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집값이 낙폭을 줄이면서 상승 기대감이 피어오르는 가운데, 최초 분양 당시 대거 미분양 됐던 단지들의 잇단 완판 소식이 들리고 있다. 이들 단지는 대부분 분양시장이 얼어붙었던 작년 11~12월 사이 분양한 곳들이다. 매매 시장 분위기가 개선되자 미계약분을 '줍줍'하기 위한 수요자들의 발걸음이 몰리면서 미분양 소진에 속도가 나는 것으로 해석된다.
1일
최근 수원·송도 등 수도권 주요 지역에서 전용면적 84㎡ 분양가가 10억 원에 육박하는 단지에도 수천 명의 청약자가 몰리고 있다. 가파른 분양가 상승세에 인기 지역을 중심으로 청약열기가 오르고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29일 한국부동산원 청약홈에 따르면 올해 2월 수원에 공급된 ‘영통자이 센트럴파크’는 368가구 모집에 4442명이 몰려 평균 청약 경쟁
미분양이 속출하는 등 분양시장에 찬바람이 가득한 와중에도 잇따라 완판 소식을 전하는 아파트 단지들이 나오고 있다. 선별 청약 경향이 강해진 상황에서 역세권, 직주 근접 등 수요자들이 선호하는 조건이 두드러졌기 떄문으로 풀이된다. 분양가 상승으로 기존 미분양 단지에 대한 수요자의 시각이 변한 것도 영향을 미쳤다.
28일 건설·부동산업계에 따르면 GS건설
롯데건설은 경기도 부천시 소사본동 일원에 공급한 '소사역 롯데캐슬 더 뉴엘'이 완판(계약률 100%)을 기록했다고 25일 밝혔다.
이 단지는 지하철 1호선∙서해선 환승역인 소사역이 위치한 더블 역세권으로 우수한 교통여건을 갖췄다. 마곡, 여의도, 광화문, 강남 등 서울의 주요 업무지구로의 이동도 편리하다.
교육과 편의시설 등도 장점이다. 반경 1
서울 아파트의 3.3㎡(평)당 평균 전세가가 두 달 연속 2300만 원을 넘어섰다. 고금리로 매매 부담이 커지면서 전세 수요가 늘어난 영향이다. 이에 서울 전세 가격에 마련할 수 있는 수도권 신축 아파트에 수요자들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12일 KB부동산의 ‘월간 주택가격 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서울 아파트의 평당 평균 전세 가격은 2316
전국의 자동차 등록 대수가 2500만대를 넘어서면서 주차공간 확보의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 이에 따라 가구당 1.5대 이상의 넉넉한 주차 대수를 확보한 신축 아파트 단지에 대한 수요도 늘어나는 흐름이다.
30일 통계청의 ‘1인당 자동차 등록대수 현황’에 따르면, 지난해 기준 전국의 자동차 등록 대수(관용, 자가용, 영업용 포함)는 총 2550만3078
부동산 시장에선 대형 건설사들의 ‘브랜드’ 가치가 중요하게 인식되고 있다. 특히 시공능력평가 상위 10대 건설사들의 아파트는 인지도와 상품성 면에서 뛰어난 것으로 평가돼 수요자들의 선호 쏠림 현상이 강해지는 흐름이다.
16일 국토교통부의 2023년 시공능력평가 순위 기준 상위 10대 건설사는 △삼성물산 △현대건설 △대우건설 △현대엔지니어링 △GS건설
다음 달 6만 가구에 달하는 아파트가 공급되며 올해 월간 최대 물량을 기록할 전망이다.
26일 부동산 전문 리서치업체 리얼투데이에 따르면 12월 전국에서 66개 단지 5만9438가구가 분양할 예정이다. 1순위 청약 기준으로 오피스텔은 제외한 수치다.
일반 분양은 4만6272가구다. 올해 월간 최대인 이달 2만5445가구보다 81.9% 많은 것이다.
고금리와 분양가 상승이 겹치면서 피로감을 느낀 수요자들이 합리적 가격을 갖춘 단지에 몰리고 있다. 최근 시장 불확실성이 커진 만큼 '안전마진'을 확보할 수 있는 곳에만 청약통장을 던지는 양상이다.
11일 분양업계에 따르면 올해 1월부터 이달까지 청약을 실시한 단지 중 청약 성적 상위 10곳은 분양가상한제가 적용됐거나 가격 경쟁력을 앞세운 단지들이 차지
연식이 오래된 아파트도 대기업과의 접근성이 용이하다면 비교적 최근 입주한 아파트 대비 집값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대기업의 존재가 지역의 대표성을 띠기도 하는 만큼 접근성이 용이한 단지가 지역 부동산 시장에 전반적인 인지도, 이미지 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풀이된다.
