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명ㆍ재산 피해 즉각 보고되지 않아”
미국 지질조사국(USGS)이 27일(현지시간) 인도네시아 자바섬 반자르시 남쪽 102㎞ 지점에서 6.1 규모의 지진이 발생했다고 ABC뉴스가 발표했다. 지진 발생 깊이는 68.3㎞이다.
인명이나 재산 피해는 즉각 보고되지 않았다. 쓰나미 경보는 없었다. 이번 지진으로 수도 자카르타의 고층 건물이 약 1분간 흔
3일 대만 동부에서 규모 7.2의 강진이 발생했습니다. 대만 지진으로는 1999년 이후 25년 만의 최대 규모인데요. 이날 오후 10시 기준 대만에서 이번 지진으로 인한 사망자는 9명 부상자는 1011명으로 집계됐습니다.
대만은 ‘불의 고리’로 불리는 환태평양 지진대에 자리 잡고 있는데요. 환태평양 조산대로 불리는 이곳은 지구상의 전체 화산의 75%, 지
대만서 25년 만에 발생한 최대 규모 지진 일본·필리핀 등 쓰나미 경보 발령 후 해제
대만 동부 해안에서 발생한 강진으로 인한 사망자가 7명으로 늘었다.
3일 워싱턴포스트(WP)에 따르면 대만 국립소방청(NFA)은 “규모 7.4의 강진과 이후 발생한 여러 차례의 여진으로 최소 7명이 사망하고 736명이 부상했다”고 밝혔다.
또 NFA는 “전국적으로 1
1999년 이후 규모 7 이상 지진 첫 발생TSMC, 공장 직원 대피령아시아증시 일제히 하락“단 한 번의 진동으로도 반도체 파괴 가능”
대만에서 25년 만에 최대 규모의 강진이 발생했다. 세계 최대 파운드리(반도체 위탁생산 업체) TSMC가 있는 대만에서 지진이 일어나면서 글로벌 반도체 공급망이 흔들리는 게 아니냐는 우려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3일 A
3일 오전 대만 서부 앞바다에서 발생한 규모 7.2 지진은 국내에 직간접적인 영향을 주지 않을 것으로 확인됐다.
유럽지중해지진센터(EMSC)에 따르면 지진은 이날 오전 7시 58분(현지시간) 대만 동부 인구 35만명의 도시 화롄(花蓮)에서 남동쪽으로 7km 떨어진 곳에서 발생했다. 진원 깊이는 15.5km다. 첫 지진이 발생한 후 지금까지 7차례의 여진이
대만에서 규모 7.4의 강진이 발생한 가운데 세계 최대 파운드리(반도체 위탁생산 업체) 대만 TSMC가 일부 생산 라인을 멈추고 직원들을 대피시켰다.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니나 카오 TSMC 대변인은 3일 지진 발생 후 문자 메시지에서 이같이 밝혔다.
TSMC와 유나이티드마이크로일렉트로닉스, ASE 등 대만 반도체 기업들은 현지 공장에서 제품을 생산하
대만 화롄서 7km 떨어진 곳오키나와 본섬 등 3m 쓰나미 예보
대만에서 규모 7.4의 강진이 발생했다. 여파에 일본 오키나와현에선 쓰나미경보가 발령됐다.
3일 교도통신 등에 따르면 오전 7시 58분께 대만 동부 화롄 남동쪽으로 7km 떨어진 곳에서 규모 7.4의 지진이 발생했다. 진원 깊이는 20km로 관측됐다.
지진으로 인한 피해는 아직 보고되지 않
대규모 화재 발생해 건물 200채 소실일본 기상청, 쓰나미 경보 모두 해제
새해 첫날 일본 이시카와현 노토 반도에서 발생한 규모 7.6의 강진으로 인한 사망자가 24명으로 늘었다고 일본 교도통신이 2일 보도했다.
와시마시 당국은 시립병원에 입원 중이던 7명의 부상자가 숨져 사망자 집계에 추가됐다고 밝혔다.
일본 공영 NHK가 촬영한 영상에는 7층짜리
일본 기상청 “며칠 안에 더 강한 지진 발생 가능”
새해 첫날인 1일 규모 7.6의 강진이 발생함에 따라 일본 이시카와현에서 2일 오전 1시 30분 현재 최소 4명이 사망했다고 일본 공영방송 NHK가 보도했다.
로이터통신은 일본 정부가 9개 현 주민 9만7000여 명에 대피 명령을 내렸고, 이들은 비상시 대피소로 자주 사용되는 체육시설과 학교 체육관에
새해 첫날인 1일 일본에서 규모 7.6의 강진이 발생했다.
