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권이 ‘연금’ 정국에서 혼란을 거듭하고 있다. 지난 2일 여야 대표들까지 나서서 타협을 성사시키며 공무원연금 개혁이 마무리 지어질 것으로 예상됐다. 하지만 야당과 공무원노조가 국민연금 명목소득대체율 50% 인상의 법률 명시 연계안을 요구하고, 이에 청와대와 정부가 강하게 반대하면서 공무원연금 개혁안 처리는 미궁에 빠졌다.
이 가운데 국민연금의 소득대체
국민연금 명목소득대체율을 현행 40%에서 50%까지 인상할 경우 미래세대의 부담이 눈덩이처럼 불어날 것이란 지적이 청와대, 정부, 여당에서 이어지고 있다.
특히 정부는 소득대체율을 10%포인트 인상할 경우 2060년을 전후해 국민연금기금이 고갈되는 시점 이후에는 나랏돈 수 천조원를 쏟아 붓거나 국민이 소득의 4분의 1을 보험료로 부담해야 한다고 경고하고
문형표 보건복지부 장관이 야당에 대해 은폐마케팅을 한다고 비판했다.
문 장관은 11일 국회에서 열린 보건복지위원회 긴급 현안질문에 출석해 국민연금 보험료를 1%포인트만 올려도 소득대체율 50%까지 인상할 수 있다는 야당의 주장에 대해 "복지부에게 '공포마케팅'을 한다고 하더니, (야당은) '은폐마케팅'을 한다"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이어 "야당의
문형표 보건복지부 장관은 11일 국민연금 소득대체율 인상 논란과 관련, “아무런 전제없이 소득대체율 10%를 올릴 수 있다는 이야기는 오히려 은폐 마케팅”이라고 주장했다. 소득대체율을 50%로 10%포인트 올릴 경우 미래세대가 세금폭탄을 맞게 될 것이란 청와대의 전날 입장에 대해 ‘공포 마케팅’이라고 반발한 야당에 정면 대응하고 나선 셈이다.
문 장관은 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