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우선주의를 내세운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 2기가 관세를 비롯한 각종 통상 규제를 강화하는 가운데, 국내 기업들이 선제적 대응과 함께 데이터에 기반을 둔 총체적인 대응책 마련에 주력해야 한다는 의견이 제기됐다.
28일 삼일PwC는 지난 전날 서울 용산구 본사 2층 아모레홀에서 ‘트럼프 취임 한 달, 통상규제 대응전략’을 주제로 이 같은 내용의 세
양자컴퓨터와 인공지능(AI) 반도체 등 첨단산업 분야의 물품과 기술 21개가 전략물자로 추가 지정된다. 이에 앞으로 이들 전략물자를 수출하기 위해선 산업통상자원부의 허가를 받아야 한다.
산업부는 이달 28일부터 '전락물자 수출입고시' 개정안을 시행한다고 23일 밝혔다. 정부는 지난해 12월 행정예고를 통해 동 고시의 개정 절차에 착수한 바 있다.
주요
정부가 미국의 반도체 수출 통제 강화에 대한 업계의 궁금증 해소에 나섰다.
산업통상자원부는 무역안보관리원과 16일 서울 강남구 스페이스쉐어 삼성역센터에서 반도체 장비업계를 대상으로 미국의 반도체 수출통제 강화 조치에 대한 설명회를 열었다.
미국이 이달 2일 발표한 이번 조치는 고대역폭메모리(HBM) 및 첨단 반도체 장비를 수출통제 대상으로 새롭게 추가
우리 통상당국이 미국 도널드 트럼프 2기 행정부의 내각 구성과 정책 방향을 예의주시하며 이슈별로 대응 방안을 수립 중이다.
정인교 산업통상자원부 통상교섭본부장은 10일 무역안보관리원에서 주요 통상·국제관계 전문가들이 참석한 가운데 미국 신(新)행정부 통상정책 대응 논의를 위한 전문가 간담회를 열었다.
이번 회의는 미 신행정부 출범이 한 달 앞으로 다가
미국, FDPR 적용으로 우리나라 포함 제3국산 제품도 통제산업부, 기업지원 간담회·수출통제 상담창구 운영
미국 정부가 중국이 인공지능(AI)을 개발하는 데 필요한 핵심 부품인 고대역폭메모리(HBM)를 확보하는 것을 막기 위해 한국 등 다른 나라의 대(對)중국 수출을 통제한 가운데 정부가 미국의 이번 조치에 대해 국내 업계에 미칠 영향은 적을 것으로 내다
해외직구 등을 통한 국경 단계에서의 불법·위해 물품 반·출입을 막기 위해 5개 부처가 힘을 모은다. 특히 '국민안전 협업정보팀'을 신설해 범국가적 수출입 안전망을 구축한다는 방침이다.
국가기술표준원과 관세청, 환경부, 식품의약품안전처, 무역안보관리원은 26일 서울세관에서 '범부처 위험정보 공유·활용을 위한 상호 협력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
이
산업통상자원부 산하 공공기관인 무역안보관리원(KOSTI)은 초대 원장으로 서정민 숭실대 글로벌통상학과 교수가 취임한다고 21일 밝혔다.
서 신임 원장은 통상정책 및 경제외교 분야 전문가로 미국 보스턴대학원에서 경제학 박사학위를 받고 자유무역협정(FTA), 국제 통상정책, 경제안보 정책을 연구했다.
2014년까지 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에서 일하면서
전략물자관리원이 무역안보관리원으로 명칭을 바꾸고 무역안보 정책 수립과 산업 영향 분석을 지원하는 등 무역안보 전문 기관으로 거듭난다.
정인교 산업통상자원부 통상교섭본부장은 13일 서울 강남구 무역센터에 있는 전략물자관리원을 찾아 경제안보 시대에 무역안보 기능을 강화할 수 있도록 새로운 역할을 주문했다.
전략물자관리원은 전략물자 수출입 관리 업무를 효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