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비마약성 진통제 출시를 앞둔 비보존제약이 제형 확대와 투여 횟수를 늘려 비마약성 진통제 시장에서 입지 강화에 나선다. 코로나19로 중단했던 미국 임상 3상을 재개해 글로벌 진출도 준비 중이다. 회사는 이를 통해 5년 내 어나프라주(성분명 오피란제린)를 연간 매출 1000억 원 품목으로 성장시키겠다는 계획이다.
19일 제약업계에 따르면 비보존제약은
혁신신약 개발 전문기업 비보존은 통증 및 중독 치료제로 개발 중인 경구용 비마약성 진통제 VVZ-2471과 그 유도체에 관한 물질특허 등록을 중국에서 마쳤다고 23일 밝혔다.
이번 중국 특허 등록은 미국, 남아프리카공화국에 이어 세 번째이다. 이어 다른 주요 국가에서도 심사 절차를 진행 중이다.
이번 특허는 VVZ-2471의 기존 화합물 대비 우수한
올해 국내 제약·바이오업계가 ‘국산 신약’ 2품목을 배출해 연구개발(R&D) 역량을 다시 입증했다. 올해까지 국내 기업이 개발한 신약은 38개 품목으로 늘었다. 다만 신약개발은 장기간 대규모 지출이 발생하는 프로젝트인 만큼, 지금처럼 국내외 시장 불확실성이 지속된다면 추가 국산 신약 개발 성과는 낙관하기 어려울 것으로 예상된다.
25일 업계에 따르면
코스닥 지수는 지난 한 주(9~13일)간 32.40포인트(4.90%) 상승한 693.73에 거래를 마쳤다. 이 기간 개인은 4521억 원 순매도했고 외국인은 3809억 원, 기관은 951억 원 순매수했다.
14일 한국거래소 정보데이터시스템에 따르면, 이 기간 오리엔트정공은 170.16% 오른 6700원에 거래를 마쳤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 관련
셀트리온, 졸레어 바이오시밀러 캐나다 허가
셀트리온은 알레르기성 천식, 만성 특발성 두드러기 치료제 졸레어(성분명 오말리주맙)의 바이오시밀러 옴리클로(개발명 CT-P39)가 캐나다 보건부로부터 품목 허가를 획득했다고 9일 밝혔다. 글로벌 임상 3상 결과를 바탕으로 지난해 품목 허가를 신청해 알레르기성 천식, 비용종을 동반한 만성비부비동염, 만성 특발성
13일 유가증권시장에서 상한가를 기록한 종목은 금호건설우, 일신석재, CJ씨푸드1우 등 3종목이었다. 하한가를 기록한 종목은 없었다.
이날 일신석재는 전 거래일보다 30.00% 상승한 2470원에 거래를 마쳤다. 일신석재는 남북경제협력 관련주로 분류된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이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 친분을 재차 언급한 영향을 받은 것으
중증 이상 통증에 사용되는 세계 최초 비마약성 진통제비보존제약이 2009년부터 후보물질 발굴해 직접 개발 국내는 내년 출시 계획…美 임상 3상도 재개 예정
비보존제약이 개발한 비마약성 진통제 ‘어나프라주’(성분명 오피란제린)가 국산 38호 신약으로 허가받으면서 통증 치료제 시장의 변화를 예고했다. 회사는 주사제에 이어 개발 중인 경구제(VVZ-2471
비보존제약의 비마약성 진통제 어나프라주(성분명 오피란제린)가 38번째 국산 신약으로 허가됐다.
12일 식품의약품안전처는 어나프라주를 성인에서 수술 후 중등도에서 중증의 급성통증 조절을 위한 단기 요법으로 사용하는 의약품으로 허가했다고 밝혔다.
