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학수 위원장, 27일 IT스타트업 업계 애로사항 들어
연 1회 개인정보 이용 내역을 통지 의무를 완화해달라는 IT 스타트업계 제언이 나왔다. 문자·알림톡 전송 비용이 중소 스타트업에게 부담으로 다가온다는 주장이다.
이수화 비바라퍼블리카 CPO는 27일 개인정보보호위원회가 스타트업얼라이언스 엔스페이스(&Space)에서 개최한 ‘신산업 혁신지원 간담회
개인형 이동장치(PM) 공유서비스 기업 빔모빌리티는 한국교통안전공단과의 협업을 통해 전동킥보드를 포함한 PM의 안전한 주행환경 조성에 적극 나설 계획이라고 6일 밝혔다.
빔모빌리티는 지난해 10월부터 한국교통안전공단과 협력하여 위치정보 기반 맞춤형 안전확보 시범사업을 시작했다. 이 시범사업은 공공기관과 민간의 첫 협업사례로, 서울특별시 5개 구(강남,
모빌리티 플랫폼 ‘타다’ 운영사 브이씨엔씨는 강희수 전 요기요 플랫폼사업본부장을 신규 대표이사로 선임했다고 29일 밝혔다. 강 대표의 업무는 오늘부터 시작되며 임기는 2년이다.
강 대표는 정보기술(IT) 및 플랫폼 비즈니스에 특화된 전문가로 아마존, 쿠팡, 빔모빌리티코리아 등을 거쳐 2022년 1월부터 이달까지 2년간 배달 애플리케이션 요기요의 플랫폼
개인형 이동장치(PM) 공유 업계가 일부 견인업체들의 편법 운영으로 시름하고 있다. 셀프 신고 후 견인하거나 자체적인 견인 할당량을 채우기 위해 PM운영사의 자가 수거‧기기이동을 못하도록 압박하는 식이다. 다만 보행자의 불편을 해소하기 위한 PM운영사들의 자구 노력이 더 필요하다는 시각도 있다.
주차한 곳과 견인된 곳 달라…새벽 3시 신고 후 쓸어가기
퍼스널모빌리티 공유서비스 기업 빔모빌리티는 올바른 개인형 이동장치(PM) 이용문화 확산을 위해 7일 인천 미추홀구 인하대역 인근에서 인천시청, 모범운전자회 인천지부 및 공유 PM 업체들과 함께 ‘2023년 전동킥보드 서포터즈’ 캠페인을 전개했다고 8일 밝혔다.
이 캠페인은 인천시청 주관 인천시 내 개인형 이동장치 이용이 증가함에 따라 전동킥보드 무단
1100억 원 규모의 시리즈 B투자 유치“모페드·안전·차세대 모델에 투자할 예정”
빔모빌리티가 9300만 달러(약 1100억 원) 규모의 시리즈B 라운드 투자를 유치했다고 25일 밝혔다.
이번 투자는 글로벌 사모펀드 어펄마캐피탈이 주도하고 세쿼이아캐피탈인디아, 하나벤처스, ICT캐피탈, EDBI, AC벤처스, RTP글로벌 및 모멘텀벤처캐피탈이 참여했
모레인 13일부터 개정된 도로교통법이 시행된다. 따라서 면허 없이 전동킥보드 등 개인형 이동장치(PM)를 이용할 경우 10만 원의 범칙금을 물어야 한다.
법이 강화하는 만큼, 공유 전동킥보드 업계도 새로운 방침에 적극적으로 따르기로 했다. 이들은 면허를 등록하고 안전 운행을 독려하는 자체 캠페인에 나섰다.
코리아스타트업포럼 퍼스널 모빌리티 산업협의회
KB손해보험은 10일 공유 전동킥보드 모바일 플랫폼 '빔(Beam)'의 운영업체인 '빔모빌리티코리아'와 업무제휴 협약(MOU)을 체결했다고 11일 밝혔다.
이날 체결된 협약의 주요 내용은 빔 이용고객의 안전한 전동킥보드 이용을 위한 보험상품의 개발 및 제공과 양사 동반성장을 위한 다양한 마케팅제휴 등이다.
이번 업무협약을 통해 KB손보는
공유 전동킥보드 업체들이 한목소리로 자전거도로에서 전동킥보드 주행이 가능토록 하는 ‘법제화’를 요구하고 나섰다.
17일 코리아스타트업포럼(코스포) 산하 퍼스널모빌리티 산업협의회(SPMA)는 2월 임시국회에서 전동킥보드 관련 법안이 통과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SPMA는 이날 서울 드림플러스 강남에서 기자회견을 열었다. SPMA는 11개 공유 전
싱가포르를 기반으로 한 전동 스쿠터 공유 플랫폼 서비스 기업 빔(Beam)이 국내 마이크로 모빌리티 시장에 진출한다.
빔모빌리티코리아는 29일 서울 위워크 종로타워에서 기자간담회를 개최하고, 전동 스쿠터를 포함한 각종 마이크로 모빌리티 옵션을 한국 소비자들에게 선보인다고 밝혔다.
빔은 지난달부터 서울 강남구와 송파구 지역에서 시범적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