기업가치 제고 계획’(밸류업)을 공시했다.
아모레퍼시픽그룹은 배당 규모를 2023~2025년 별도 기준 당기순이익의 50~75%로 확대한다. 주력 계열사인 아모레퍼시픽은 2023∼2025년 연결 기준 당기순이
LG생활건강, 영업이익 전년대비 17.4% 줄어중국 시장 회복 더뎌…의존도 줄이기 주력
국내 화장품업계 양대 산맥인 아모레퍼시픽과 LG생활건강의 3분기 실적 희비가 갈렸다. 아모레퍼시픽은 전년 동기 대비 영업이익이 큰 폭으로 증가했지만, LG생활건강은 어닝쇼크를 기록하며 암울한 성적표를 받았다. 다만 두 회사 모두 주력 시장인 중국에서의 실적 회복은
아모레퍼시픽그룹이 올 3분기 실적 반등에 성공했다.
아모레퍼시픽그룹은 2024년 3분기 매출 1조681억 원, 영업이익 750억 원을 기록했다고 31일 밝혔다. 전년 동기 대비 매출은 11%, 영업이익은 160% 증가했다.
3분기 실적에 대해 아모레퍼시픽그룹 관계자는 “추진 중인 글로벌 리밸런싱 전략의 효과로 서구권 매출이 늘었다”며 “라네즈가 북미
뷰티 브랜드 라네즈는 방탄소년단(BTS) 진을 글로벌 앰배서더(홍보대사)로 선정했다고 27일 밝혔다.
라네즈는 방탄소년단 진의 건강한 자신감과 밝은 에너지가 수많은 전 세계 사람들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이러한 면모가 브랜드 가치관에 부합한다고 판단했다.
10월 라네즈는 진과 함께 브랜드 대표 베스트셀러 '크림 스킨' 캠페인을 선보인다.
아모레퍼시픽그룹은 올 2분기 매출액이 1조57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2.4% 감소했다고 6일 공시했다. 이 기간 영업이익은 122억 원으로 4.2% 증가했다.
2분기 아모레퍼시픽그룹은 국내와 중화권에서 매출이 하락했지만, 코스알엑스 실적 편입 효과로 미주와 EMEA(유럽, 중동 등) 지역에서는 매출이 가파르게 증가했다.
특히 라네즈, 헤라, 에
아모레퍼시픽그룹은 아마존 온라인 쇼핑 행사 '아마존 프라임 데이(Amazon Prime Day)'에 참가해 뷰티&퍼스널 케어(Beauty&Personal Care) 부문 전체 1~3위(판매 수량 기준)를 차지하며 역대 최대 성과를 냈다고 24일 밝혔다.
프라임 데이는 아마존 유료 서비스 회원을 대상으로 열리는 연중 최대 할인 행사다. 올해는 7월 16~
기초에 색조까지 전 분야 주목도↑ODM 업체 노하우 덕 중소업체 경쟁력 뛰어나아마존, 국내 업체 입점 역제안 하기도
국산 화장품 브랜드가 세계 최대 이커머스 아마존의 대규모 할인행사 ‘프라임 데이(Prime Day)’에서 K뷰티의 저력을 과시했다. 특히 한국 중소기업 제품에 대한 외국인의 관심이 고조돼 국내 위탁생산 기술력에 이목이 쏠린다.
22일 화
국내 최대 이커머스 쿠팡이 1일부터 21일까지 '메가뷰티쇼'를 개최한다.
30일 쿠팡에 따르면 메가뷰티쇼는 쿠팡이 연 3회 진행하는 대규모 뷰티 할인 행사다. 이번 행사에서는 선크림, 젤, 마스크팩부터 틴트, 하이라이터, 글리터까지 쿠팡이 엄선한 인기 제품 2000여 개를 최대 80% 할인된 가격에 선보인다.
대표 상품으로는 판다 바오패밀리와 협업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