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노바티스는 ‘세계 골수증식종양 인식의 날(MPN Awareness Day)’을 맞아 환자들의 주요 궁금증을 해소하고, 편안한 일상을 응원하는 ‘골수증식종양(MPN) 직문직답’ 사내 캠페인을 진행했다고 11일 밝혔다.
세계 골수증식종양 인식의 날은 매년 9월 둘째 주 목요일, 골수증식종양 환자를 응원하고 환자들의 치료 여정에 모두가 힘을 보태자는 취
얼어붙은 바이오 투자시장에 좀처럼 온기가 돌지 못하고 있다. ‘최적의 시점’을 찾아 코스닥 상장을 철회하는 기업이 줄을 이으면서 올해는 투자심리가 회복될 것이란 기대도 점차 힘을 잃고 있다.
18일 업계에 따르면 올해 들어 4곳의 바이오·헬스케어 기업이 코스닥 상장예비심사를 철회했다.
항체-약물접합체(ADC) 플랫폼을 개발하는 피노바이오는 심사 지연에
그간 수급이 불안했던 해열제와 소아 항생제의 보험약가가 내년부터 대폭 인상된다.
보건복지부는 안정적인 필수의약품 공급을 지원하고 중증질환 치료제 보장성을 강화하기 위해 건강보험정책심의위원회의 심의 등을 거쳐 내년 1월 1일부터 보험약가를 인상하고 중증질환 치료제에 국민건강보험 급여를 적용한다고 22일 밝혔다.
먼저 해열제와 소아 항생제 보험약가 상한
한국노바티스는 2023 유럽혈액학회(EHA) 하이브리드 학술대회에서 ‘만성골수성백혈병의 미충족 수요 조사(Survey of Unmet Needs in chronic myeloid leukemia, CML SUN)’ 결과를 9일 발표했다고 19일 밝혔다.
‘CML SUN’ 운영위원회 위원 겸 연구 저자이자 파비안 랑(Fabian Lang) 독일 프랑크푸
△ 티사이언티픽, 아이티노매즈 흡수합병 결정
△ 베스파, 자기자본 50% 초과 법인세비용차감전계속사업손실로 관리종목 지정ㆍ형식적 상장폐지ㆍ상장적격성 실질심사 사유 발생
△ 신세계건설, 자금 유동성 확보 목적으로 300억 원 규모 단기차입금 증가 결정
△ HLB글로벌, 티아이코퍼레이션 양수도 종료
△ 현대자동차, 현대차증권으로부터 MMT 500억 원
식품의약품안전처는 한국화이자제약의 필라델피아염색체 양성 만성골수성백혈병 치료 신약 ‘보술리프정’(성분명 보수티닙) 3개 용량(100·400·500㎎)을 허가했다고 13일 밝혔다.
보술리프정은 필라델피아염색체로 활성화되는 비정상적인 단백질의 발현을 억제함으로써 비정상적인 혈액세포의 과도한 증식을 막는다.
이번 허가로 새로 진단된 만성기의 필라델피아염색체
샤페론은 자사가 개발 중인 아토피 피부염 치료제 ‘누겔(NuGel)’과 바이오마커(생체표지자)의 상관관계를 입증한 결과를 특허를 출원했다고 23일 밝혔다.
회사 측은 이번 특허는 국내에서 진행된 아토피 피부염 임상 2상 환자 데이터를 분석해 혈액 내 바이오마커가 아토피 피부염 환자의 ‘누겔’에 대한 치료 반응성 예측에 유효하게 사용될 수 있음을 확인한
일양약품은 4일 라도티닙의 코로나19 임상 3상을 러시아 R-PHARM가 진행했지만 표준 권장 치료(러시아 MOH 권장 사항에 따름)보다 우수한 효능을 입증하지 못했다고 공시했다.
이에 러시아 R-PHARM는 러시아의 코로나19 환자 치료를 위한 라도티닙 마케팅 승인 신청을 진행하지 않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일양약품 관계자는 “러시아 R-PH
만성골수성백혈병(CML)의 재발과 항암제 내성의 원인인 암 줄기세포의 형성에 특정 지질 매개체(Lipid mediators)가 관여한다는 새로운 메커니즘이 규명됐다.
메드팩토는 김성진 대표가 연구에 참여한 만성골수성백혈병의 근본적인 치료법에 관한 논문이 세계적 권위의 온라인 학술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즈’에 실렸다고 22일 밝혔다.
이번에 게재된 논문은
유한양행이 '레이저티닙' 기술료 유입에 힘입어 2분기 실적 개선에 성공했다.
유한양행은 올해 2분기 별도기준 매출액 4086억 원, 영업이익 404억 원을 기록했다고 31일 공시했다. 지난해 2분기보다 매출액은 14.9%, 영업이익은 8993.2% 증가한 규모다.