10일 국토교통부 실거래가공개시스템에 따르면 삼성전자 본사가 있는 수
수도권 역세권 단지 1순위 평균 경쟁률이 비역세권 단지의 4배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역 주변에 인프라가 형성되면서 주거 환경도 좋아지고, 이에 집값 상승 기대감도 큰 만큼 실수요자 선호도가 높은 것으로 풀이된다.
10일 리얼투데이가 한국부동산원 청약홈 통계를 분석한 결과, 올해 수도권 106개 단지 3만3151가구 청약 진행됐다. 이 가운데 역세
건설사들이 연말을 앞두고 분양 발걸음을 재촉하고 있는 가운데 다음 달에는 4만4000여 가구의 분양 물량이 나올 전망이다. 청약시장은 분양가 상승과 고금리로 선별 청약 현상이 강해지면서 주요 단지로의 쏠림이 나타날 것으로 보인다.
30일 부동산R114에 따르면 11월에는 전국에서 52개 단지, 총 4만4003가구가 분양할 예정이다. 시도별로 보면 경기가
10대 건설사가 분양한 단지의 1순위 평균 청약 경쟁률이 다른 건설사에 비해 약 4.9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건설사 브랜드 선호도가 높은 경쟁률로 이어지면서 쏠림 현상이 심화하는 모양새다.
28일 리얼투데이가 한국부동산원 청약홈 자료를 분석한 결과 올해 전국에서 202개 단지, 6만6913가구가 공급됐으며 이 중 10대 건설사의 분양 물량은 71개
올해 분양 실적이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약 41% 급감한 것으로 나타났다. 수도권보다는 지방 감소 폭이 컸으며 수도권에서는 경기도 공급이 줄어든 것으로 조사됐다.
13일 한국부동산원 청약홈에 따르면 올해 3분기까지 전국 분양 누적 실적은 총 5만8722가구다. 지난해 같은 기간 10만323가구가 분양된 것과 비교하면 4만1601가구가 줄어든 59.
대보그룹은 건설계열사인 대보건설이 최근 경기도 부천시 '소사본동 가로주택정비사업' 총회에서 시공사로 선정됐다고 25일 밝혔다.
이 사업은 부천시 소사구 소사본동 283-46번지 일대 대지 6945㎡에 지하 2층~지상 22층 3개 동 175가구와 부대복리시설을 건립하는 것이다.
대상지는 지하철 1호선 소사역, 서해선 소새울역에서 도보 5분 거리에 있다
9월 셋째 주에는 전국 2129가구가 분양에 나선다.
◇청약 단지(5곳)
부동산 정보업체 부동산R114에 따르면 9월 셋째 주에는 전국 5개 단지에서 2129가구(일반분양 1108가구)가 분양한다.
경기 남양주시 다산동 ‘다산 유보라 마크뷰’, 부산 남구 대연동 ‘더 비치 푸르지오 써밋’, 울산 남구 신정동 ‘문수로 금호어울림 더 퍼스트’ 등에서
경기 부천시 선로에서 인명 사고가 발생해 한때 열차 운영이 중단됐다.
24일 한국철도공사에 따르면 이날 오후 1시 7분께 서해선 소사역과 부천종합운동장역 구간에서 신원을 알 수 없는 A 씨가 달리던 열차에 부딪혔다.
이 사고로 A 씨가 숨졌고, 열차가 선로 위에 긴급 정차하면서 소사역∼원종역 구간 상·하행 열차 운행이 일시 중단됐다.
부천시는 재난문자
인천과 경기 서부권 일대가 서울과 더 가까워질 전망이다. 곳곳에서 전철 연장선 공사 계획이 속도를 내고 있기 때문이다. 교통 인프라 개선, 특히 서울과의 접근성 향상은 부동산 시장에서 대표적이고, 확실한 호재로 손꼽힌다. 이에 연장선 정차역 인근 주변 아파트 단지들에서는 일찌감치 가격 상승세가 이어지고 있는 모습이다.
22일 본지 취재 결과 '서울지
경기 부천·성남시 및 인천 등에서 공공주택 복합사업(이하 도심복합사업)이 시작된다.
국토교통부는 10일 부천시 중동역 동측, 중동역 서측, 소사역 북측 및 성남시 금광2동, 인천 동암역 남측 등 5곳을 도심복합사업 예정지구로 지정한다고 밝혔다. 도심복합사업은 역세권, 준공업지역, 저층 주거지 등 노후 도심에서 공공시행으로 용적률 등 다양한 혜택을 부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