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우리나라 1분기 국가 총부채가 4686조 원으로 국내총생산(GDP)의 2.4배를 넘었다. 특히 부채비율의 증가 속도는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중 칠레에 이어 두 번째로 빠른 것으로 조사되며 과도한 부채가 재정·금융위기로 전이되지 않도록 경계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한국경제연구원은 18일 ‘경제주체별 GDP 대비 부채비율 추이와
10일 새정치민주연합 김현미 의원실에 따르면 기획재정부에서 제출한 ‘공무원·군인연금의 연금충당부채 현황’을 분석한 결과 최근 3년간 공무원·군인연금 수급자에게 지급해야 할 연금충당부채 예상액이 2014년 643조 6000억원에 육박한 것으로 나타났다.
2012년 437조원에서 2013년 596조원, 2014년 644조원으로 최근 3년 새 47.3% 증가
우리나라 전체 총부채가 2013년 말 기준으로 4507조2000억원인 것으로 추정됐다. 이는 2015년도 예산 375조4000억원보다 12배나 많은 금액이다.
새누리당 심재철 의원이 12일 기획재정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2013년 말 기준 우리나라 각종 부채 총액은 4507조2000억원으로, 이 중 ‘기업부채’가 절반에 가까운 2212조200
우리나라 총 부채규모가 1년새 180조원 늘어나면서 3300조원에 육박한 것으로 나타났다.
14일 증권사와 민간연구기관에 따르면 정부와 민간기업, 가계 등의 총 부채 규모는 지난 6월말 현재 3283조원으로 작년 같은달 3106조원보다 5.7% 늘었다.
이 부채는 한국은행 자금순환표상 부채로 분류되는 민간기업의 주식출자나 직접투자는 제외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