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엘이 코로나19 치료제로 개발 중인 ‘BLS-H01’의 2상 임상시험을 자진 중단한다고 2일 공시했다.
비엘은 2022년 초 한국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중등증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COVID-19) 환자 100명을 대상으로 유효성과 안전성을 평가하기 위한 2상 임상시험을 승인받았다. 이후 국내 의료기관에서 중등증 코로나19 환자를 대상으로 폐렴의 악화
동아에스티는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면역항암제 ‘DA-4505’의 1/2a상 임상시험계획(IND)을 승인받았다고 27일 밝혔다.
이번 임상은 국소 진행성 또는 전이성 고형암 성인 환자를 대상으로 DA-4505 단독요법 또는 항 PD-1 면역관문억제제 펨브롤리주맙(Pembrolizumab) 병용요법의 안전성, 내약성, 약동학, 약력학 및 유효성을 평가한다.
동아에스티(Dong-A ST)는 지난 24일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면역항암제 후보물질 ‘DA-4505’의 임상1/2a상 임상시험계획(IND)을 승인받았다고 27일 밝혔다.
DA-4505는 아릴탄화수소수용체(aryl hydrocarbon receptor, AhR) 길항제(antagonist)로, 선천과 후천성 면역반응을 모두 조절한다고 알려진 AhR을 저해
코오롱제약은 신약개발 연구 기업 지바이오로직스와 전신홍반루푸스(이하 루푸스) 치료제 신약 개발을 위한 공동개발 계약을 체결했다고 8일 밝혔다.
양 사는 이번 계약을 계기로 루푸스 치료제 신약 후보물질 ‘GB930’의 신약화 사업을 위한 공동 연구개발을 수행하고, 전략적인 제휴관계를 강화해 나갈 예정이다. 코오롱제약은 풍부한 임상 경험과 해외 메이저 제
인공지능(AI) 신약개발 전문기업 신테카바이오가 벨기에 소재 면역항암백신 개발기업인 피디씨라인파마(PDC line Pharma, 이하 PDC)와 환자맞춤형 치료용 암백신 개발을 위한 공동연구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26일 밝혔다.
피디씨라인파마는 벨기에에 본사를 둔 면역항암백신 개발 기업으로, 플라즈마사이토이드 수지상세포주 기반 면역 항암 백신
차백신연구소는 독자 개발한 면역증강제 ‘L-pampo™(엘-팜포)’의 항암백신 면역증강제로서의 효능과 면역관문억제제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한 연구 결과가 나왔다고 18일 밝혔다.
항암백신은 암세포에 발현되는 항원을 특이적으로 인지할 수 있는 T세포를 증가시켜 암세포를 효과적으로 죽일 수 있는 면역항암제의 한 종류다. 항암백신을 개발할 때
동아에스티는 최근 미국 플로리다주 올랜드에서 열린 ‘미국암연구학회(AACR) 2023’에서 면역항암제 후보물질 ‘DA-4505’의 전임상 시험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고 20일 밝혔다.
미국암연구학회는 세계 3대 암학회로 불리며, 전 세계 120개국 제약·바이오 기업이 참여해 암 관련 지식과 연구 성과를 공유하는 연례 학술대회다.
올해 학회에서 동아에스
비엘이 스페인 바르셀로나에서 열린 ‘2022 EORTC-NCI-AACR’ 심포지움에서 ‘BLS-H01(폴리감마글루탐산, γ-PGA)’의 면역항암제 효능개선 연구 성과를 발표했다고 7일 밝혔다.
‘EORTC-NCI-AACR 심포지엄’은 항암 연구의 최신 지견 및 주요 제약사의 임상 성과가 발표되는 국제 학회로 유럽암학회, 미국 암연구소, 미국 암학회가
HLB는 미국 계열사 이뮤노믹 테라퓨틱스가 메르켈세포암(MCC) 치료제로 개발 중인 세포치료 백신 ‘ITI-3000’이 미국 식품의약국(FDA) 패스트트랙 대상 약물로 지정됐다고 4일 밝혔다.
ITI-3000은 백신플랫폼 ‘UNITE’를 기반으로 LAMP1(lysosomal-associated membrane protein)에 폴리오마 바이러스의 거대T
JW그룹은 1일 미국 바이오벤처 큐어에이아이(KURE.AI therapeutics)와 인공지능(AI) 기반의 항암제 공동연구 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계약에 따라 JW중외제약과 JW크레아젠은 큐어에이아이가 보유한 AI 및 머신러닝 기반의 암 환자 유전체 분석과 바이오마커 탐색 플랫폼을 활용해 3개 과제의 항암신약 연구개발을 진행할 예정이다.