일본 기상청에 따르면 이날 오후 4시 10분께 일본 혼슈(本州) 이시카와현 노토(能登) 지역에서 규모 7.6 지진이 발생했다. 진앙은 북위 37.50도, 동경 137.20도다. 일본 기상청은 "진원은 이시카와현 와지마시 동북동쪽 30㎞ 부근으로 진원 깊이는 매우 얕은 편"이라고 설명했다.
이
일본 기상청이 규모 7.6의 강진이 발생한 1일 독도를 자국 영토인 듯 주의보 지역에 포함해 발표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합뉴스에 따르면 일본 기상청은 자국 연안에 쓰나미 경보 및 주의보 등을 발령하면서 이날 홈페이지에 올린 쓰나미 경보‧주의보 발령 현황 지도를 올렸다.
지도에 따르면 최대 7.6의 지진이 발생한 이시카와현 노토 지역에는 ‘대형
필리핀 남부 민다나오섬 인근 해역에서 사흘 연속 규모 7.0 안팎의 강진이 이어지고 있다.
4일(현지시간) 유럽지중해지진센터(ESMC)에 따르면 필리핀 남부 민다나오섬 인근 해역에서 규모 6.8의 지진이 발생했다.
앞서 지난 2일 이곳에서는 규모 7.6의 강진이 처음 발생했다. 이후 이튿날 규모 6.6 강진, 사흘째인 이날 규모 6.8 강진까지 3일
즉각적인 피해나 부상은 보고되지 않아
필리핀에서 두 번째로 큰 민다나오섬에서 7.6 규모의 강진이 발해 필리핀 현지와 일본에서 한때 쓰나미(지진 해일) 경보가 발령됐다. 미국태평양쓰나미경보센터(PTWC)는 현재 쓰나미 위협이 지나갔다고 진단했다.
2일(현지시간) BBC방송에 따르면 유럽지중해지진센터는 이날 저녁 10시 37분쯤 필리핀 남부 민다나오섬
마타람 북북동쪽 207km 해역 진원 깊이 516km…쓰나미 위험 없어
인도네시아 발리섬 앞바다에서 규모 7.1의 지진이 발생했다.
기상청에 따르면 한국시간으로 29일 오전 4시 55분 32초경 인도네시아 마타람 북북동쪽 207km 해역에서 지진이 발생했다. 진앙은 남위 6.78도 동경 116.57도, 진원의 깊이는 516km다.
미국 쓰나미경보시스템
“주로 쓰나미 경보…사이렌 울렸으면 산으로 향했을 것”
미국 마우이섬 산불 대응의 책임자였던 헤르만 안다야 마우이 비상관리국 국장이 건강 문제를 이유로 사임했다. 화재 발생 시 재난 경보용 사이렌 울리지 않았던 것을 정당화하는 발언으로 도마 위에 오른 지 하루 만에 자리에서 물러나게 됐다.
17일(현지시간) CNN에 따르면 마우이 카운티공보실은 이날
일본 기상청이 제7호 태풍 ‘란’의 기상 지도에서 독도를 일본 땅으로 표기한 것으로 알려져 논란이 일고 있다.
16일 서경덕 성신여대 교수는 사회관계망서비스(SNS)를 통해 일본 기상청에 독도를 일본 땅으로 표기한 것을 시정하라고 요구하는 항의메일을 보냈다고 밝혔다.
서 교수는 “일본 기상청은 독도를 ‘竹島’(다케시마)로 항상 표기해 왔으며 이에 대해
미국 알래스카주 인근 바다에서 규모 7.2의 강진이 발생했다.
미국 지질조사국(USGS)은 알래스카 시간으로 15일(현지시간) 오후 10시 48분께 알래스카주 샌드포인트에서 남쪽으로 약 98km 떨어진 해역에서 규모 7.2의 지진이 일어났다고 밝혔다.
진앙은 북위 54.460도, 서경 160.760도이며 진원 깊이는 32.6㎞다.
당초 USGS는
잔잔한 물결이 일렁이는 바다는 보고 있는 것 자체로 힐링이다. 거기에 파도 소리와 함께 이른바 ‘물멍’을 하고 있노라면 어지럽던 상념이 파도에 씻겨 내려가는 것 같다. 하지만 바닷속 지진과 화산폭발 같은 해저면의 활동으로 해수면 높이가 급격히 변화해 파장이 매우 긴 파도를 만들어내면 그것은 곧 우리가 흔히 쓰나미라 부르는 지진해일이 되고, 아름답고 평화로운
서부해안·알래스카주·캐나다 브리티시 컬럼비아주서 쓰나미 위험 없어
멕시코 캘리포니아만에서 규모 6.4에 달하는 강진이 발생했다.
18일(현지시간)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유럽 지중해지진센터는 이날 오후 1시 30분쯤 북위 23.35, 서경 108.32지점에서 규모 6.4에 달하는 강진이 발생했다고 밝혔다. 미국 지질조사국(USGS) 역시 같은 곳에서 규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