어나프라주는 통증 신호를 전달하는 ‘세로토닌 수용체 2A’와 ‘글라이신 수송체 2형’을 동시에 억제하는 기전이
SK바이오팜은 뇌전증 신약 ‘세노바메이트(제품명 엑스코프리)’의 중국 국가약품감독관리국(NMPA) 신약허가신청서(NDA) 제출 및 이에 따른 마일스톤 기술료 1500만 달러(약 210억 원)을 수령한다고 4일 밝혔다.
이번 허가는 SK바이오팜과 글로벌 투자사 6D 캐피탈이 설립한 합작법인 이그니스 테라퓨틱스가 진행했다.
이그니스 테라퓨틱스는 중국 내
26일 유가증권시장에서 상한가와 하한가를 기록한 종목은 없었다.
코스닥시장에서는 비보존 제약, 쓰리빌리언, 플리토, 웹킵스하이텍, 제이씨현시스템, 링크제니시스, 이오플로우, 자이글 등 8개 종목이 상한가를 나타냈다. 하한가는 없었다.
이날 비보존 제약은 전 거래일 대비 30% 오른 7930원에 거래를 마쳤다. 비보존 제약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SK케미칼이 개발한 항암제 ‘선플라주’가 1997년 7월 1호 국산 신약으로 이름을 올린 뒤 25년간 37개의 국산 신약이 탄생했다. 국산 신약은 제약기업의 연구개발(R&D) 결실로 인정받는 만큼 다음 주자로 어떤 치료제가 이름을 올릴지 관심이 쏠린다.
28일 제약업계에 따르면 비보존제약의 ‘어나프라주’(성분명 오피란제린), SK바이오팜의 ‘세노바메이트
하이퍼코퍼레이션은 알츠하이머를 비롯해 염증성 질환 치료에 혁신적 돌파구를 제시할 수 있는 NLRP3 저해제의 국내 특허 출원(10-2024-0142318)을 성공적으로 마쳤다고 23일 밝혔다. 이번에 출원한 특허는 ‘NLRP3 저해제로서의 신규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약학조성물’이다.
NLRP3 저해제는 염증성 사이토카인의 과도한 반응을 억제해 다양
하이퍼코퍼레이션은 비마약성 진통제 'MDR-652'를 개발하며 신경병증 통증 치료의 새로운 대안을 제시했다고 10일 밝혔다.
MDR-652는 기존 신경병증 통증 치료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TRPV1(Transient Receptor Potential Vanilloid 1)' 효현성을 작용기전으로 하는 겔 타입의 비마약성 진통제다. 마약성 진통제의
자회사 통한 신약 개발 활발…제일약품‧일동제약은 성과도 올려유한양행‧대웅제약‧GC녹십자 등 대형제약사도 자회사로 신약 개발투자 유치 쉽고 신속한 결정할 수 있어 위험 낮아…재무구조 개선도
전통 제약사가 설립한 신약개발 전담 자회사들이 기술수출 등의 성과를 내며, 모 기업의 체질 개선에 효자 노릇을 하고 있다. 업계 전반에 신약개발 중요성이 커지는 가운데
유한양행의 ‘코푸시럽’은 오랜 역사의 기침약이다. 1937년부터 생산하기 시작해 1977년에는 일반의약품 ‘코푸시럽에스’를 출시하면서 제품에 대한 접근성을 높였다.
코푸시럽은 기침을 억제하고 가래의 점도를 낮춰 배출하기 쉽게 만든다. 알레르기 반응을 줄여주고 기관지를 확장시켜 기침을 완화하는 효능도 있다.
전문의약품인 코푸시럽은 디히드로코데인타르타르산
삼진제약(Samjin Pharmaceuticals)은 2일 한국먼디파마(Mundipharma Korea)와 붙이는 진통제 ‘노스판 패취’의 국내 독점 판권 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7월부터 국내 종합병원, 준 종합병원, 의원 등 전체 유통채널을 대상으로 영업 및 마케팅을 진행한다.
노스판 패취는 오피오이드 기반 ‘부프레노르핀(bupren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