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여신 5% 성장 전망…리스크 관리 강화현금배당 400억 상향 검토…분기 실적 때 배당기준일 발표
KB금융그룹은 보통주자본비율(CET1)을 고려해 하반기에도 유연한 주주환원 정책을 이어갈 방침이다.
나상록 KB금융 최고재무책임자(CFO)는 5일 열린 2024년 연간 실적발표 컨퍼런스 콜에서 "환율 상승에 따른 위험가중자산(RWA) 증가로 CET1 비
중소기업 대출시장 냉각…환율 고공행진에 경영여건도 악화
연말 건전성 관리를 위해 기업대출 조이기에 들어간 은행들이 심상치 않은 환율 급등에 대출문을 사실상 걸어잠그고 있다. 이에 고물가·고금리에 고환율 직격탄을 맞은 중소기업들은 은행에서 돈을 빌리는 일이 어려워지면서 회사의 존망을 걱정해야 할 처지에 놓이게 됐다. 한계기업으로 몰리는 중소기업이 더욱 늘
12·3 계엄 사태 이후 널뛰던 원·달러환율이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매파적’ 금리 인하 충격에 1450원 대를 돌파하면서 수출입기업을 포함한 중소기업들이 공포에 휩싸였다. 글로벌 전쟁 여파로 지난 2~3년 간 공급망 불안과 원자재 가격 폭등에 시달리던 중소기업들은 고금리·고물가에 환율까지 치솟자 더이상 버티기 힘들 지경에 이르렀다. 구조적
기업대출 문 닫는 은행들…11월 기업대출 잔액 줄어중소기업 대출 연체율 높아져…어음부도율도 '↑'
은행권의 기업대출 부실 우려가 높아진 것은 금융당국의 강도높은 가계대출 관리 조치로 수익성 확대에 발목이 잡히자 기업대출 유치 강화로 전략을 바꾼 것에서 시작된다. 주요 시중은행은 행장들이 직접 뛸 정도로 기업대출에 공격적으로 나섰다. 그 결과 가계대출로 구
1년새 연체율 37% 늘어…대출 총액은 2.4% 증가대출 금리도 상승세…금융당국 "관리 가능한 수준"
고물가·고금리·고환율 ‘3고(高)’ 파고가 덮치면서 대출 원리금도 제 때 못내는 자영업자들이 속출하고 있다. 빚으로 버텨온 개인사업자(소호)들이 한계 상황에 내몰리고 현금 흐름이 막히면서 은행들의 자영업자 대출 연체율에도 ‘경고등’이 켜졌다. 경기 악화
1년새 37% 늘어…대출 총액은 2.4% 증가대출 금리도 상승세…금융당국 "관리 가능한 수준"
고물가·고금리로 인한 자영업자와 소상공인의 어려움이 커지고 있는 가운데 개인사업자 대출 연체 규모가 크게 늘면서 '경고등' 커졌다. 기준 금리 인하 시기가 지연됨에 따라 높은 대출금리를 부담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 이어지고 있어 연쇄 부실의 우려가 커지고 있다.
시중은행의 중소기업과 개인사업자(소호) 대출 잔액이 3개월 연속 늘었다. 코로나19로 착시효과를 보였던 대출 연체율 상승의 주범으로 꼽히는 중기·자영업자 대출이 꾸준히 불어나면서 부실 리스크가 본격화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2일 금융권에 따르면 5대 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의 지난달 말 기준 중소기업 대출 잔액이 602조3887억원에
내년에도 3고(고물가·고금리·고환율) 1저(저성장) 환경 속에서 가계부채·한계기업·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등 취약부분의 부실 가능성에 대비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26일 하나금융경영연구소가 발간한 '2023년 금융 산업 전망' 보고서에 따르면 내년 금융 산업은 성장성과 수익성 모두 하락할 것으로 예상했다. 은행업은 소폭 둔화에 그치겠으나 비
하나은행은 지난 16일 ‘인플루언서 마케팅’ 전문 플랫폼 기업 레뷰코퍼레이션과 소상공인 지원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19일 밝혔다.
인플루언서 마케팅은 블로그, 유튜브, 인스타그램 등 SNS에서 활동하는 인플루언서의 영향력을 활용해 홍보하는 바이럴 마케팅이다. 레뷰코퍼레이션은 약 90만 명의 인플루언서 회원을 통해 월간 1만5000여 건의 지역·
금리 상승 속도 빨라지면서 대출 상환 리스크 우려 확산삼성증권 금융·리츠팀 “스태그플레이션 부담, 비우량차주 더 커”
경제 불확실성에 대한 우려가 커지면서 올해 하반기 은행들의 고민이 깊어지고 있다.
