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창영 고려아연 명예회장과 아들 최내현(최 제임스 성) 알란텀 대표가 10년여 간 심혈을 기울여 추진한 신사업이 존폐 기로에 섰다. 1000억원에 달하는 거액을 지원하는 지원하는 등 사업 회생에 총력을 다했지만 실적 개선 기미조차 보이지 않아서다.
7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알란텀은 지난해 별도기준 14억 원의 매출과 52억 원의 영업
영풍그룹 동업자 집안이 각각 가족회사를 계열사로 운영하면서 눈길을 끌고 있다. 해당 계열사는 장형진 회장 일가가 단독으로 운영하고 있는 씨케이와 최창영 명예회장 일가가 지배하고 있는 엑스메텍이다. 특히 이들 회사들은 향후 그룹 지배구조 개편 또는 동업자 간 계열분리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는 점도 공통된 특징을 갖고 있다.
2일 전자공시스템과
고려아연 최창영 회장이 장남 최제임스성(한국명 최내현) 알란텀 대표와 함께 신규 회사를 설립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장남이 최대주주로 있는 계열사가 자금 어려움을 겪자 자비를 털어 지원에 나서는 등 향후 아들의 홀로서기를 위해 지원을 본격화하는 것이 아니냐는 관측이 나오고 있다.
17일 공정거래위원회에 따르면 영풍그룹은 지난달 말 신규 계열사로 켐텍을
△LS그룹 계열사 모보, 코스닥 상장사 갑을메탈 주식 전량 처분
△휴켐스, 기관투자자 대상 기업설명회 개최
△[답변공시]CJ대한통운 "中 최대 냉동물류사 인수 최종 협의 단계"
△메리츠종금증권, 리딩투자증권 인수후보대상자 선정 제외
△대교, 강영중 경영이사회 의장 보통주 500주 장내 매수
△KPX홀딩스, 배영효 사외이사 중도 퇴임
△경방, 최대주주 측 지
영풍그룹 비상장 계열사인 알런텀은 2일 최제임스성 대표가 보유 중인 고려아연 주식 9만주를 채권자인 한국투자증권에 담보로 제공했다고 4일 공시했다.
담보금액은 4억5000만원이며, 담보기간은 2일부터 본 채무 상환일까지다.
회사 측은 "담보거래 건은 당사 운영자금 차입에 따라 담보제공자가 보유한 주식에 대한 질권을 담보설정하는 것"이라며 "담보금액은 담
[e포커스]영풍그룹 비상장 계열사인 알란텀 때문에 그룹 총수일가의 속이 새까맣게 타고 있다. 회사 설립 이래 1000억원 이상의 자금을 쏟아부었으나 적자 행진이 계속되고 있다.
지난해에는 매출이 전년대비 반토막 나고 수백억원의 적자가 나는 등 손실 규모가 확대되고 있다. 재무구조 개선을 위해 자본감소를 실시했음에도 대규모 적자로 자본잠식 상태가 계속되면서
2대에 걸쳐 동업관계를 유지하고 있는 영풍그룹이 최근 계열분리 조짐을 보이고 있다. 지난 2011년 장형진 영풍 회장의 자녀가 엑스메텍 지분을 매도한 데 이어 최근 알란텀 역시 장 회장 자녀들의 지분이 줄었기 때문이다.
엑스메텍은 엔지니어링 서비스업, 산업용 기계제작 및 판매업, 기술용역 등에 주력하고 있는 기업이다. 지난 2009년 설립 후 지분율은
영풍그룹 계열사인 알란텀의 최대주주 변화가 재계의 관심을 사고 있다. 알란텀의 최대주주가 최근 대규모 무상감자 후 유상증자를 실시하면서 고려아연과 코리아니켈에서 최창영 고려아연 명예회장을 변경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회사 설립 이후 최 회장 일가가 내놓은 자금이 800억원을 상회하고 있고 회사가 기술형 사업을 추진하고 있는 점을 감안해 향후 상장 가능
창사 이래 최대 규모의 유상증자를 결정한 알란텀에 최창영 고려아연 명예회장과 장남인 최내현 알란텀 사장이 참여할지 관심을 끌고 있다. 알란텀은 최 회장 부자의 단기차입금 지원과 유상증자 참여 등 지속적인 지원에도 불구하고 창립 이래 적자 행보를 이어가고 있다.
15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에 따르면 알란텀은 운영자금 조달을 위해 300억원 규모의 주주배정 유
△한국금융지주, 싱가포르 투자회사 지분 860.5억에 취득
△거래소, 영남제분 상장적격성 실질심사 대상 결정
△지아이블루, 계열사 코리아아이티솔루션 흡수합병 결정
△화일약품, 최대주주 크리스탈지노믹스로 변경
△경남기업, 6769억 규모 관급기관 입찰참가자격 제한
△[조회공시]케이디씨, 주가급등 관련
△세아로지스, 해덕스틸 흡수합병 결정
상장사들이 미래 먹거리 확보를 위해 야심차게 추진한 신사업들이 돈먹는 하마로 전락하고 있다. 투자 3년 이상이 지나도록 실적을 내지 못하는가 하면 장기 투자를 계획한다 해도 ‘시간게임 딜레마(Time Game)’에 빠질 가능성이 높아 모기업의 자금 지원 부담이 커지고 있다는 지적이다.
18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에 따르면 KT&G는 올해 들어 자회사 KGC
경제 불황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계열사에 사비를 털어 돈을 빌려주는 그룹 총수들이 늘고 있다. 이들 총수들은 금융거래가 어려운 계열사에 7~8%대의 이자를 받고 자금을 지원해 짭짤한 수익도 올리고 계열사도 살리는 일석이조의 효과를 보고 있다.
15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지난 1년간 공정거래위원회가 지정한 대기업집단 가운데 GS, 동
삼성물산㈜도 제2공장을 설립을 추진하면서 충주 제3산업단지에 입주하게 됐다.
28일 충주시에 따르면 삼성물산은 오는 12월 완공하는 용탄동 충주 제4산업단지에 입주하기로 하고 최근 용지 분양계약을 했다.
이 회사는 제4산업단지 11만5500㎡에 500억원의 사업비를 들여 음성군 감곡면 제1공장에 이은 제2공장을 건설할 계획이다. 삼성물산은 12월
공정거래위원회는 41개 상호출자제한기업집단 등의 계열회사수가 올 8월 1일 현재 1014개에서 이달 1일 현재 1031개로 전월 대비 17개가 늘어났다고 11일 밝혔다.
공정위에 따르면 각각 편입은 21개, 제외 4개였다. 14개 출자총액제한기업집단의 계열회사수는 이달 1일 현재 595개로 전월 대비 584개에서 11개 증가했다.
출자총액제한기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