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동호흡기증후군(메르스) 사태의 여파로 휴업을 진행했던 유치원과 학교가 줄어들고 있다.
교육부는 17일 오후 3시 기준으로 휴업 중인 유치원과 학교가 전국적으로 241곳이라고 밝혔다. 전날 365곳에서 124곳 줄어든 것이다.
지역별 휴업 현황을 살펴보면 경기가 110곳으로 가장 많고 부산 56곳, 서울 37곳, 충북 18곳으로 나타났다.
△충남(
황우여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은 12일 중동호흡기증후군(메르스) 여파에 따른 유치원과 학교의 휴업을 자제해야 한다는 입장을 피력했다.
황 부총리는 이날 오전 정부세종청사에서 교육부 출입기자들과 만나 "학교장은 중대한 염려가 있는 경우가 아니라면 보건당국, 교육청, 학교운영위원회와 깊은 논의를 거쳐 (휴업을) 재고하는 시간을 갖길 바란다"고 말했다.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교총)은 중동호흡기증후군(메르스)로 인한 전국 유치원 및 학교 휴업을 철회하고 보건교육을 강화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교총은 11일 보도자료를 통해 “학생의 건강을 보호하기 위한 선제적인 조치는 필요하다고 보지만 막연히 휴업에만 의존하는 소극적 메르스 대책에서 벗어나 오히려 학교에서 예방적 보건교육 강화로 메르스를 극복하는 적극적 정책으
정부가 중동호흡기증후군(메르스) 여파로 초·중·고등학교가 휴업한 기간이 15일을 초과하면 수업 일수를 줄일 수 있도록 허용하기로 했다. 하지만 이미 휴업하는 유치원과 학교가 전국적으로 2000곳을 넘어선 상황이라서 ‘뒷북대응’ 논란이 일 것으로 보인다.
교육부는 10일 이같은 내용을 담은 ‘휴업 기준 및 교육과정 운영 안내'를 전국 시·도교육청과 학교에
세계보건기구(WHO)가 중동호흡기증후군(메르스) 확산이 학교가 연관이 없는 만큼 휴업을 한 학교는 수업 재개를 ‘강하게 고려(strong consideration)’해야 한다고 권고했다.
한국-WHO 합동 조사단은 10일 우리 보건 당국에 전달한 ‘첫 번째 한국 정부 권고사항’에서 “한국에서든 다른 국가에서든 학교가 메르스 바이러스의 전파와 관련이 있었
중동호흡기증후군(메르스) 여파로 휴업하는 서울지역 유치원 및 학교가 400여 곳으로 크게 늘었다.
9일 서울시교육청에 따르면 전날 오후 5시 기준 휴업을 결정한 유치원 및 학교는 모두 409곳이다.
세부적으로는 유치원이 181곳, 초등학교 197곳, 중학교 19곳, 고등학교 3곳, 특수학교 6곳, 각종학교 3곳이다.
10곳 이상의 유치원 및 학교가
중동호흡기증후군(메르스) 확산을 예방하기 위해 휴업하는 서울지역 유치원 및 학교가 227곳으로 늘어났다.
8일 오후 서울시교육청은 이날 오전 11시 기준 227곳의 학교가 9일 휴업을 결정했다고 밝혔다.
오는 10일까지 휴업령이 내려진 강남·서초구 유치원 69곳과 초등학교 57곳은 예정대로 휴업하며, 이 지역의 중학교 2곳도 휴업을 결정했다.
강남·
중동호흡기증후군(메르스)이 확산되고 있는 가운데 서울시교육청이 9일부터 메르스 휴업 유치원 및 학교 명단을 홈페이지에 공개한다.
서울시교육청 관계자는 8일 오후 기자들을 만나 "내일부터 시교육청과 교육지원청 사이트에 메르스 휴업 유치원 및 학교 명단을 공개하겠다"라고 밝혔다.
전날 시교육청은 강남구와 서초구에 위치한 유치원 및 초등학교에 8~10일 휴
중동호흡기증후군(메르스) 확산 차단을 위해 서울시 교육청과 경기교육청이 유치원·학교에 대한 강제 휴업명령을 내린 가운데 이들 지역의 공통점에 관심이 쏠린다.
경기도교육청은 7일 수원·화성·오산·평택·안성·용인·부천지역의 유치원과 초중고 등 모든 학교에 휴업령을 내린다고 발표했다.
도교육청은 휴교령 지역 선정의 기준을 언급하지는 않았다. 다만 지리적으로
경기도교육청이 7일 중동호흡기증후군(메르스) 확산 방지를 위해 경기 남부 7개지역에서 내린 대규모 휴업령은 도교육청이 문을 연 이후 유래가 없는 조치다.