삼성증권 금융·리츠팀은 지난 1일 보고서를 통해 “금융업의 입장에서 우려가 더욱 큰 이유는 경기 둔화와 더불어 금리 기조의 변화”라고 지적하며 하반기 금
카카오뱅크가 올해 최우선 과제로 여신 포트폴리오 다양화를 꼽았다. 플랫폼·수수료 수익에 대해서는 올해 제휴사 확대를 통한 성장을 우선시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9일 윤호영 카카오뱅크 대표는 실적발표 콘퍼런스콜을 통해 "올해 여신은 포트폴리오를 다양하게 하는 것이 최우선 과제"라며 "신용대출에 편향됐던 포트폴리오를 전·월세 보증금 담보대출과 신규 론칭한
시중은행이 보유한 개인사업자(소호) 대출 잔액이 300조 원을 처음으로 돌파했다.
개인사업자 대출을 받은 자영업자 10명 중 1명이 개인대출을 동시에 받은 다중채무자여서 사실상 숨겨진 빚 규모는 더 클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금융지원책이 종료될 경우 잠재돼 있던 악성부채가 고스란히 수면 위로 드러날 수 있다는
KB금융그룹이 올해 가계대출의 성장에 제한이 있는 가운데 중소기업과 대기업 등 기업대출의 수요가 견고할 것으로 내다봤다.
KB금융은 8일 열린 작년 4분기 실적 콘퍼런스콜에서 “가계대출의 경우 5% 성장이 가능할 것으로 본다”라며 “1월에는 상여금이 들어오면서 가계대출이 줄었으나 2월부턴 이사철로, 전세자금 수요가 있을 것으로 예상한다”고 설명했다.
인터넷전문은행이 중소기업ㆍ개인사업자를 상대로 한 기업대출 시장에 본격 진출할 채비를 하면서 기존 은행권 역시 긴장하고 있다.
'디지털 금융' 확대와 가계부채 관리 강화에 힘입어 단기간에 가계대출 시장에서 확고하게 자리를 잡은 인터넷전문은행이 가계금융에서도 빠르게 영향력을 확대할 수 있다는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27일 금융권에 따르면 인터넷전문은행은 금
KB국민은행이 비대면 주택담보대출 상품을 출시하는 등 장기적인 관점에서 대출 비즈니스의 경쟁력을 높일 계획이다.
최근 빅테크·핀테크 등의 등장으로 금융환경이 빠르게 변화하는 가운데 고객 맞춤형 비대면 상품을 출시하며 경쟁력의 우위를 지속한다는 전략이다.
정문철 KB국민은행 최고재무책임자(CFO) 전무는 22일 열린 2021년 상반기 실적 컨퍼런스콜에서
제가 할게요./ 저한테 주세요./ 제가 다 할게요.
웹툰 ‘며느라기’의 주인공 민사린이 시댁에서 입에 달고 사는 말이다. 어른들에게 예쁨받고 싶어서 ‘좋다’, ‘싫다’도 내색하지 않고 겉으로 웃으며 홀로 삭인다. 이 작품은 ‘착함’을 강요당하는 며느리들의 공감대를 자극하며, 큰 반향을 불러일으켰다.
이 시대 며느리처럼 사회가 정의한 ‘착함’을 강
하나금융그룹은 올해 2분기 6584억원을 포함한 상반기 누적 연결당기순이익이 1조 2045억원을 시현했다고 26일 밝혔다.
2분기 당기순이익은 전분기 대비 20.6%(1124억원) 증가했다. 상반기 누적 기준으로는 1분기 중 은행 임금피크 특별퇴직비용 1260억원 등의 일회성 비용 발생으로 전년 동기 대비 7.5%(982억원) 감소했으나, 일회성 비용
KB국민은행이 중소기업 대출시장에서 양과 질적 성장을 거듭하며 새로운 강자로 떠오르고 있다. 지난해 각종 규제로 가계대출이 막히자, 은행권이 중소기업 대출 경쟁에 나선 가운데 총량을 넘어 질적 성장에도 성공했다는 평이 나온다.
21일 주요 시중은행의 지난 7년간 우량등급(BBB-) 차주에 대한 중소기업 대출 비중 자료를 입수해 분석한 결과, 국민은
하나금융은 올해 1분기 연결 당기순이익이 5560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6.8% 감소했다고 19일 밝혔다.
임금피크 퇴직 비용 1260억 원에 원화 약세에 따른 비화폐성 환산손실 382억 원 등이 일회성 비용으로 반영됐다. 일회성 비용을 제거한 당기순이익은 약 6750억 원이다.
1분기 이자 이익과 수수료 이익은 각각 1조4266억 원, 5
케이프투자증권은 23일 우리은행에 대해 핵심이익 개선과 비용부담으로 1분기 호실적을 기록했다며 투자의견을 ‘매수’로 상향 조정하고, 목표주가 2만 원을 유지했다.
전배승 케이프투자증권 연구원은 “올해 1분기 순이익은 5897억 원을 기록해 시장 예상치를 상회했다”며 “전년 동기 대비로는 7.5% 감소했으나 당시 화푸빌딩 매각 관련 1700억 원의 일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