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들이 자산 정리에 나섰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여파로 재정 건전성에 빨간불이 켜지자 선제적인 대응에 나선 것으로 풀이된다.
4일 대학가에 따르면 연세대학교는 1960년부터 소유해 온 인천 남동구 장수동 개발제한구역(그린벨트)으로 묶인 교육용 용지 임야 15만8138m²(약 4만7836평)에 대한 매각을 추진 중이다.
인천시에
서울과 지방 대학 간 자산 효율화에도 양극화 현상이 나타날 전망이다. 지역 대학은 서울의 주요 사립대보다 재정 건정성 확보에 더 큰 어려움을 겪을 것이라는 지적이 나온다.
충청 지역 B 사립대 총장은 3일 “주요 사립대학이 상대적으로 많은 학생을 보유하고 있고 출연 재산 등 처분할 자산도 많기 때문에 현금보유도 일부 대학에 몰릴 수 있다”며 “대학
실패한 정치는 실패한 경제를 만든다. 2008년 미국발 금융위기, 1997년 아시아 외환위기를 포함한 세계적인 경제 위기들은 무능한 정치의 결과였다.
그렇다면 성공한 정치는 경제를 바로세울 수 있을까. 절대적으로 옳은 정치가 무엇인지 정의를 내리긴 어렵지만 성공한 정치는 시장이 제대로 작동하게 하고, 바람직한 가치와 정책이 무엇인지를 보여준다. 민의
동남아시아에서 시작돼 우리나라에까지 전염된 아시아 외환위기, 전세계를 강타한 미국발 금융위기, 팍스 아메리카나를 외치며 세계 패권국을 자칭했던 미국의 추락, 한때 두 자리 성장세를 구가하며 세계 경제의 성장엔진 역할을 했던 중국의 부진. 언뜻 보면 정치와 무관한 경제 분야의 문제로만 파악되지만 사실 이같은 현상이 일어난 데에는 정치 문제가 불쏘시개 역할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