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율 폭탄 맞은 中企ㆍ돈 빌려준 은행도 '비명'

입력 2024-12-20 17:0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새로운 기술이 나올때마다 관련 기술을 개발하기 위한 인력 전쟁이 벌어지고 있다. 정부는 각종 정책을 통해 중소기업들의 기술 인력 확보를 지원하고 있다. 사진은 지난달 서울 강남구 코엑스에서 열린 2024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에서 로봇 신기술을 관람객들이 보는 모습.(뉴시스)
▲새로운 기술이 나올때마다 관련 기술을 개발하기 위한 인력 전쟁이 벌어지고 있다. 정부는 각종 정책을 통해 중소기업들의 기술 인력 확보를 지원하고 있다. 사진은 지난달 서울 강남구 코엑스에서 열린 2024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에서 로봇 신기술을 관람객들이 보는 모습.(뉴시스)

12·3 계엄 사태 이후 널뛰던 원·달러환율이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매파적’ 금리 인하 충격에 1450원 대를 돌파하면서 수출입기업을 포함한 중소기업들이 공포에 휩싸였다. 글로벌 전쟁 여파로 지난 2~3년 간 공급망 불안과 원자재 가격 폭등에 시달리던 중소기업들은 고금리·고물가에 환율까지 치솟자 더이상 버티기 힘들 지경에 이르렀다. 구조적으로 외풍에 취약한 중소기업들에게 대출을 내준 금융권까지 연쇄 충격을 받을 것이란 우려도 커지고 있다. 실제 은행권의 중소기업 연체율은 갈수록 올라가고 있어 건전성 관리에 비상이 걸렸다.

20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10월 말 국내은행의 원화대출 연체율(1개월 이상 원리금 연체 기준)은 0.48%로 전월 말(0.45%) 보다 0.03%포인트(p) 상승했다. 전년동기와 비교하면 0.05%p 오른 수치이며 역대 10월 기준으로는 2018년(0.58%)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이다. 2022년 10월 말 0.24%까지 하락한 은행 연체율은 2년 만에 두 배가 뛰었다.

특히 중소기업 대출 연체율이 눈에 띄게 상승했다. 같은 기간 중소법인 대출 연체율은 0.74%로 지난달(0.68%) 대비 0.06%p 상승했다. 지난해 동기(0.59%)과 비교하면 0.15%p나 뛰었다. 이 기간 개인사업자 대출 연체율은 0.65%로 전월(0.61%) 에 견줘 0.04%p 상승했고 전년 동월(0.51%) 대비로는 0.14%p 올랐다.

은행 중소기업 대출 연체율이 치솟은 것은 그만큼 중소기업들의 경영여건이 악화됐다는 것을 의미한다. 우리금융연구소가 매출액 1000억 원 미만 비금융 상장 중소규모 기업 636개사의 3분기 실적을 분석한 결과, 9분기 연속 영업적자 ( -996억원)를 기록했다.

연체율 상승과 중소기업 실적 악화에 기업대출에 공격적이었던 은행들은 대출 문을 조이기 시작했다. 5대 시중은행( 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의 지난달 말 기준 기업대출 잔액은 829조5951억 원으로 전월 대비 7759억 원 급감했다. 기업대출 잔액이 감소세로 돌아선 것은 올해들어 처음이다. 특히 개인사업자 대출을 크게 줄였다. 같은달 기준 이들 은행의 개인사업자(소호) 대출 잔액은 327조104억 원으로 전월과 비교해 2050억 원 축소됐다.

문제는 탄핵 정국 이후 증시와 환율이 요동치면서 앞으로 중소기업 대출 연체율이 더 치솟을 수 밖에 없다는 점이다. 실제 고물가·고금리·고물가 ‘3중고’로 실적 악화에 시달리던 중소기업들에게 비상계엄과 탄핵 폭탄까지 떨어지면서 상황은 더욱 어려워졌다. 중소기업중앙회가 이달 10∼13일 수출 중소기업 513개(제조업 463개, 비제조업 50개)를 대상으로 긴급 현황조사를 한 결과 국내 정치 상황의 불확실성으로 피해를 본 수출 중소기업이 26.3%로 나타났다. ‘계약 지연, 감소 및 취소’가 47.4%로 가장 많았다. ‘해외 바이어 문의 전화 증가’ 23.7%, ‘수·발주 지연, 감소 및 취소’ 23.0%, ‘고환율로 인한 문제 발생’ 22.2% 등도 있었다.

향후 전망도 어둡다. 김수진 우리금융연구소 기업금융연구센터장은 “미국의 관세 강화, 환율 변동성 확대, 중국과 수출 경쟁, 내수 부진 장기화 등으로 앞으로 경영환경은 부정적”이라고 진단했다. 즉, 은행들 입장에서는 건전성이 우려되는 기업, 특히 영세·중소기업에 대출을 내주지 못하는 상황이 이어질 수 밖에 없다는 얘기다.

김 센터장은 “금융사들은 향후 중소기업의 실적 부진 가능성을 염두에 두되, 업종 내에서도 기업 간 차별화가 큰 점을 고려해 성장성이 높은 강소기업을 지속 발굴하고 지원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당신의 마음은 안녕하신가요?”…챗GPT에 위로받는 사람들 [요즘, 이거]
  • 주말 대규모 탄핵 찬반집회 예고…교통혼잡 예상
  • MVP 김도영, KIA 'EV 시리즈' 수집…내년에도 모기업 차 싹쓸이할까 [셀럽의카]
  • "금리 더 떨어지기 전에"…정기예금 '역대 최대'
  • 비트코인, 연준 찬물에 내림세…9만7000달러로 '뚝' [Bit코인]
  • [날씨] 잠시 주춤한 강추위…전국 대부분 눈·비 내린다
  • ‘나솔사계’ 22기 영숙, 처음으로 자존심 금 갔다…“처참한 느낌”
  • 美 생물보안법 연내 통과 불발됐지만…“통과는 시간문제, 수혜 지속될 것”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46,396,000
    • -0.19%
    • 이더리움
    • 5,244,000
    • +1.49%
    • 비트코인 캐시
    • 668,000
    • +2.45%
    • 리플
    • 3,446
    • +3.24%
    • 솔라나
    • 288,100
    • +0.77%
    • 에이다
    • 1,379
    • +5.43%
    • 이오스
    • 1,252
    • +1.13%
    • 트론
    • 374
    • -0.27%
    • 스텔라루멘
    • 563
    • +3.49%
    • 비트코인에스브이
    • 82,450
    • +4.76%
    • 체인링크
    • 35,150
    • +5.43%
    • 샌드박스
    • 866
    • +5.22%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