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4년 개업한 서울시내 중국집과 미장원, 편의점 등은 10년간 10곳 가운데 2곳만이 살아남은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시는 생활밀착형 43개 업종의 지난해 기준 인허가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10년 생존율이 19.9%에 그쳤다고 2일 밝혔다.
온라인상에는 “살아남은 곳도 여유롭진 않아요. 간신히 숨만 쉬고 있죠”, “개인사업도 정말 아무나 하면 안 되죠.
지난해 하반기부터 1년간 자영업자에게 나간 은행권 대출이 24조원 이상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중 50대의 대출 비중이 압도적으로 많아 퇴직한 베이비붐 세대가 생계형 창업에 대거 나선 것으로 분석된다. 그러나 창업한 자영업체 가운데 평균 6곳 중 1곳만 살아남은 것으로 나타나 부실 우려가 커지고 있다.
금융감독원이 국회 정무위원회 김기준 새정치
작년 하반기부터 1년 동안 자영업자에게 나간 은행권 대출(개인사업자 대출)이 24조원 이상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50대의 대출 비중이 압도적으로 많아 퇴직한 베이비부머 세대가 '통닭집' 같은 생계형 창업에 대거 나선 것으로 추정된다.
금융감독원이 국회 정무위 김기준 의원(새정치민주연합)에게 4일 제출한 '국내은행의 대출 현황'을 보면