큐어에이아이
신약개발 기업 비엘은 국가임상시험지원재단을 통해 경구용 코로나19 치료제 ‘BLS-H01’의 2상 임상시험 대상기관을 확대, 임상에 속도를 낸다고 12일 밝혔다.
BLS-H01은 폐렴이 동반된 중등증 코로나19 환자 대상 임상시험을 가천대 길병원을 시작으로 전국 단위의 종합병원 및 감염병 전담 병원을 추가 선정했다. 최근에는 국가 임상시험 지원재단으로
HLB는 미국 계열사 이뮤노믹 테라퓨틱스가 식품의약국(FDA) 인허가 전문가 프란시스 헤리슨(Frances Harrison)을 선임 부사장으로 영입했다고 15일 밝혔다.
지난 7일 교모세포종(GBM)에 대한 미국 임상 2상(ATTAC-II)을 종료하고 데이터 분석에 착수한 이뮤노믹은 분석이 완료되는 대로 신속히 인허가 절차에 착수할 계획이다. 빠르면 1
한국보건산업진흥원과 암젠코리아는 혁신 기술과 역량을 갖춘 국내 제약바이오기업 발굴·지원을 위한 제1회 ‘피칭데이(Pitching Day)’를 열고 최종 수상 기업 3곳을 선정했다고 14일 밝혔다.
참여 기업 중 최종 우승자로 포투가바이오(Fortuga Bio)가 선정됐고, 바스젠바이오(Basgen Bio)와 사이키바이오텍(Sci-Key Biotech)이
HLB는 미국 계열사 이뮤노믹 테라퓨틱스가 개발 중인 교모세포종 치료제 ‘ITI-1000’의 미국 임상 2상(ATTAC-II)을 6년 만에 종료하고 데이터분석에 들어간다고 7일 밝혔다.
ITI-1000은 이뮤노믹의 세포치료 백신 플랫폼 ‘UNITE’를 적용해 만든 치료물질로 교모세포종에서 많이 발현하는 거대세포바이러스(Cytomegalovirus)의 p
이번 주(8월 22~26일) 코스닥 지수는 전주 대비 11.72포인트(1.44%) 내린 802.45로 장을 마감했다. 이 기간 개인과 외국인은 각각 1650억 원, 665억 원 순매수했고, 기관은 2094억 원어치 순매도했다.
중앙에너비스, 사우디 석유 감산 가능성 언급 소식에 한 주간 30% 급등
27일 금융정보업체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한 주간
25일 코스닥 시장에서 2개 종목이 상한가를 기록했다. 하한가를 찍은 종목은 없었다.
유틸렉스는 전날보다 29.84%(2310원) 오른 1만50원에 거래를 마쳤다. 주가 상승은 증권가 호평 때문으로 풀이된다.
이날 KB증권은 유틸렉스이 개발 중인 3종의 신약 파이프라인 임상이 순항하고 있다는 분석을 내놨다.
유틸렉스는 면역세포치료제와 항체치료
박셀바이오가 Vax-DC 플렛폼 연구개발을 조기종료한다는 소식에 하락세다.
박셀바이오는 25일 오전 9시 12분 현재 전날보다 5.98% 내린 8만1800원에 거래 중이다.
이 회사는 전날 장마감 후 재발성/불응성 다발골수종을 대상으로 하는 대표적인 혈액암을 치료하기 위한 '수지상세포와 레날리도마이드/덱사메타손 병용요법 또는 레날리도마이드/덱사메타손
제넥신은 암 치료 DNA백신 GX-188E(성분 티발리모진 테라플라스미드), 면역항암제로 개발중인 GX-I7(성분 에피넵타킨 알파)과 BMS오노의 면역항암제 옵디보(성분 니볼루맙)의 삼중병용요법 연구자 주도 임상 2상 첫 환자 투약을 완료했다고 17일 밝혔다.
이번 임상2상은 연세암병원 종양내과 김혜련 교수가 주도하는 연구자 임상이다. 제넥신에 따르면 전
국내 바이오기업들이 개발 중인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치료제의 시장성 찾기에 분주하다. 후발주자라는 약점을 만회하고자 적응증 확장에 나서는 한편, 지지부진한 국내 임상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글로벌 임상도 활발하다.
10일 이투데이 취재 결과 코로나19 치료제를 개발하는 국내 기업들은 후보물질의 경쟁력 확보를 위해 다양한 전략을 펴고 있다
비엘은 2상 임상시험 중인 코로나19 치료신약 ‘BLS-H01’에 대해 범용성 폐렴 치료제로 적응증을 확대하겠다고 5일 밝혔다.
BLS-H01은 감마PGA 성분의 면역조절 기반 치료제다. 현재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에 의해 발생된 폐렴의 악화예방 및 치료효과를 확인하는 임상시험을 진행하고 있다.
비엘에 따르면 핵심성분인 ‘감마PGA’는 인체 상피 세포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