경기도교육청은 이날 오후 이재정 교육감 주재 메르스 관련 대책회의를 열고 경기도 수원, 용인, 평택, 안성, 화성, 오산, 부천 등의 모든 유치원과 초·중·고등학교 및 특수학교에 대한 일제 휴업령을 결정
경기도도교육청과 서울시교육청이 중동호흡기증후군(메르스) 확산 차단을 위해 ‘휴업령’을 내렸지만 학부모과 학생들의 불안감을 모두 불식시키기는 어려울 전망이다.
7일 서울시교육청은 강남구, 서초구 지역 유치원·초등학교 126곳에 대해 오는 8일부터 10일까지 휴업을 지시했다. 경기도교육청도 이날 수원·화성·오산·평택·안성·용인·부천지역의 유치원과 초중고 등
중동호흡기증후군(메르스) 확산 차단을 위해 서울시 교육청과 경기교육청이 유치원·학교에 대한 강제 휴업명령에 들어간 가운데 휴업과 휴교의 차이점에 대한 관심이 높아진다.
휴업은 교직원은 출근하지만 학교의 학생은 등교하지 않는 방안이다. 교장 재량으로 결정이 가능하며 부족한 수업일수는 방학일수에서 충당한다.
휴교는 교직원과 학생들이 모두 등교하지 않는다.
중동호흡기증후군(메르스) 확산일 예방하기 위해 휴업하는 유치원 및 학교가 100곳으로 늘어났다.
5일 오후 서울시교육청에 따르면 이날 오전 11시 기준 유치원 46곳, 초등학교 43곳, 중학교 5곳, 고등학교 4곳, 기타학교 2곳이 휴업을 결정했다.
전날 오후 5시 기준 60곳에 비해 하룻밤 새 40곳이 늘어난 숫자이다.
지역별로는 강남구가 36곳으
메르스 확산 우려에 휴업하는 유치원과 학교가 늘면서 온라인 교육주가 상승세다.
5일 오전 9시25분 현재 삼성출판사는 전 거래일보다 2.63% 오른 1만1700원에 거래 중이다. 에듀박스, 대교, 디지털대성, 메가스터디 등 다른 온라인 교육주도 소폭 오름세다.
교육부에 따르면 4일 오후 5시 기준으로 휴업하는 학교는 전국적으로 유치원 422곳, 초등학
중동호흡기증후군(메르스) 확산을 예방하기 위한 서울지역 유치원 및 학교의 휴업이 60곳으로 늘어났다.
4일 서울시교육청에 따르면 이날 오후 5시 현재 휴업을 결정한 유치원 및 학교는 모두 60곳이다. 세부적으로는 유치원 34곳, 초등학교 23곳, 중학교 3곳인 것으로 나타났다.
시교육청 관계자는 “가장 먼저 휴업을 선언한 강남구에 가장 많은 유치원 및
중동호흡기증후군(메르스) 확산을 예방하기 위한 서울지역 유치원 및 학교의 휴업이 대폭 늘어났다.
4일 서울시교육청에 따르면 이날 오전 11시 현재 휴업을 결정한 유치원 및 학교는 모두 39곳이다. 세부적으로는 유치원 24곳, 초등학교 13곳, 중학교 2곳인 것으로 나타났다.
전날 휴업을 결정한 학교가 7곳이었던 것에 비하면 하룻밤 사이 32곳이 증가한
메르스 확산의 여파로 4일 휴교를 한 서울의 한 초등학교 교실이 텅 비어 있다. 교육부에 따르면 이날 오전 9시 기준 휴업하는 학교는 전국적으로 유치원 262곳, 초등학교 356곳, 중학교 58곳, 고등학교 11곳, 특수학교 12곳, 대학교 4곳 등 703개다. 신태현 기자 holjjak@
메르스 확산의 여파로 4일 휴교를 한 서울의 한 초등학교 교실이 텅 비어 있다. 교육부에 따르면 이날 오전 9시 기준 휴업하는 학교는 전국적으로 유치원 262곳, 초등학교 356곳, 중학교 58곳, 고등학교 11곳, 특수학교 12곳, 대학교 4곳 등 703개다. 신태현 기자 holjjak@
메르스 확산의 여파로 4일 휴교를 한 서울의 한 초등학교 교실이 텅 비어 있다. 교육부에 따르면 이날 오전 9시 기준 휴업하는 학교는 전국적으로 유치원 262곳, 초등학교 356곳, 중학교 58곳, 고등학교 11곳, 특수학교 12곳, 대학교 4곳 등 703개다. 신태현 기자 holjja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