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계청 '2023 일자리행정통계 결과'작년 연간 일자리 2666만 개...전년 대비 0.8% 늘어제조업, 보건‧사회복지 늘고 금융·보험, 도소매는 감소
지난해 일자리가 20만 개 늘어나는 데 그쳤다. 역대 최소 증가 폭이다.
6일 통계청이 발표한 '2023년 일자리행정통계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연간 일자리는 2666만 개로 전년 대비 20만 개(0
◇기획재정부
2일(월)
△민생 및 경제활력 지원을 위해 할당관세 지속 지원(석간)
△2024 가구주택기초조사 성공적으로 실시(석간)
△2024년 10월 온라인쇼핑동향(조간)
△2024년 하반기 적극행정 우수직원 및 우수부서 포상(조간)
3일(화)
△경제부총리 15:00 KTB 국제 컨퍼런스(서울 페어몬트)
△기재부 1차관 08:00 경제관
◇기획재정부
15일(월)
△부총리 08:00 비상경제장관회의(서울청사)
△비상경제장관회의 개최
△역동경제 구현을 위한 연구개발(R&D) 혁신 등을 위해 부처 간 벽을 허문다.
16일(화)
△부총리 G20 재무장관회의 및 세계은행 개발위원회 참석(미국 워싱턴)
△기재부 1차관 15:30 소규모 관광단지 후보지 현장방문(비공개)
△기재부 2차관
2022년 직장인들의 평균 대출이 2017년 관련 통계 작성이래 처음으로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고금리 기조와 정부의 가계부채 관리 강화가 대출 감소 요인으로 작용했다는 분석이다.
통계청이 28일 발표한 '2022년 일자리행정통계 임금근로자 부채'에 따르면 2022년 12월 말 기준 임금근로자의 평균대출은 5115만 원으로 1년 전보다 87만 원(
지난해 자영업자(개인사업자)의 1인당 평균 부채가 관련 통계 작성이래 역대 최대를 기록했지만 전년대비 증가 폭은 역대 최저를 보였다.
고금리 기조와 정부의 대출 규제 영향으로 부채 증가 폭이 크게 둔화됐다는 분석이다.
21일 통계청이 발표한 '2022년 일자리행정통계 개인사업자 부채' 자료에 따르면 작년 말 기준으로 집계한 국내 개인사업자의
지난해 일자리가 87만 개 증가해 관련 통계 작성 이래 가장 큰 폭으로 늘었다. 일자리 증가분의 절반 이상이 60세 이상 고령층이거나 중소기업에서 나왔다.
6일 통계청이 발표한 '2022년 일자리행정통계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일자리는 2645만 개로 1년 전보다 87만 개(3.4%) 늘었다. 이는 관련 통계 작성이 시작된 2016년 이래 가장 큰 폭의
2021년 직장인 1인당 평균 대출액이 1년 전보다 7%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30세 미만 임금근로자의 평균 대출액이 15% 넘게 늘었는데 빚을 내 부동산, 가상자산 등에 투자하는 '영끌' 열풍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된다.
28일 통계청이 내놓은 '2021년 일자리행정통계 임금근로자 부채' 자료를 보면 2021년 말 기준 임금근로자의 평
지난해 개인사업자(자영업자) 1인당 평균 부채가 역대 최대 폭으로 늘면서 1억8000만 원에 달했다. 20대의 부채 증가폭이 가장 컸고, 부채 규모는 50대가 가장 많았다.
통계청이 23일 발표한 '2021년 일자리행정통계 개인사업자 부채' 자료를 보면 작년 말 기준 개인사업자의 평균 대출은 1억7805만 원으로 전년보다 5.8%(975만 원) 늘었다.
지난해 일자리가 85만 개 늘어났지만, 그 가운데 절반 이상을 60세 이상 고령층이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정부의 공공 일자리 사업 등으로 노인 일자리가 늘어난 영향이다. 반면, 인구 감소 등으로 인해 30대 일자리는 감소했고, 2030 청년층의 일자리는 5만9000개 늘어나는 데 그쳤다.
통계청은 8일 발표한 '2021년 일자리행정통계'에서
2020년 말 기준 월급쟁이들이 평균 4862만 원의 빚을 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빚이 가장 많은 연령대는 40대로 7000만 원을 넘어섰으며, 29세 이하 청년층의 대출증가율도 30%에 육박했다. 코로나 사태로 타격을 입은 예술·스포츠·여가 관련 서비스업과 숙박·음식점업 등에서 대출 증가율이 높았다.
통계청이 29일 발표한 '2020년 일자리행
정부는 2020년 공공부문 일자리가 1년 전보다 16만 개 넘게 늘어나며 전체 일자리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10%를 넘겼다고 밝혔다. 정부는 일반정부 일자리 비중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평균보다 여전히 작은 수준이라며 공공부문 일자리 확충에 나서겠다는 방침이다.
기획재정부는 24일 '2020년 공공부문 일자리 행정통계 주요 내용 및 평가'를 통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