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70년 이후 사라진 소똥구리가 반세기 만에 한반도 생태계에서 서식할 수 있을 전망이다.
환경부와 국립생태원은 13일 충남 태안군 신두리 해안사구에서 멸종위기 야생생물 Ⅱ급인 소똥구리 200마리를 방사한다.
이번 행사에는 금강유역환경청, 태안군, 국립공원공단, 문화재청 등 관계기관을 비롯해 태안군 모항초등학교 학생과 주민도 참여한다.
제주도를 포
멸종위기 야생생물인 소똥구리의 증식‧복원에 퇴역 경주마가 활용된다. 국립생태원은 한국마사회 부산경남지역본부와 소똥구리 증식 및 복원 연구를 위한 퇴역 경주마 기증식을 19일 개최한다.
한국마사회 국립생태원에 6년생 경주마 '포나인즈'를 기증한다. 경기중 심각한 골절상을 입어 수술과 재활을 통해 일상생활이 가능하지만 더 이상 경주는 할 수 없는 상태다
흔히 벌레라고 치부하던 곤충류가 새로운 의약품 소재로 각광받고 있다. 사람의 각종 질병을 고치는 성분이 잇따라 발견되면서부터다.
23일 농촌진흥청에 따르면 혈전(혈관 속에서 피가 굳어진 덩어리) 및 심혈관 질환 치료제의 글로벌 시장은 2015년 기준 29조 원 규모로, 국내에서만 6200억 원에 달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우리나라에서도 서구화된 식습관과
가축의 배설물에 사는 애기뿔소똥구리에서 분리한 항생물질이 염증성 장 질환 치유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농촌진흥청은 대진대학교 김호 교수팀과 애기뿔소똥구리에서 코프리신(CopA3)을 분리해 동물 세포실험을 한 결과, 이 물질이 염증성 장 질환 치유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고 밝혔다.
코프리신은 애기뿔소똥구리가 자신을 보호하기 위해 분비
최근 우리나라에서는 곤충이 융·복합 기술과 만나면서 누에고치에서 실크 인공고막을 만들고 애기뿔소똥구리나 꿀벌의 벌침액인 봉독에서 피부 친화적 화장품을 생산해 화제다. 특히 전량 수입에 의존해 오던 화분매개 곤충인 서양 뒤영벌의 국내 대량 생산기술이 개발돼 수입대체 효과와 농가소득 증진에 큰 도움이 되고 있다. 이와 함께 농업에 미생물이 활용돼 축산 악취
긴다리소똥구리가 우리나라에서 23년만에 발견됐다.
환경부 국립생물자원관은 강원도 영월에서 긴다리소똥구리가 서식하고 있는 것을 발견했다고 11일 밝혔다.
우리나라에서 소똥구리가 발견된 것은 1990년 강원도 철원과 양구에서 발견됐다는 마지막 확인 기록 후 처음이다.
소똥구리는 동물의 배설물을 이용해 경단을 만들고 경단 안에 알을 낳는 곤충으로 ‘파브르
경기도농업기술원은 5일 경칩을 맞은 가운데 금개구리와 왕은점표범나비 등 8종의 멸종위기 야생동물 서식지를 발견했다고 밝혔다.
경기도농업기술원에 따르면 이들 멸종위기 야생동물 서식지는 지난 2007년부터 4년에 걸쳐 연천, 파주, 포천 등 서부 비무장지대를 포함한 경기북부 접경지역 생태조사 과정에서 발견됐다.
우리나라 특산종인 금개구리는 몸길이 6cm 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