향후 조직공학치료제·유전자도입 세포치료제 등 지원 확대
국립줄기세포재생센터 GMP(Good Manufacturing Practice·우수의약품 제조 및 품질관리 기준) 제조시설이 제조·공급한 줄기세포치료제가 처음으로 식품의약품안전처와 보건복지부의 임상시험·임상연구계획 승인을 받았다고 질병관리청 국립보건연구원이 1일 밝혔다.
해당 줄기세포치료제의 임상시험
장기재생 플랫폼 기업 로킷헬스케어는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구로병원 성형외과 한승규 교수팀과 공동으로 진행한 연구 논문인 '비흑색종 피부암(NMSC) 절제 후 미세화 지방 조직 니치와 인공 진피 이식 평가:파일럿 연구'가 국제 저널 운즈(Wounds)에 발표됐다고 12일 밝혔다.
이번 연구는 2020년 5월부터 2022년 7월까지 진행됐다. 논문에 따르면
정부가 추가로 선정한 소재·부품·장비 특화단지 5곳에 5년간 5000억 원을 투자해 공급망 핵심 기지로 육성한다. 우주·항공과 방산, 수소 등 3개 분야를 전략기술 분야에 새롭게 추가해 모두 200개로 확대 운영한다.
정부는 3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최상목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주재로 '소재부품장비 경쟁력 강화 위원회'를 열고 '소부장 특화단지 맞춤
티앤알바이오팹이 '바이오 잉크, 인공혈관, 간 오가노이드' 등에 관한 혁신 재생의료 기술 3건에 대해 중국 특허를 취득했다고 27일 밝혔다.
특허가 등록된 3건의 기술은 △바이오 잉크 공급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3차원 바이오 프린팅 방법 △인공혈관 제조용 3D프린팅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인공혈관의 제조 방법 △간 오가노이드 및 이의 제조방법 등이다
티앤알바이오팹은 오가노이드 치료제 기업 오가노이드사이언스, 독일의 동물실험 대체 바이오 기술 플랫폼 기업 람다 바이오로직스(람다)와 '오가노이드 글로벌 상용화'를 위한 상호 협력 MOU를 체결했다고 22일 밝혔다.
3사는 이번 MOU를 통해 3D 바이오프린팅, 줄기세포, 생체재료 기술을 활용한 3차원 오가노이드 개발 기술 강화와 이를 활용한 의료‧바이
롯데손해보험은 세계 최초로 장기·피부 재생 플랫폼을 상용화한 로킷헬스케어와 업무제휴를 맺었다고 4일 밝혔다.
이번 업무제휴를 통해 로킷헬스케어가 판매하고 있는 바이오프린터 ‘닥터 인비보’(Dr.INVIVO) 시리즈를 동물병원이 구매하거나 렌탈할 시, 롯데손보의 전문인(수의사) 배상책임보험이 적용된다. 롯데손보가 제공하는 수의사 배상책임보험은 법률비용
재생의료 전문기업 티앤알바이오팹은 한국공학대학교 공동연구팀이 UCSD(University of California San Diego, 캘리포니아대학교 샌디에이고) 의과대학 엘리슨 무오트리(Alysson Muotri) 교수팀과 뇌 오가노이드(장기유사체) 개발을 위한 공동연구 MOU를 체결했다고 15일 밝혔다.
무오트리 교수는 뇌 신경계 연구 분야의 세계
첨단 장기재생 바이오 전문 기업 로킷헬스케어는 2023년 글로벌디지털혁신네트워크(GDIN) 우수기업으로 선정됐다고 28일 밝혔다.
GDIN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산하 기관으로 국내 디지털 분야의 유망 기술 기업들의 해외 진출을 적극 지원하고 있다. 이 기관은 글로벌 진출에 구체적인 성과를 드러낸 기업을 격려하고 참가자 간 교류를 통해 글로벌 진출에 대한
장기재생 바이오 전문 기업 로킷헬스케어는 카카오헬스케어와 당뇨병 예방, 관리를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8일 밝혔다.
양사는 로킷헬스케어의 당뇨발(당뇨병성 족부궤양) 재생치료 혁신 기술과 카카오헬스케어의 디지털 역량을 결합하고 맞춤형 당뇨발 관리 서비스를 개발해 환자 삶의 질 향상을 도모할 계획이다.
국내 당뇨환자가 불규칙한 식습관, 생활패턴, 스
장기재생 바이오 전문 기업 로킷헬스케어는 자사 ‘개인 맞춤형 피부재생 플랫폼’이 세계이동통신사업자연합회(GSMA)가 개최한 모바일 360 아시아태평양(이하 ‘M360 APAC’) 콘퍼런스에서 대상(Top Innovator)을 받았다고 2일 밝혔다.
로킷헬스케어는 이 자리에서 3D 바이오 프린팅과 AI가 융합된 초개인화 장기재생 플랫폼으로 주목받았다. 해당
CJ제일제당은 지난해 2000억 원 이상 연구개발(R&D) 비용을 투자하며 글로벌 식품·바이오 기업으로 입지를 다지고 있다고 29일 밝혔다.