대규모 기술료 유입이 호실적을 이끌었다. 유한양행은 지난 4월 비소세포폐암 치료
지난주(7월 20일~24일) 코스피지수는 전주 대비 0.75포인트(0.03%) 오른 2200.44에 거래를 마감했다.
기관·외국인이 각각 1조1647억 원, 2575억 원 순매수했고 기관·기타법인이 각각 1조3821억 원, 346억 원 순매도했다.
◇ SK케미칼, 아스트라제네카 코로나19 백신 효과 ‘71.04%↑’= SK케미칼은 지난주 71
9일 국내 증시 키워드는 #삼성전자 #일양약품 #빅텍 #카카오 #신라젠 등이다.
삼성전자는 이재용 부회장의 영장실질 심사와 함께 5거래일 연속 매수세를 이어가던 기관이 매도세로 돌아서면서 11거래일 만에 하락세로 마감했다. 전날 증시에서 삼성전자는 1.08%(600원) 하락한 5만4900원을 기록했다.
서울중앙지법 원정숙 영장전담 부장판사는 자본
8일 국내 증시 키워드는 #삼성전자 #대웅제약 #셀트리온 #일양약품 #삼성중공업 등이다.
국내 증시 대장주인 삼성전자는 지난 5일 증시에서도 1.65%(900원) 오르며 5만5500원을 기록했다. 10거래일 연속 상승세다. 이 기간 주가도 4만 원 후반에서 5만 원 중반대로 치고 올라왔다.
개인 투자자들이 9거래일 연속 매도 우위를 기록하는 가
유한양행은 한국 노바티스의 만성골수성 백혈병 및 위장관 기질종양 치료제 '글리벡'에 대한 국내 독점판매 및 공동판촉을 담당하는 계약을 체결했다고 19일 공시했다.
한국 노바티스가 지난해 국내에서 판매한 '글리벡'의 매출액은 약 520억 원이다. 이는 유한양행의 최근 사업연도 매출액의 3.5%에 해당한다.
'암'이라는 병은 '불치병'이라는 인식이 강하다. 물론 초기일 경우 그 치료 가능성이 높지만, 여전히 암이 '관리 가능한 질병'인 것은 아니다.
이 책 '암 정복 연대기-암과 싸운 과학자들'에서는 암을 고치기 위해 노력한 70여 명의 과학자의 이야기를 그렸다. 이들 가운데 자기 연구가 암을 고치는 기적의 약으로 마무리될 것이라고 예측한 사람은 거의
가톨릭혈액병원이 1일 은평성모병원 개원으로 백혈병 등 혈액질환 환자를 체계적으로 치료하는 하나의 통합진료 네트워크를 국내 처음으로 본격 가동한다고 밝혔다.
가톨릭혈액병원은 학교법인 가톨릭학원이 지난해 3월 국내 최초로 서울성모병원 내 혈액질환을 종합적으로 진료하는 독립된 시스템을 갖춘 병원으로 설립되었다.
◇340여 병상 통합운영… 혈액질환 의료
‘아시아 최초의 백혈병신약’ 일양약품의 ‘슈펙트’가 발매 이후 6년 동안 처방 부진으로 시판 후 조사 건수를 채우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보건당국은 슈펙트의 처방 현황과 환자 수 등을 고려해 조사
기간 연장과 조사 건수 감경을 허용했다. 슈펙트의 1차 치료제 지위 획득 이후 매출이 뚜렷한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는 점이 회사 측 입장에선 위안이다.
5일 관
일양약품이 개발 중인 백혈병 신약 슈펙트 임상 3상 연구 결과 기능적 완치 가능성을 보였다는 소식에 상승세다.
11일 오전 11시33분 현재 일양약품은 전일대비 2150원(6.33%) 상승한 3만6100원에 거래 중이다.
이 날 일약약품은 10일(현지시간) 미국 애틀랜타에서 열리고 있는 제59차 미국혈액학회에서 회사가 개발 중인 백혈병 신약
일양약품은 최근미국 애틀랜타에서 열린 59차 미국혈액학회(ASH)에서 만성골수성백혈병치료제 ‘슈펙트’ 임상3상시험의 36개월 장기 추적 연구결과를 구연발표했다고 11일 밝혔다.
지난 2012년 1월 국산신약 18호로 승인받은 슈펙트(성분명 라도티닙)는 만성골수성백혈병 치료제로 사용하는 약물이다.
이번에 발표된 분석 결과를 보면 최소 36개월까지 라도
일양약품은 13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DC에서 열린 미국신경과학회(2017 SFN, Society for Neuroscience)에서 ‘슈펙트’의 파킨슨병 치료효과에 대한 연구 결과를 연제 발표했다고 밝혔다.
지난 2012년 1월 국산신약 18호로 승인받은 슈펙트(성분명 라도티닙)는 만성골수성백혈병 치료제로 사용하는 약물이다.
이번 학회에서는 슈펙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