식품 사업 부문에서는 시장의 판도를 바꿀 차별화한 냉동·상온 가정간편식(HMR) 제품을 개발하고 있다.
특히 올해 4월 출시한 ‘고메 소바바치킨’은 두 달여 만에 누적 매출 100억 원을 돌파하기도 했다. 이
CJ제일제당이 첨단 혁신기술을 접목해 지속 가능한 미래 식량자원 확보에 나선다.
CJ제일제당은 티앤알바이오팹(T&R Biofab)과 3D바이오프린팅 기술을 활용한 대체육 공동개발협약(JDA)을 체결했다고 4일 밝혔다. 티앤알바이오팹은 3D바이오프린팅 기반의 재생의학 분야에서 세계적 수준의 기술을 보유하고 있으며, 이를 이용해 인공 조직을 개발하는 메디테
시지바이오가 미국 웨이크 포레스트 재생의학연구소(Wake Forest Institute of Regenerative Medicine, WFIRM)와 글로벌 환자맞춤형 의료기기 시장 진입을 위한 연구 계약을 체결했다고 29일 밝혔다.
이번 계약은 시지바이오와 웨이크 포레스트 재생의학연구소가 함께 환자맞춤형 3D 임플란트 출력 시스템인 ‘PSI(Patie
티앤알바이오팹(T&R Biofab)은 28일 한국 존슨앤존슨(J&J)과 환자맞춤형 3D 임플란트 제품 '티앤알 PSI 플러스(TnR PSI Plus)’ 독점 공급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티앤알 PSI 플러스는 악안면 부위의 골절 및 손상 환자의 재건 수술에 쓰이는 임플란트로, 환자의 CT 데이터를 활용해 제품을 디자인하고 3D 바이오프린팅 기술로 제작
국내외 제약사들이 새로운 먹거리로 ‘우주 헬스케어’를 선정하고, 연구개발(R&D)과 전략적 투자에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다. 다가올 우주 시대에 선제적으로 대응해 새로운 사업 기회를 찾겠다는 전략이다.
25일 제약업계에 따르면 글로벌 제약기업은 물론 국내 제약사들이 우주 공간에서의 무중력을 활용해 신약개발에 나서는 등 ‘우주 헬스케어’에 도전장을 던졌다.
이연제약은 티앤알바이오팹과 차세대 복합지혈제의 공동개발 및 상용화를 위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고 25일 밝혔다.
이번 양해각서 체결로 이연제약은 지혈제의 주요 원료인 동물유래 트롬빈을 생산 및 공급한다. 티앤알바이오팹은 이연제약에서 공급받은 트롬빈을 활용, 다양한 세포외기질(ECM) 및 젤라틴 소재에 융·복합화해 매트릭스 및 파우더 형태의 복합지
AI, 모빌리티, 헬스케어 등 국내외 60개 스타트업 참가100대 1 경쟁률 뚫은 ‘슈퍼스타트 인큐베이터’ 첫 가동
LG는 12일부터 이틀간 서울 마곡 LG사이언스파크에서 유망 스타트업을 발굴하고 지원하는 ‘슈퍼스타트 데이 2022’를 개최했다고 13일 밝혔다.
LG의 대표적인 오픈 이노베이션 브랜드 ‘슈퍼스타트’ 출범 후 진행된 첫 행사에는 인공지
낮과 밤의 일교차가 커지는 환절기는 탈모인들을 더욱 고민에 빠뜨리는 시기다. 국내 탈모 진료 환자는 연간 24만 명 규모로 집계되지만, 실제 탈모 인구는 1000만 명에 이를 것으로 추산된다.
시장조사기관 그랜드뷰리서치에 따르면 글로벌 탈모 치료제 시장은 2020년 기준 약 8조 원에서 매년 8%씩 성장해 2028년에는 2배가량 불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휴메딕스는 에피바이오텍과 탈모치료제 공동개발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7일 밝혔다.
에피바이오텍은 탈모치료 관련 자체 개발한 플랫폼 기술인 ‘모유두세포 분리/배양 기술’, ‘유도만능줄기세포 제조 기술’, ‘오가노이드 기반 모낭 세포 분화 기술’, ‘유전자 편집 기술’ 등 핵심기술을 보유하고 있는 탈모치료제 연구개발 기업이다.
휴메딕스는 이
티앤알바이오팹은 최근 존슨앤존슨(J&J) 이노베이션(Innovation)과 ‘조직 재건을 위한 3D 바이오프린팅 스캐폴드(생분해성 지지체) 기술 개발’에 대한 전략적 공동연구 계약을 체결했다고 10일 밝혔다.
발표에 따르면 이번 계약의 목적은 티앤알바이오팹이 강점을 가지고 있는 3D 바이오프린팅 기술을 활용해 다양한 생체재료 및 바이오 합성 폴리머재료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